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트랜스포머
+
펄스 트랜스포머
 
<ol>
 
<ol>
<li>링크
+
<li> [[전자부품]]
 
<ol>
 
<ol>
<li> [[전자부품]]
+
<li>수동부품
 
<ol>
 
<ol>
<li> [[트랜스포머]] - 이 페이지
+
<li> [[트랜스포머]]
 
<ol>
 
<ol>
<li> [[AC트랜스]]
+
<li> [[펄스 트랜스포머]] - 이 페이지
<li> [[RF트랜스]]
 
<li> [[고압트랜스]]
 
</ol>
 
</ol>
 
 
</ol>
 
</ol>
<li>측정
+
<li>참고
 
<ol>
 
<ol>
<li>Keysight Technologies, Impedance Measurement Handbook, 6th Edition에서
+
<li> [[LAN트랜스]]
<ol>
+
<li> [[RF트랜스]]
<li>5.3 Transformer measurement 에서
 
<gallery>
 
image:trans_meas01_001.png | Transformer parameters
 
image:trans_meas01_002.png | Primary inductance measurement
 
image:trans_meas01_003.png | Leakage inductance measurement
 
image:trans_meas01_004.png | Inter-winding capacitance measurement
 
image:trans_meas01_005.png | Mutual inductance measurement
 
image:trans_meas01_006.png | Turns ratio measurement - Approximation
 
image:trans_meas01_007.png | Turns ratio measurement - Direct measurement
 
</gallery>
 
 
</ol>
 
</ol>
<li>측정1
 
<ol>
 
<li>트랜스포머 사진
 
<gallery>
 
image:nikon1_008.jpg | 220V 입력을 12V 출력으로
 
</gallery>
 
<li>측정데이터 ,
 
<ol>
 
<li>Z1:1차측 Primary inductance, ZL1:1차측 Leakage inductance
 
<gallery>
 
image:trans_meas02_001.png | 2차측이 오픈되면, 1차측 60Hz 임피던스는 약 6k오옴으로 220V에서는 8W 소모된다. 반면에 2차측이 쇼트되면 66오옴으로 730W가 소모된다. 이런 측정 방법으로 트랜스포머 사용전력을 대충 알 수 있다.(?)
 
</gallery>
 
<li>Inter-winding capacitance measurement, 1-3단자 측정과 1-4단자 측정값은 당연히 같다.
 
<gallery>
 
image:trans_meas02_002.png | 다음엔 임피던스 대신에 C값으로 표시할 것. C값이 크면(100pF 이상) 두 권선은 분리되어 있지 않다.
 
</gallery>
 
<li>Turns ratio measurement - Approximation 방법, 이 트랜스포머는 권선비는 220V/12V=18.3이다.
 
<gallery>
 
image:trans_meas02_003.png | sqrt(Z1/R2)는 2차 R=10오옴으로 연결하고 1차 임피던스 측정, sqrt(Z2/R1)은 1차 R=10k오옴으로 연결하고 2차측 임피던스를 측정. 업트랜스,다운트랜스 권선비의 평균값인듯.
 
</gallery>
 
 
</ol>
 
</ol>
 
</ol>
 
</ol>
<li>측정2, [[만보계]]에서, 싸이렌소리를 내는 [[피에조버저]]에서
+
<li>계측기에서 사용되는 펄스 트랜스포머
 
<ol>
 
<ol>
<li>싸이렌소리를 내는 [[피에조버저]]
+
<li>데이터시트
 
<ol>
 
<ol>
<li>사진
+
<li>JPC
<gallery>
 
image:pedometer1_007.jpg
 
image:pedometer1_009.jpg | 열수축튜브 잘라, 피에조버저 승압용 [[트랜스포머]]임을 확인함.
 
</gallery>
 
<li>LCR 미터로 측정한 임피던스
 
<gallery>
 
image:piezo_buzzer04_001.png | 3kHz가 공진주파수, 임피던스는 4k오옴이다. 그러나 귀에 가장 크게 들리는 소리는 4kHz이다.
 
</gallery>
 
</ol>
 
<li>해당 트랜스포머 특성
 
 
<ol>
 
<ol>
<li>  
+
<li>트랜스 ,  
<li>LCR미터로, 사이렌소리가 4kHz일 때, 1차측 임피던스는 약 20오옴, 2차측은 약 4k오옴
+
<li>지연선 delay line ,  
<gallery>
 
image:trans_test01_003.png | 1차측(저압측) 임피던스, 2차측을 open, short했을 때
 
image:trans_test01_004.png | 1차측 임피던스(2차측에 10k오옴 연결), 2차측 임피던스(1차측에 20오옴 연결)
 
</gallery>
 
<li>LCR미터로 권선비(turn ratio) 계산
 
<gallery>
 
image:trans_test01_005.png | down 트랜스로 놓고 측정하는 것(빨강선, 권선이 많이 감긴 쪽에서 LCR미터로 측정하는 것이)이 더 정확하다.(???)
 
</gallery>
 
<li>전압비 측정 방법
 
<gallery>
 
image:trans_test01_001.png | R2를 저항기로
 
image:trans_test01_002.png | 사용 [[피에조버저]]를 연결해서
 
</gallery>
 
<li>AC볼트미터로 전압비 계산(권선비와 비례함), 사용 피에조부저를 연결하면 4.4kHz에서, 이 트랜스포머는 전압을 15배 키운다.
 
<gallery>
 
image:trans_test01_006.png | R2가 오픈(무한대일 때)
 
image:trans_test01_007.png | R2를 4k오옴일 때
 
image:trans_test01_008.png | 피에조부저를 연결할 때
 
</gallery>
 
 
</ol>
 
</ol>
 
</ol>
 
</ol>
<li>측정 3, 50오옴 네트워크분석기로 (사용 주파수대역을 알아보기 위해) 한 번 측정해 봄. 즉, 50오옴 밸룬 측정할 때만 네트워크분석기를 사용한다.
+
<li>optocoupler처럼 사용되는 isolation transformers interface
 
<ol>
 
<ol>
<li>사진 [[UTHE 10H]] 초음파발생기에서 나온 트랜스포머
+
<li>TR6878 DMM에서, 아날로그 보드로부터 오는 신호선 처리
 
<gallery>
 
<gallery>
image:uthe10h01_011.jpg
+
image:tr6878_011.jpg
image:uthe10h01_031.jpg
+
image:tr6878_049.jpg
image:uthe10h01_032.jpg
 
 
</gallery>
 
</gallery>
<li>통과이득 측정 엑셀 데이터
+
<li> HP [[3456A]] DMM에서, isolation transformers interface (Rx, Tx)
 
<gallery>
 
<gallery>
image:uthe10h01_032_001.jpg | 이렇게 생긴 트랜스포머의 주파수특성은
+
image:3456a01_034.jpg | 디지털 제어부에서
image:uthe10h01_032_002.png | 50오옴 측정에서는, 매칭이 아니므로 이득은 -14dB이고
+
image:3456a01_035.jpg | GPIB 보드에서
image:uthe10h01_032_003.png | -3dB 대역은 7kHz~15MHz까지이다.
 
 
</gallery>
 
</gallery>
</ol>
+
<li> [[3478A]] DMM
<li> Tektronix [[TDS460A]]에서
 
<ol>
 
<li>트랜스포머 DMI 500-2044 H.V.OK, Tektronix Part 120-1401-00, 오실로스코프에서는 AC 주파수를 샘플링해야 하므로(?) isolation 트랜스가 필요한 듯
 
 
<gallery>
 
<gallery>
image:tds460a01_032.jpg
+
image:3478a2_02_003.jpg | isolation logic으로 [[RF트랜스]]를 사용했다. #1호기는 [[광커플러]]를 사용
image:tds460a01_032_001.jpg | 내부는 1,2차측이 분리된 평범한 규소강판코어 트랜스포머
 
 
</gallery>
 
</gallery>
<li>측정데이터
+
<li>NF [[WF1943B]] 다기능 함수 합성기에서
 
<gallery>
 
<gallery>
image:tds460a01_032_002.png | 1차,2차측 임피던스가 동일하므로 1:1
+
image:wf1943b02_005.jpg | [[RF트랜스]], JPC pulse transformer, 4DP101-250F
image:tds460a01_032_003.png | Inter-winding capacitance 1,2차측이 벽으로 분리되어 C값이 매우 작다.
 
image:tds460a01_032_004.png | 파워 전달 특성, 규소강판이므로 사용주파수가 ~50kHz로 낮다.
 
 
</gallery>
 
</gallery>
</ol>
+
<li> [[4446xA]]
<li> [[Aikoh 9500]] 디지탈 푸시풀 게이지에 사용된 [[직류전원 어댑터]] 트랜스포머에서
 
<ol>
 
<li>사진
 
 
<gallery>
 
<gallery>
image:aikoh9505a03_001.jpg | 라벨을 덧붙여 변경함
+
image:3421_44465_001.jpg | 좌상단 read-write buffer, 상단 8-ch digital input, 하단 8-ch digital output
image:aikoh9505a03_002.jpg
+
image:3421_44465_007.jpg | PCA(Philips semiconductor?) EP7523 A-9100-4131-1 MANILA
image:aikoh9505a03_003.jpg
+
image:3421_44465_007_001.jpg
 +
image:3421_44465_007_002.jpg
 
</gallery>
 
</gallery>
<li>전압 측정 데이터
+
<li> [[3421A]], 디지털+HPIB 보드와 연결되는 Tx/Rx 포트
 
<ol>
 
<ol>
<li>HP3245를 소스로, HP3458A를 측정으로 하는 프로그램 [[3245-01-ibw.txt]]
+
<li>외관
<ol>
 
<li>부하를 트랜스 1차측(100V입력)으로 연결하고 측정함.
 
<gallery>
 
image:trans_test02_003.jpg | 10Vp-p(3.536Vrms)입력이 3.535Vrms로 측정됨. 발생기 및 측정기에 아무런 문제가 없음.
 
image:trans_test02_004.jpg
 
image:trans_test02_005.png | 전압 0.1,1,10Vp-p에 따라, 주파수별 전압비가 거의 1이므로 측정에 문제가 없다. 그러나 코일 로드에 의존한다.
 
</gallery>
 
<li>트랜스 전압비(권선비) 측정
 
<gallery>
 
image:trans_test02_001.jpg | 전압비 0.113
 
image:trans_test02_002.jpg | 측정 연결
 
</gallery>
 
<li>다운 트랜스(전압 하강 - 1차입력, 2차출력 - 정상적으로 측정)
 
 
<gallery>
 
<gallery>
image:trans_test02_008.png | 100Hz에서 약 0.113
+
image:3421_050.jpg | 왼쪽이 Rx, 오른쪽이 Tx용 Pulse Electronics Corporation PE-62722
 +
image:3421_050_001.jpg | Tx(빨강)용은 간단, Rx(검정)용은 복잡하다. 접지가 3개
 
</gallery>
 
</gallery>
<li>업 트랜스(전압 상승 - 즉, 반대로 측정)
+
<li>주파수 특성 측정
 
<gallery>
 
<gallery>
image:trans_test02_006.png | 공진점이 관찰되어, 최대전압이 공칭보다 4배 이상 나오는 주파수가 있다.
+
image:3421_050_002.jpg | Tx용(2개 단자를 접지와 연결)
image:trans_test02_007.png
+
image:3421_050_003.jpg | Rx용(5개 단자를 접지와 연결)
 
</gallery>
 
</gallery>
<li>다운/업(역수) 전압비를 그려보면
+
<li>R3753BH 네트워크분석기로 주파수 통과 특성 측정
 
<gallery>
 
<gallery>
image:trans_test02_009.png | 두 전압비가 ~10% 차이난다.
+
image:3421_050_004.png | Rx용 트랜스포머는 고주파 잡음을 통과시키지 않도록 (isolation 및 shielding 기능을 발휘하도록)설계되어 있다.
 
</gallery>
 
</gallery>
 
</ol>
 
</ol>
<li>HP6842A를 소스로, HP3458A를 측정으로 하는 프로그램 [[6842a-ibw.txt]]
 
<gallery>
 
image:trans_test02_010.png | 110V까지 전압비를 측정함. 약 0.115
 
</gallery>
 
 
</ol>
 
</ol>
<li>결론
+
<li>Digital Isolators(monolithic air core transformer technology)
 
<ol>
 
<ol>
<li>공칭 110V 9V 트랜스의 전압비를 측정하려면
+
<li>ADUM1400 Quad-Channel Digital Isolators
 
<ol>
 
<ol>
<li>입력전압에 어느 정도 의존하므로 측정전압을 10V 정도 필요하다.
+
<li>자료
<li>다운 트랜스를 업 트랜스로 측정하면 권선비가 최대 10% 정도 차이난다. 그러므로 1차측, 2차측을 정확히 결정한다.
 
</ol>
 
</ol>
 
</ol>
 
</ol>
 
<li>움직이는 물체에서
 
<ol>
 
<li>대우 DV-S103 [[VCR]]에서
 
 
<ol>
 
<ol>
<li>신호 커플러(회전하는 헤드로부터 신호를 얻기 위함, 토치로 열을 가해서 빼냄)
+
<li>규격서 - 31p
<gallery>
+
<li>기술자료 - 6p
image:vcr_daewoo01_049.jpg | 2-head이므로 코일이 두 개
 
image:vcr_daewoo01_050.jpg
 
image:vcr_daewoo01_051.jpg
 
</gallery>
 
</ol>
 
 
</ol>
 
</ol>
<li>고전류 저압용
+
<li> [[LE-5150]] LED 파워서플라이용 전자부하에서
<ol>
 
<li>전자레인지에서
 
 
<gallery>
 
<gallery>
image:microwave_oven01_005.jpg | 용량이 매우 크기때문에 개조해서 대전류용으로
+
image:le5150_02_015.jpg
 +
image:le5150_02_034.jpg
 
</gallery>
 
</gallery>
<li>용접기에서
 
 
</ol>
 
</ol>
<li>토로이달 코어 사용한
 
<ol>
 
<li>라이카 현미경, 수은등 전원공급장치에서
 
<ol>
 
<li>외관
 
<gallery>
 
image:mecury_lamp01_008.jpg
 
image:mecury_lamp01_026.jpg | 트랜스(굵은선/가는선 등 권선비가 있다.)
 
image:mecury_lamp01_027.jpg | 인덕터(동일한 선)
 
image:mecury_lamp01_030.jpg | 인덕터(동일한 선)
 
</gallery>
 
<li>분해
 
<ol>
 
<li><gallery>
 
image:transformer04_001.jpg
 
</gallery>
 
<li><gallery>
 
image:transformer04_002.jpg
 
image:transformer04_003.jpg
 
image:transformer04_004.jpg
 
</gallery>
 
<li><gallery>
 
image:transformer04_005.jpg
 
</gallery>
 
<li><gallery>
 
image:transformer04_006.jpg
 
image:transformer04_007.jpg
 
image:transformer04_008.jpg
 
image:transformer04_009.jpg
 
image:transformer04_010.jpg | 3가지 모두 동일한 구조
 
</gallery>
 
</ol>
 
<li> [[형광등]] 안정기에서
 
<ol>
 
<li>트랜스포머, 3선
 
<gallery>
 
image:electrical_ballast2_008.jpg
 
image:electrical_ballast2_009.jpg
 
</gallery>
 
 
</ol>
 
</ol>
 
</ol>
 
</ol>
<li>전형적인 SMPS에서
+
<li> [[DSL]] 디지탈가입자회선에서
<ol>
 
<li>소용량, 절연저항 낮은 것과 높은 것을 분해함. 220VAC, 308VDC 스위칭용
 
 
<ol>
 
<ol>
<li>규격서
+
<li>VDSL, Very high speed Digital Subscriber Line에서
 
<ol>
 
<ol>
<li> - 4p
+
<li>Pulse BX4141W, RF 트랜스포머
<li> - 13p
 
</ol>
 
<li>외관
 
<gallery>
 
image:trans_smps01_001.jpg
 
image:trans_smps01_002.jpg
 
image:trans_smps01_003.jpg
 
</gallery>
 
<li>N3
 
<gallery>
 
image:trans_smps01_004.jpg | N3
 
image:trans_smps01_005.jpg | 코일을 핀에 한 바퀴이상 감지 않았음.
 
image:trans_smps01_006.jpg
 
image:trans_smps01_007.jpg
 
image:trans_smps01_008.jpg | 코일이 3개이므로 3번씩 흰테이프로 겹친 부분을 감았다.
 
</gallery>
 
<li>N2
 
<gallery>
 
image:trans_smps01_009.jpg
 
image:trans_smps01_010.jpg
 
image:trans_smps01_011.jpg
 
</gallery>
 
<li>N1
 
 
<gallery>
 
<gallery>
image:trans_smps01_012.jpg | old: DC 308V 스위칭하는 코일이 서로 겹쳐 있음.
+
image:vdsl01_006.jpg
 +
image:vdsl01_010.jpg
 +
image:vdsl01_010_001.jpg | 매칭 및 ESD 보호회로
 +
image:vdsl01_010_002.jpg
 +
image:vdsl01_010_003.jpg
 +
image:vdsl01_010_004.jpg
 
</gallery>
 
</gallery>
<li>bobbin
+
<li>R3753BH 네트워크분석기로 측정 데이터,
 
<gallery>
 
<gallery>
image:trans_smps01_013.jpg | 보빈 - 손상당하지 않았다.  아무런 차이가 없다.
+
image:dsl_trans01_001.png | 10kHz~40MHz만 통과시킴.
 
</gallery>
 
</gallery>
 
</ol>
 
</ol>
<li>삼성전자 LN32N71BD, 2006년 제조, 32" CCFL LED TV, SMPS에서
 
<gallery>
 
image:lcdtv01_02_007.jpg | 클로바하이텍
 
</gallery>
 
<li>대우 DV-S103 2001.4제조
 
<gallery>
 
image:vcr_daewoo01_010.jpg
 
image:vcr_daewoo01_027.jpg
 
image:vcr_daewoo01_028.jpg | SAMWHA TECOM(삼화텍콤)
 
image:vcr_daewoo01_029.jpg
 
</gallery>
 
<li>HP 70420A(phase noise 측정용) Test Set에서 전원보드
 
<gallery>
 
image:e5501b04_038.jpg
 
image:e5501b04_039.jpg
 
image:e5501b04_041.jpg
 
image:e5501b04_058.jpg
 
image:e5501b04_059.jpg
 
</gallery>
 
<li>8960 통신시험기, Lambda Sirius CS250LM에서
 
<gallery>
 
image:tdk_lambda01_024.jpg | 트랜스
 
image:tdk_lambda01_023.jpg | 납땜으로 트랜스를 고정시키는 방법
 
</gallery>
 
 
</ol>
 
</ol>
<li>PWM 방식, DC - AC 인버터에서
+
<li> [[모뎀]]용
 
<ol>
 
<ol>
<li>윤건무역 LDC 300W에서
+
<li>자료
 
<ol>
 
<ol>
<li>인버터에서
+
<li>측정 데이터,  
<gallery>
 
image:power_inverter02_001.jpg
 
image:power_inverter02_003.jpg
 
image:power_inverter02_008.jpg | 12V-220V 승압 트랜스포머
 
</gallery>
 
<li>트랜스 내부
 
<gallery>
 
image:trans_pwm01_001.jpg | 페라이트 E,I 코어
 
image:trans_pwm01_002.jpg
 
image:trans_pwm01_003.jpg | DC12V용 스위칭되는 선3개 코일
 
image:trans_pwm01_004.jpg | AC(PWM) 220V용 출력 선2개 코일
 
</gallery>
 
</ol>
 
 
</ol>
 
</ol>
<li>전류검출 트랜스포머 Current Sense Transformers
+
<li>2001년 출시 [[Power Mac G4]] 데스트탑에서
<ol>
 
<li>Coilcraft CS4100V-01 데이터시트 - 1p
 
 
<gallery>
 
<gallery>
image:e4401b03_017.jpg | Spectrum 분석기에서. 3k~1MHz SMPS 주파수에서. 1:100
+
image:power_mac_g4_051.jpg | MIDCOM ZT133 [[펄스 트랜스포머]], 주파수 이득특성 측정이 안되어 모두 풀어보니, '''내부'''에 감겨 있는 코일이 open되었다.
 
</gallery>
 
</gallery>
</ol>
+
<li>2006년 03월 출시 [[노트북]], [[IBM T43p]]
<li>isolation transformer
 
<ol>
 
<li>기술
 
<ol>
 
<li>
 
</ol>
 
<li>사진
 
<ol>
 
<li>니콘 넥시브에서, SMPS COSEL PMC75E-1, 5V, +12V, -12V에서
 
<gallery>
 
image:vm150n05_011.jpg
 
image:vm150n05_012.jpg
 
</gallery>
 
<li>Yokogawa 2533E AC 파워미터, 주전원용
 
<gallery>
 
image:2533e_002.jpg | 검은선이 본체에 납땜되었다.
 
</gallery>
 
<li>Yokogawa 2533 AC 파워미터, input board에서
 
<gallery>
 
image:trans_isol01_001.jpg
 
image:trans_isol01_002.jpg
 
image:trans_isol01_003.jpg
 
image:trans_isol01_004.jpg
 
image:trans_isol01_005.jpg
 
image:trans_isol01_006.jpg | 녹색은 전체 접지 및 두 코일 분리하는 판에 연결
 
image:trans_isol01_007.jpg | 검정은 센터탭 및 코일 감싼 동박과 연결.
 
</gallery>
 
<li>Agilent P/N 9100-5026,
 
<ol>
 
<li>외관
 
<gallery>
 
image:transformer05_001.jpg
 
image:transformer05_002.jpg | DIP solder terminal
 
image:transformer05_003.jpg | 외곽은 어떻게 접지시켰지?
 
</gallery>
 
<li>분해
 
<gallery>
 
image:transformer05_004.jpg
 
image:transformer05_005.jpg | channel bracket
 
image:transformer05_006.jpg
 
image:transformer05_007.jpg
 
image:transformer05_008.jpg | EE ferrite cores
 
</gallery>
 
<li>4층 코일
 
<gallery>
 
image:transformer05_009.jpg
 
image:transformer05_010.jpg | wrapper
 
image:transformer05_011.jpg | Bondable Magnet Wire
 
image:transformer05_012.jpg
 
image:transformer05_013.jpg | layer insulation
 
</gallery>
 
<li>접지 - electrostatic shield, single turn of conductive nonferrous foil
 
<gallery>
 
image:transformer05_014.jpg
 
</gallery>
 
<li>3층 코일
 
<gallery>
 
image:transformer05_015.jpg
 
image:transformer05_016.jpg
 
</gallery>
 
<li>2층 코일
 
<gallery>
 
image:transformer05_017.jpg
 
image:transformer05_018.jpg
 
</gallery>
 
<li>접지 - electrostatic shield
 
 
<gallery>
 
<gallery>
image:transformer05_019.jpg
+
image:t43p01_011.jpg | LinkCom, LAN0019-01G, 06년 11주차생산, Conexant SmartDAA용 [[펄스 트랜스포머]]
image:transformer05_020.jpg
 
 
</gallery>
 
</gallery>
<li>1층 primary 코일
+
<li>HP Officejet 4355 All-in-one
 
<gallery>
 
<gallery>
image:transformer05_021.jpg
+
image:inkjet02_036.jpg
 +
image:modem_trans01_001.png
 +
image:modem_trans01_002.png
 
</gallery>
 
</gallery>
<li>보빈 bobbin
+
<li>캐논 잉크젯 복합기 PIXMA E600
 
<gallery>
 
<gallery>
image:transformer05_022.jpg
+
image:fax02_001.jpg
 +
image:modem_trans02_001.jpg
 +
image:modem_trans02_002.jpg
 +
image:modem_trans02_003.jpg
 +
image:modem_trans02_004.png
 +
image:modem_trans02_005.png
 
</gallery>
 
</gallery>
</ol>
 
</ol>
 
</ol>
 
<li>기타
 
<ol>
 
<li>페라이트 코어 사용
 
<ol>
 
<li>미쓰비시 CRT Deflection 회로에서
 
<gallery>
 
image:transformer03_001.jpg
 
</gallery>
 
</ol>
 
<li>규소 강판 사용
 
 
</ol>
 
</ol>
 
</ol>
 
</ol>

2023년 2월 13일 (월) 10:57 기준 최신판

펄스 트랜스포머

  1. 전자부품
    1. 수동부품
      1. 트랜스포머
        1. 펄스 트랜스포머 - 이 페이지
      2. 참고
        1. LAN트랜스
        2. RF트랜스
  2. 계측기에서 사용되는 펄스 트랜스포머
    1. 데이터시트
      1. JPC
        1. 트랜스 ,
        2. 지연선 delay line ,
    2. optocoupler처럼 사용되는 isolation transformers interface
      1. TR6878 DMM에서, 아날로그 보드로부터 오는 신호선 처리
      2. HP 3456A DMM에서, isolation transformers interface (Rx, Tx)
      3. 3478A DMM
      4. NF WF1943B 다기능 함수 합성기에서
      5. 4446xA
      6. 3421A, 디지털+HPIB 보드와 연결되는 Tx/Rx 포트
        1. 외관
        2. 주파수 특성 측정
        3. R3753BH 네트워크분석기로 주파수 통과 특성 측정
    3. Digital Isolators(monolithic air core transformer technology)
      1. ADUM1400 Quad-Channel Digital Isolators
        1. 자료
          1. 규격서 - 31p
          2. 기술자료 - 6p
        2. LE-5150 LED 파워서플라이용 전자부하에서
  3. DSL 디지탈가입자회선에서
    1. VDSL, Very high speed Digital Subscriber Line에서
      1. Pulse BX4141W, RF 트랜스포머
      2. R3753BH 네트워크분석기로 측정 데이터,
  4. 모뎀
    1. 자료
      1. 측정 데이터,
    2. 2001년 출시 Power Mac G4 데스트탑에서
    3. 2006년 03월 출시 노트북, IBM T43p
    4. HP Officejet 4355 All-in-one
    5. 캐논 잉크젯 복합기 PIXMA E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