"배터리누액"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10번째 줄: 10번째 줄:
 
</ol>
 
</ol>
 
</ol>
 
</ol>
 +
</ol>
 +
<li> [[아연탄소]] = [[아연망간]]
 +
<ol>
 +
<li>carbon-zinc (=manganese) 알카라인에 비해 누액이 거의 없고, 전해액 부식성이 약하다. (저전력 기기 상품에 첨부되는 이유. 고전력기기에는 건전지 첨부 안되는 이유)
 +
<ol>
 +
<li>아래 실제 관찰 두 건의 경우, 모두 깡통에 구멍이 뚫여 누액되었다.
 +
</ol>
 +
<li>참고: 내부구조
 +
<gallery>
 +
image:aaa_carbon_zinc01_001.jpg | 양극에서 실링하였다.
 +
image:aaa_carbon_zinc01_002.jpg
 +
image:aaa_carbon_zinc01_003.jpg | 양극에 탄소막대기가 꼽혀 있다.
 +
image:aaa_carbon_zinc01_004.jpg
 +
image:aaa_carbon_zinc01_005.jpg | 탄소막대기이므로 전류가 잘 흐른다.
 +
</gallery>
 +
<li>투고기술에서 사용중인 [[유선전화기]], GS-493C에서, 2021/10/16
 +
<gallery>
 +
image:aaa_carbon_zinc02_001.jpg | 전화기에서. 사용기한 2011년도 전지
 +
image:aaa_carbon_zinc02_002.jpg | 외부 케이스(outer casing)에 구멍이 났다.
 +
image:aaa_carbon_zinc02_003.jpg | 전해액이 표면에 고여있다.
 +
image:aaa_carbon_zinc02_004.jpg | 긁으니 부식된 깡통 금속이 바로 제거된다.
 +
</gallery>
 +
<li> [[AA 전지]]에서, 아연 케이스가 구멍이 뚫려
 +
<gallery>
 +
image:aa_manganese03_001.jpg | 아연 케이스에 구멍뚫릴 수 있어, 비닐 튜빙
 +
image:aa_manganese03_002.jpg | 2020년 5월까지 사용할 것.(제조 후 3년)
 +
image:aa_manganese03_003.jpg | 오래되지 않았기 때문에 제조때부터 케이스가 얇게 만들어진듯.
 +
image:aa_manganese03_004.jpg | paper separator(종이 분리막)이 보인다.
 +
image:aa_manganese03_005.jpg | sealing ring 두 개, 공기구멍이 뚫려있는 +단자
 +
image:aa_manganese03_006.jpg | 구멍뚫린 아연 케이스
 +
image:aa_manganese03_007.jpg
 +
</gallery>
 
</ol>
 
</ol>
 
<li>알카라인 배터리에서
 
<li>알카라인 배터리에서
22번째 줄: 54번째 줄:
 
<li>누출된 potassium hydroxide(수산화칼륨)은 공기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potassium carbonate(탄산칼륨K2CO3;11.6pH 알칼리, 하얀빛깔, 물에 녹은 추출액을 잿물) 결정형태로 자란다. 탄산칼륨은 구리를 포함한 금속을 부식시킨다.
 
<li>누출된 potassium hydroxide(수산화칼륨)은 공기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potassium carbonate(탄산칼륨K2CO3;11.6pH 알칼리, 하얀빛깔, 물에 녹은 추출액을 잿물) 결정형태로 자란다. 탄산칼륨은 구리를 포함한 금속을 부식시킨다.
 
</ol>
 
</ol>
 +
<li>항상 음극이 실링되어 만들므로, 음극 실링부위에서 누액된다.
 
<li>경험: 특히 비닐봉투속처럼 밀폐된 곳에 두면 더욱 심하다. 그래서 비닐봉투에는 구멍을 뚫는다.
 
<li>경험: 특히 비닐봉투속처럼 밀폐된 곳에 두면 더욱 심하다. 그래서 비닐봉투에는 구멍을 뚫는다.
 
</ol>
 
</ol>
43번째 줄: 76번째 줄:
 
<li>원통형에서
 
<li>원통형에서
 
<ol>
 
<ol>
<li>2008년 10월까지 사용기한인데 2017년 6월에 보니
+
<li> [[XBox]]에서
 
<gallery>
 
<gallery>
image:xbox01_008.jpg
+
image:xbox01_008.jpg | 2008년 10월까지 사용기한인데 2017년 6월에 보니
 
</gallery>
 
</gallery>
 
<li>로케트전기 제조, 질레트코리아 판매, 썬파워(SUNPOWER) XL 알카라인
 
<li>로케트전기 제조, 질레트코리아 판매, 썬파워(SUNPOWER) XL 알카라인
97번째 줄: 130번째 줄:
 
image:aaa_energizer1_002.jpg
 
image:aaa_energizer1_002.jpg
 
</gallery>
 
</gallery>
<li>무선키보드에서,
+
<li>Logitech K270(fullsize) 무선 [[키보드]]에서
 +
<ol>
 +
<li>1차
 
<gallery>
 
<gallery>
 
image:keyboard04_003.jpg | AAA 2개. 덮개 길이가 작아, - 쪽 스프링 접점이 보이지 않아 청소할 수 없다.
 
image:keyboard04_003.jpg | AAA 2개. 덮개 길이가 작아, - 쪽 스프링 접점이 보이지 않아 청소할 수 없다.
 
image:keyboard04_008.jpg | [[배터리누액]]으로 전지를 빼고 다시 넣어도 동작하지 않음. 스프링 표면을 갈아내 청소하니 동작함.
 
image:keyboard04_008.jpg | [[배터리누액]]으로 전지를 빼고 다시 넣어도 동작하지 않음. 스프링 표면을 갈아내 청소하니 동작함.
 +
</gallery>
 +
<li>2차 - 이 IKEA Alkalisk 배터리는 누액이 매우 쉽게 관찰되도록 만들었다.(우연히 ???)
 +
<gallery>
 +
image:keyboard04_012.jpg | 배터리를 꺼내보니, 누액은 -전극에서 발생되므로, [[배터리홀더]] 뚜껑을 열면 -극이 보이도록 한다.
 +
image:keyboard04_013.jpg
 +
image:keyboard04_014.jpg | 누액이 되면 색깔이 뚜렷하게 변한다.
 +
image:keyboard04_015.jpg | 왼쪽이 누액(보호필름 색깔이 달라진다. 금속박막이 녹는다.)
 +
</gallery>
 +
</ol>
 +
<li> [[레노버 레이저 무선 마우스 MORFFHL]]
 +
<gallery>
 +
image:mouse_laser01_003.jpg | 왼쪽 전지홀더
 +
image:mouse_laser01_004.jpg
 +
image:mouse_laser01_007.jpg
 +
image:mouse_laser01_005.jpg | 깊숙한 곳인 +극까지 누액물질이 묻어 있다.
 +
image:mouse_laser01_006.jpg | IPA와 솔로 청소를 함
 
</gallery>
 
</gallery>
 
<li> [[에이원프로 전자사전 AP-101]], AAA 배터리
 
<li> [[에이원프로 전자사전 AP-101]], AAA 배터리
125번째 줄: 176번째 줄:
 
image:medical04_015.jpg
 
image:medical04_015.jpg
 
</gallery>
 
</gallery>
 +
</ol>
 +
<li> [[리모콘]]
 +
<ol>
 +
<li>삼성, 파트번호 AA59-00104K, 2021/07 AB 네트웍스로부터 기증받음, 유럽에서 사용함
 +
<ol>
 +
<li>리모콘에서
 +
<gallery>
 +
image:remote_control09_002.jpg | [[배터리누액]]
 +
image:remote_control09_003.jpg | 스테인리스 스프링, 알카라인 [[배터리누액]]은 음극에서 발생된다.
 +
</gallery>
 +
<li>배터리 조사
 +
<gallery>
 +
image:alkaline_leak01_001.jpg | 가운데 제품은 누액이 없는 동일모델, 다른로트
 +
image:alkaline_leak01_002.jpg | 누액이 되면 비닐에 코팅된 금속박막이 녹는다.
 +
image:alkaline_leak01_003.jpg | 왼쪽 정상품
 +
image:alkaline_leak01_004.jpg | 오른쪽 정상품
 +
</gallery>
 +
</ol>
 
</ol>
 
</ol>
 
</ol>
 
</ol>
182번째 줄: 251번째 줄:
 
</gallery>
 
</gallery>
 
</ol>
 
</ol>
<li>[[2차-NiCd]]
+
<li> [[2차-NiCd]]에서
 
<ol>
 
<ol>
 
<li>YUASA 3-51FT, 3.6V 50mAh, Nickel-Cadmium(Ni-Cd) Battery, L 23.5mm x D 16.5mm
 
<li>YUASA 3-51FT, 3.6V 50mAh, Nickel-Cadmium(Ni-Cd) Battery, L 23.5mm x D 16.5mm
198번째 줄: 267번째 줄:
 
</gallery>
 
</gallery>
 
</ol>
 
</ol>
 +
<li> [[전동공구]], DAT cordless Drill MK-CD016
 +
<gallery>
 +
image:power_tools03_004.jpg | 800mAh 1.2V, [[배터리누액]]
 +
</gallery>
 
</ol>
 
</ol>
<li>참고: carbon-zinc (=manganese) 알카라인에 비해 누액이 거의 없고, 전해액 부식성이 약하다. (저전력 기기 상품에 첨부되는 이유. 고전력기기에는 건전지 첨부 안되는 이유)
+
<li> [[2차-NiMH]]에서
 +
<ol>
 +
<li> [[LG 센세이션 GA53P]] PC에서
 +
<ol>
 +
<li>뚜껑을 여니, [[배터리누액]]
 
<gallery>
 
<gallery>
image:aaa_carbon_zinc01_001.jpg
+
image:lg_ga53p_009.jpg
image:aaa_carbon_zinc01_002.jpg
+
image:lg_ga53p_010.jpg
image:aaa_carbon_zinc01_003.jpg
+
</gallery>
 +
<li>배터리 옆 BIOS 칩을 뜯어내면
 +
<gallery>
 +
image:lg_ga53p_016.jpg | IC 소켓 핀이 끊어진다.
 +
</gallery>
 +
<li>동박 끊어짐 확인 - 끊어졌다.
 +
<gallery>
 +
image:lg_ga53p_029.jpg | 앞면 - 배터리 뜯어낸 자리
 +
image:lg_ga53p_030.jpg | 폭이 넓은 동박도 전기가 통하지 않는다.
 +
image:lg_ga53p_031.jpg | 뒷면
 
</gallery>
 
</gallery>
 +
</ol>
 +
</ol>
 
</ol>
 
</ol>

2021년 11월 4일 (목) 15:24 판

배터리누액

  1. 링크
    1. 전자부품
      1. , 배터리
        1. 배터리누액 - 이 페이지
  2. 아연탄소 = 아연망간
    1. carbon-zinc (=manganese) 알카라인에 비해 누액이 거의 없고, 전해액 부식성이 약하다. (저전력 기기 상품에 첨부되는 이유. 고전력기기에는 건전지 첨부 안되는 이유)
      1. 아래 실제 관찰 두 건의 경우, 모두 깡통에 구멍이 뚫여 누액되었다.
    2. 참고: 내부구조
    3. 투고기술에서 사용중인 유선전화기, GS-493C에서, 2021/10/16
    4. AA 전지에서, 아연 케이스가 구멍이 뚫려
  3. 알카라인 배터리에서
    1. 상식
      1. 위키피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Alkaline_battery#Leaks
        1. 음극은 아연, 양근은 이산화망간(MnO2), 알칼리성 전해질인 potassium hydroxide(수산화칼륨)을 사용한다.
        2. 배터리는 사용하지 않아도 스스로 방전(self-discharge)하고, 사용이 끝나도 누액은 계속된다.
        3. 배터리가 방전됨에 따라 화학조성이 변경되면서 수소가 발생된다. 계속되는 가스방출로 압력이 높아져 밀봉을 뚫고 밖으로 유출된다. 또는 내부 금속을 부식시켜 구멍이 난다.
        4. 누출된 potassium hydroxide(수산화칼륨)은 공기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potassium carbonate(탄산칼륨K2CO3;11.6pH 알칼리, 하얀빛깔, 물에 녹은 추출액을 잿물) 결정형태로 자란다. 탄산칼륨은 구리를 포함한 금속을 부식시킨다.
      2. 항상 음극이 실링되어 만들므로, 음극 실링부위에서 누액된다.
      3. 경험: 특히 비닐봉투속처럼 밀폐된 곳에 두면 더욱 심하다. 그래서 비닐봉투에는 구멍을 뚫는다.
    2. LR, 동전형에서
      1. LR44 누액 -> SR44(renata 357)로
      2. LR1154 누액
    3. 원통형에서
      1. XBox에서
      2. 로케트전기 제조, 질레트코리아 판매, 썬파워(SUNPOWER) XL 알카라인
      3. Yokogawa 2533E, 메모리 백업 배터리 누액으로 코일 부식. 전지 교환하면 battery 경고 불 꺼짐.
      4. 손전등에서
        1. 조흥산업 수퍼미니라이트 Super MiniLight CR-305
        2. Mini Maglite LED AA
      5. HIOKI 9667, AC 대전류 센서
        1. S/N 070924554 - 동작 안함
        2. S/N 070924562
        3. S/N 090708569
      6. expiration date: 2015년 3월
      7. Logitech K270(fullsize) 무선 키보드에서
        1. 1차
        2. 2차 - 이 IKEA Alkalisk 배터리는 누액이 매우 쉽게 관찰되도록 만들었다.(우연히 ???)
      8. 레노버 레이저 무선 마우스 MORFFHL
      9. 에이원프로 전자사전 AP-101, AAA 배터리
      10. 체온계, Braun ThermoScan 적외선 체온계에서
        1. 본체에서
        2. 배터리홀더
        3. No Brand, 판매원 이마트, 제조원 ZhongYin(Ningbo) Battery Co., Ltd.
      11. 리모콘
        1. 삼성, 파트번호 AA59-00104K, 2021/07 AB 네트웍스로부터 기증받음, 유럽에서 사용함
          1. 리모콘에서
          2. 배터리 조사
    4. 각형 9V
      1. Duracell - 누액때문에 개별포장하는 듯
  4. 2차-리튬 전지에서 누액
    1. 단추형에서
      1. Palm m100 에서
    2. 각형 깡통에서
      1. Palm Vx에서
        1. 배터리가 전혀 충전되지 않음.
        2. 배터리 외관 - GS-Melcotec Co., Ltd. (1997년 Japan Storage Battery와 Mitsubishi Electric의 합작회사, 시장점유율 8~9%로 세계 5위권. 2002년 Sanyo에 매각함)
        3. 부식
        4. 부식의 이유. 스테인리스 깡통 재질에 구멍(딥 드로잉 deep drawing 실패?)
  5. ER - 3.6V 나온다. 부식성이 아주 강해 누액되면 기기가 망가진다.
    1. Iwatsu 멀티미터에서
  6. 2차-NiCd에서
    1. YUASA 3-51FT, 3.6V 50mAh, Nickel-Cadmium(Ni-Cd) Battery, L 23.5mm x D 16.5mm
      1. 외관
      2. 포장, 누액
    2. 전동공구, DAT cordless Drill MK-CD016
  7. 2차-NiMH에서
    1. LG 센세이션 GA53P PC에서
      1. 뚜껑을 여니, 배터리누액
      2. 배터리 옆 BIOS 칩을 뜯어내면
      3. 동박 끊어짐 확인 - 끊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