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직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li> [[압전체 진동모터]] | <li> [[압전체 진동모터]] | ||
</ol> | </ol> | ||
+ | </ol> | ||
+ | </ol> | ||
+ | <li>고정시키고 측정해야 한다. | ||
+ | <ol> | ||
+ | <li>2012.09 출시 삼성 [[갤럭시 노트2]] 스마트폰 | ||
+ | <ol> | ||
+ | <li>사진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35.jpg | ||
+ | image:shv_e250s01_035_001.jpg | 금속 프레임에 붙는, [[양면 접착테이프]]를 붙인 밑면 | ||
+ | </gallery> | ||
+ | <li>[[R3753BH]] 네트워크분석기로 통과특성 측정 데이터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35_002.jpg | 위쪽에 있는 구멍 4개를 오픈했을 때 | ||
+ | image:shv_e250s01_035_003.png | 고정시킬 때와 그렇지 않을 때의 고유진동수에 차이가 크다. | ||
+ | </gallery> | ||
</ol> | </ol> | ||
</ol> | </ol> | ||
30번째 줄: | 46번째 줄: | ||
<ol> | <ol> | ||
<li>vertical directions 으로 움직인다. | <li>vertical directions 으로 움직인다. | ||
+ | <li>2009.12 출시 삼성 [[SPH-M8400]] 옴니아2 스마트폰 | ||
+ | <ol> | ||
+ | <li>사진 | ||
+ | <gallery> | ||
+ | image:sph_m8400_009.jpg | 진동모터 높이가 비교적 높다. | ||
+ | </gallery> | ||
+ | <li>DC 바이어스 전류에 따른 임피던스 측정 엑셀 파일 | ||
+ | <ol> | ||
+ | <li>측정시 주의사항 | ||
+ | <ol> | ||
+ | <li>'''몸체가 움직이지 않게 단단히 고정시킨다. 고정시키지 않으면 엉뚱한 임피던스가 나온다.''' | ||
+ | <li>고유진동수를 먼저 찾아야 한다. | ||
+ | <li>LCR 미터는 DC 바이어스 전류가 +100mA에서 -100mA 사이가 나온다. | ||
+ | </ol> | ||
+ | <li>DC 바이어스 전류에 공진주파수는 의존하지 않는다. | ||
+ | <gallery> | ||
+ | image:sph_m8400_009_001.png | 잘못하여 400~700Hz 주파수 범위에서 측정함. 임피던스 차이가 4%밖에 안된다. | ||
+ | image:sph_m8400_009_002.png | 150~200Hz 주파수 범위에서 측정. 임피던스 차이는 25%보인다. | ||
+ | </gallery> | ||
+ | </ol> | ||
+ | </ol> | ||
<li>15/09/23 파트론 제품 | <li>15/09/23 파트론 제품 | ||
<gallery> | <gallery> | ||
82번째 줄: | 119번째 줄: | ||
image:actuator06_011.png | 분해하면서(기준은 자성유체를 잘 닦은 거한 후) | image:actuator06_011.png | 분해하면서(기준은 자성유체를 잘 닦은 거한 후) | ||
</gallery> | </gallery> | ||
− | <li>18/08/05 | + | <li>18/08/05 |
<ol> | <ol> | ||
<li>실험 방법 | <li>실험 방법 | ||
93번째 줄: | 130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image:actuator06_015.jpg | 스피커 입력파형(구형파 비슷) vs 진동모터 출력파형(사인파 비슷) | image:actuator06_015.jpg | 스피커 입력파형(구형파 비슷) vs 진동모터 출력파형(사인파 비슷) | ||
− | image:actuator06_016.jpg | 35660A | + | image:actuator06_016.jpg | [[HP 35660A]] 동적 신호분석기로 THD 를 관찰(만 했음) |
</gallery> | </gallery> | ||
− | <li> | + | <li>오실로스코프로 파형 및 FFT 측정 데이터 |
<ol> | <ol> | ||
<li>입력 진동 주파수에 따른 출력 진동 스코프 파형 3가지 | <li>입력 진동 주파수에 따른 출력 진동 스코프 파형 3가지 | ||
129번째 줄: | 166번째 줄: | ||
<li>2020년, M-플러스 제품으로 추정. 정사각형(10x10mm)으로 만들어 진동체 체적을 키워 진동 충격량을 키운 모델이다. | <li>2020년, M-플러스 제품으로 추정. 정사각형(10x10mm)으로 만들어 진동체 체적을 키워 진동 충격량을 키운 모델이다. | ||
<ol> | <ol> | ||
− | <li>LCR 미터로 Z- | + | <li>LCR 미터로 Z-theta를 측정한 엑셀데이터 |
<li>외형 | <li>외형 | ||
<gallery> | <gallery> | ||
image:lra01_001.jpg | 위면은 Vibration Damping Tape(상품명 Poron) 붙였다. | image:lra01_001.jpg | 위면은 Vibration Damping Tape(상품명 Poron) 붙였다. | ||
− | image:lra01_002.jpg | 테이프 뜯으니 구멍이 있다. (구멍 역할- | + | image:lra01_002.jpg | 테이프 뜯으니 구멍이 있다. (구멍 역할-자성유체를 과량 공급하면 [[면봉]]으로 흡수해 진동량을 키운다) |
image:lra01_003.jpg | 양면 테이프가 있는 밑면(부착면) 외각레이저는 뚜껑용접, 안쪽 9군데 용접은 스프링 고정용 | image:lra01_003.jpg | 양면 테이프가 있는 밑면(부착면) 외각레이저는 뚜껑용접, 안쪽 9군데 용접은 스프링 고정용 | ||
</gallery> | </gallery> | ||
<li>임피던스 측정 | <li>임피던스 측정 | ||
+ | <ol> | ||
+ | <li>LCR 미터로 임피던스 측정 | ||
<gallery> | <gallery> | ||
image:lra01_004.png | 100~1000Hz | image:lra01_004.png | 100~1000Hz | ||
image:lra01_005.png | 200~400Hz 자세히. 고유진동수 근처에서 기생공진이 있다. | image:lra01_005.png | 200~400Hz 자세히. 고유진동수 근처에서 기생공진이 있다. | ||
+ | </gallery> | ||
+ | <li>네트워크분석기와 LCR 미터로 측정 비교 | ||
+ | <gallery> | ||
image:lra01_006.png | 200~400Hz에서, 네트워크 분석기로 이득과 비교. 최대임피던스 약간 위쪽이 최소 이득을 보인다. | image:lra01_006.png | 200~400Hz에서, 네트워크 분석기로 이득과 비교. 최대임피던스 약간 위쪽이 최소 이득을 보인다. | ||
+ | </gallery> | ||
+ | <li>DC 전류 바이어스에 따른 임피던스 | ||
+ | <gallery> | ||
image:lra01_007.png | DC 전류바이어스에 따른 임피던스 - 경향성이 없다. 그래서 | image:lra01_007.png | DC 전류바이어스에 따른 임피던스 - 경향성이 없다. 그래서 | ||
image:lra01_008.png | -100mA~+100mA DC 전류바이어스에 따른 330Hz에서 임피던스. 한쪽이 먼저 닿는다. | image:lra01_008.png | -100mA~+100mA DC 전류바이어스에 따른 330Hz에서 임피던스. 한쪽이 먼저 닿는다. | ||
</gallery> | </gallery> | ||
+ | </ol> | ||
<li>분해 | <li>분해 | ||
<gallery> | <gallery> | ||
164번째 줄: | 210번째 줄: | ||
<li>액체는 쉽게 퍼지거나 휘발하므로, 원하는 곳에 액체를 계속 가두기 위해서 자성유체를 사용한다. | <li>액체는 쉽게 퍼지거나 휘발하므로, 원하는 곳에 액체를 계속 가두기 위해서 자성유체를 사용한다. | ||
</ol> | </ol> | ||
+ | </ol> | ||
+ | <li>AS129484, C35-8167-2, 삼성 Galaxy A54, A546(5G 모델)용, 직사각형(9x8x3.7mm) | ||
+ | <ol> | ||
+ | <li>2024/01/11 넥스벨이 중국에서 구입함. 두 개 기증받음. | ||
</ol> | </ol> | ||
</ol> | </ol> | ||
</ol> | </ol> | ||
</ol> | </ol> |
2024년 3월 12일 (화) 13:42 기준 최신판
수직형 LRA 진동모터
- 링크
- 고정시키고 측정해야 한다.
- LRA 진동모터 (Linear Resonant Actuators;LRA;선형 공진 액츄에이터)
- 수평형 LRA 진동모터
- horizontal directions 으로 움직인다.
- 수직형 LRA 진동모터
- vertical directions 으로 움직인다.
- 2009.12 출시 삼성 SPH-M8400 옴니아2 스마트폰
- 사진
- DC 바이어스 전류에 따른 임피던스 측정 엑셀 파일
- 측정시 주의사항
- 몸체가 움직이지 않게 단단히 고정시킨다. 고정시키지 않으면 엉뚱한 임피던스가 나온다.
- 고유진동수를 먼저 찾아야 한다.
- LCR 미터는 DC 바이어스 전류가 +100mA에서 -100mA 사이가 나온다.
- DC 바이어스 전류에 공진주파수는 의존하지 않는다.
- 측정시 주의사항
- 사진
- 15/09/23 파트론 제품
- GT-B7722, 2010년 7월 출시
- 임피던스 측정 데이터
- 사진 #1
- 사진 #2
- 임피던스 측정 데이터
- 삼성전자 2010년도 어떤 핸드폰에서
- 임피던스 측정 데이터 - +-1V bias에 따른(정확한 재실험이 필요함)
- 사진
- 임피던스 측정 데이터 - +-1V bias에 따른(정확한 재실험이 필요함)
- M플러스, 2018/07/11 모델 M8405 ?
- 측정
- R3753BH, 100Hz~1kHz로 측정
- 18/08/05
- 실험 방법
- 파형
HP 35660A 동적 신호분석기로 THD 를 관찰(만 했음)
- 오실로스코프로 파형 및 FFT 측정 데이터
- 입력 진동 주파수에 따른 출력 진동 스코프 파형 3가지
- 주파수에 따른 출력전압, THD
- 입력 진동 주파수에 따른 출력 진동 스코프 파형 3가지
- 실험 방법
- R3753BH, 100Hz~1kHz로 측정
- 외관
- 분해
- 측정
- 2020년, M-플러스 제품으로 추정. 정사각형(10x10mm)으로 만들어 진동체 체적을 키워 진동 충격량을 키운 모델이다.
- LCR 미터로 Z-theta를 측정한 엑셀데이터
- 외형
테이프 뜯으니 구멍이 있다. (구멍 역할-자성유체를 과량 공급하면 면봉으로 흡수해 진동량을 키운다)
- 임피던스 측정
- LCR 미터로 임피던스 측정
- 네트워크분석기와 LCR 미터로 측정 비교
- DC 전류 바이어스에 따른 임피던스
- LCR 미터로 임피던스 측정
- 분해
- 분해 후, 뚜껑이 없는 상태에서 임피던스 측정
- 자성유체를 사용하는 이유 추정
- 부딪히므로 완충재를 넣어야 한다.
- 액체는 속도 제곱에 비례하는 저항을 보이므로, 액체를 댐핑재료로 사용하면 좋다.
- 액체는 쉽게 퍼지거나 휘발하므로, 원하는 곳에 액체를 계속 가두기 위해서 자성유체를 사용한다.
- AS129484, C35-8167-2, 삼성 Galaxy A54, A546(5G 모델)용, 직사각형(9x8x3.7mm)
- 2024/01/11 넥스벨이 중국에서 구입함. 두 개 기증받음.
- 수평형 LRA 진동모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