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D 측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LD 측정 <ol> <li> 전자부품 <ol> <li>광 <ol> <li> LD 레이저 다이오드 <ol> <li> LD 측정 - 이 페이지 </ol> </ol> <li>참고 <ol> <li> 다이오드 V-I...)
 
잔글
 
52번째 줄: 52번째 줄:
 
<li>실험 방법
 
<li>실험 방법
 
<ol>
 
<ol>
<li>사용 LD: KY-008
+
<li>오실로스코프로 관찰한다.
 +
<ol>
 +
<li>CH1: LD에 가하는 전압을 병렬연결하여 10M오옴 프루브로 측정한다.
 +
<li>CH2: PD 출력을 아무런 임피던스 매칭하지 않고 1M오옴 프루브로 측정한다.
 +
</ol>
 +
<li>PD 출력은 [[PD-IC]]: Polaris-PD 를 사용한다.
 
<gallery>
 
<gallery>
image:ld_evb01_001.jpg | 핀 S +5V, 핀 -가 접지
+
image:pd_ic02_001.jpg | 샘플 #1, #2가 있다.
 
</gallery>
 
</gallery>
<li>사용 [[PD-IC]]: Polaris-PD
+
<li>방형파(square wave) 발생기: [[33120A]] 전압 출력을 바로 LD에 공급한다.
<gallery>
 
image:pd_ic02_001.jpg
 
</gallery>
 
<li>방형파(square wave) 발생기: [[33120A]] 출력을 바로 LD에 공급한다.
 
 
<ol>
 
<ol>
 
<li>출력임피던스: 무한대
 
<li>출력임피던스: 무한대
<li>전압: 최소 1.8V, 최대 4V
+
<li>전압: 최소 1.8V, 최대 4V 등으로 변경하여, LD와 PD가 서로 최대한 빨리 ON-OFF 되는 중간점을 찾는다.
<ol>
 
<li>V offset: 2.9V
 
<li>V peak-peak: 2.2V
 
</ol>
 
 
</ol>
 
</ol>
 
<li>실험 사진
 
<li>실험 사진
75번째 줄: 72번째 줄:
 
</gallery>
 
</gallery>
 
</ol>
 
</ol>
 +
<li>사용 LD: KY-008
 +
<ol>
 +
<li>LD 외관
 +
<gallery>
 +
image:ld_evb01_001.jpg | 핀 S +5V, 핀 -가 접지
 +
</gallery>
 
<li>실험-1
 
<li>실험-1
 
<ol>
 
<ol>
103번째 줄: 106번째 줄:
 
<li>'''변조속도 10MHz까지 올릴 수 있다.'''
 
<li>'''변조속도 10MHz까지 올릴 수 있다.'''
 
<ol>
 
<ol>
<li>'''실험-1에 사용된 PD가 불량품이다.'''
+
<li>'''실험-1은 잘못하였다.'''
 
</ol>
 
</ol>
 
<li>LD보다 PD 반응속도가 빠른 것 같다.(?)
 
<li>LD보다 PD 반응속도가 빠른 것 같다.(?)
 
<li>현재 이 측정값이 이 실험 방법에서는 최고 속도인듯하다.
 
<li>현재 이 측정값이 이 실험 방법에서는 최고 속도인듯하다.
 +
</ol>
 +
<li>PD #1으로 측정하니, PD #2와 똑같이 측정된다.
 +
</ol>
 +
</ol>
 +
<li>사용 LD: SYD1230
 +
<ol>
 +
<li>LD 외관
 +
<gallery>
 +
image:ld_evb03_001.jpg
 +
</gallery>
 +
<li>측정 그래프
 +
<gallery>
 +
image:ld_onoff01_004_001.png | LD 속에 드라이브 회로가 있어, 상승+하강시간이 약 30us이다. 그럼 약 30kHz 동작한다.
 +
image:ld_onoff01_004_002.png | PD가 on, off되는 LD 전압수위를 조정해야 최대 속도를 맞출 수 있다.
 +
image:ld_onoff01_004_003.png | '''LD 전압을 정교하게 조정했을 때 PD는 최대 5MHz까지 반응한다.'''
 +
</gallery>
 +
<li>의견
 +
<ol>
 +
<li> [[K-7600,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서
 +
<gallery>
 +
image:sl_k7600_01_007.jpg | [[커버없는 가변R]] 4개를 사용하고 있다.
 +
</gallery>
 +
<li>4개의 레이저 각각이 ON/OFF되는 전압 중심값을 맞추기 위해서 있는 듯
 
</ol>
 
</ol>
 
</ol>
 
</ol>
 
</ol>
 
</ol>
 
</ol>
 
</ol>

2023년 3월 25일 (토) 16:03 기준 최신판

LD 측정

  1. 전자부품
      1. LD 레이저 다이오드
        1. LD 측정 - 이 페이지
    1. 참고
      1. 다이오드 V-I 커브
  2. 구입품 LD,
    1. 3가지 구입품 사진
      1. KY-008
      2. SHHO 판매자
      3. SYD1230
    2. 측정 엑셀 파일
      1. 그래프
      2. 약 1.8V근처에서 켜진다. 그러므로 TTL 신호로 ON-OFF 모듈레이션을 할 때는 offset 전압을 1.8V, 최대 3.3V를 가한다.
    3. 결과
      1. KY-008는 드라이버 회로가 없다.
      2. 나머지는 드라이버 회로 내장되어 있어, 일정한 출력을 보이기 위해서 전류를 제한하고 있다.
  3. LD on-off 변조속도(modulation speed)
    1. 실험 방법
      1. 오실로스코프로 관찰한다.
        1. CH1: LD에 가하는 전압을 병렬연결하여 10M오옴 프루브로 측정한다.
        2. CH2: PD 출력을 아무런 임피던스 매칭하지 않고 1M오옴 프루브로 측정한다.
      2. PD 출력은 PD-IC: Polaris-PD 를 사용한다.
      3. 방형파(square wave) 발생기: 33120A 전압 출력을 바로 LD에 공급한다.
        1. 출력임피던스: 무한대
        2. 전압: 최소 1.8V, 최대 4V 등으로 변경하여, LD와 PD가 서로 최대한 빨리 ON-OFF 되는 중간점을 찾는다.
      4. 실험 사진
    2. 사용 LD: KY-008
      1. LD 외관
      2. 실험-1
        1. Polaris-PD 샘플 #1로
        2. 의견
          1. PD가 측정하는 상승+하강시간이 40us이다. 두 배인 약 100us간격이라면 10kHz가 최대변조속도가 된다.
          2. PD의 상승+하강시간이 이보다 1000배 짧아야 10MHz 변조속도가 가능하다.
          3. 상승 및 하강속도가 LD 때문인지, PD 때문인지 현재 알 수 없다.
      3. 실험-2
        1. Polaris-PD 샘플 #2로. 윗쪽 그래프는 LD에 가한 신호, 아랫쪽 그래프는 PD 출력 신호
        2. 의견
          1. 변조속도 10MHz까지 올릴 수 있다.
            1. 실험-1은 잘못하였다.
          2. LD보다 PD 반응속도가 빠른 것 같다.(?)
          3. 현재 이 측정값이 이 실험 방법에서는 최고 속도인듯하다.
        3. PD #1으로 측정하니, PD #2와 똑같이 측정된다.
    3. 사용 LD: SYD1230
      1. LD 외관
      2. 측정 그래프
      3. 의견
        1. K-7600,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서
        2. 4개의 레이저 각각이 ON/OFF되는 전압 중심값을 맞추기 위해서 있는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