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tional VP-7722A 오디오분석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Togotech님이 VP-7722A 문서를 National VP-7722A 오디오분석기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잔글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VP-7722A | + | National VP-7722A 오디오분석기 |
− | |||
− | |||
<ol> | <ol> | ||
<li> [[전자부품]] | <li> [[전자부품]] | ||
− | |||
− | |||
<ol> | <ol> | ||
<li> [[오디오분석기]] | <li> [[오디오분석기]] | ||
<ol> | <ol> | ||
− | <li> | + | <li> [[National VP-7722A 오디오분석기]] - 이 페이지 |
− | |||
− | |||
</ol> | </ol> | ||
</ol> | </ol> | ||
37번째 줄: | 31번째 줄: | ||
<li>이력, 기술자료 | <li>이력, 기술자료 | ||
<ol> | <ol> | ||
+ | <li>1985년 부품이 사용됨. 1985년 또는 1986년에 제조된 것으로 추정 | ||
<li>20/08/17 - 2p | <li>20/08/17 - 2p | ||
<gallery> | <gallery> | ||
45번째 줄: | 40번째 줄: | ||
<li>2020/09/03 도착 | <li>2020/09/03 도착 | ||
<li>2020/09/27 전원 투입. 전면 패널에 모든 LED 점등. 동작하지 않음. | <li>2020/09/27 전원 투입. 전면 패널에 모든 LED 점등. 동작하지 않음. | ||
+ | <li>2021/05/14 내부 보드 모두 뽑아 점검 후 | ||
+ | <ol> | ||
+ | <li>전면 패널에 모든 LED 점등. 동작하지 않음. GPIB도 인식되지 않음. | ||
</ol> | </ol> | ||
+ | <li>2022/01/03 분해하여 버리면서 사진촬영 | ||
+ | </ol> | ||
+ | <li> [[NiCd 배터리]]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04.jpg | 3.6V 50mAh,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GS GB50-3F | ||
+ | image:vp7722a_005.jpg | ||
+ | </gallery> | ||
+ | <li>[[유리관형퓨즈]]를 사용하는 [[퓨즈 홀더]] 너트에 풀칠이 강력해, 너트를 돌리니 본체가 파괴됨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59.jpg | ||
+ | </gallery> | ||
+ | <li> [[AC트랜스]] | ||
+ | <ol> | ||
+ | <li> [[110/220V 변경방법]]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60.jpg | 외부에서 [[슬라이드 스위치]] 두 개로 4가지 전압을 선택한다. | ||
+ | </gallery> | ||
+ | <li> [[쇼트키 정류다이오드]], dual schottky diode, Shindengen S30SC 30A, [[TO-3]] 다이아몬드형 금속패키지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61.jpg | ||
+ | image:vp7722a_062.jpg | S30SC4 40V | ||
+ | </gallery> | ||
+ | </ol> | ||
+ | <li>보드 전체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06.jpg | 디지털 회로 보드 전체를 [[실드 깡통]]속에 넣었다. | ||
+ | image:vp7722a_010.jpg | 디지털 회로 [[실드 깡통]]을 제거한 후 | ||
+ | </gallery> | ||
+ | <li>디지털 회로 보드가 있는 [[실드 깡통]]을 통과하는 | ||
+ | <ol> | ||
+ | <li>GPIB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07.jpg | ||
+ | </gallery> | ||
+ | <li>전원전압용 [[피드쓰루 EMI필터]]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08.jpg | ||
+ | image:vp7722a_009.jpg | ||
+ | image:vp7722a_009_001.jpg | ||
+ | image:vp7722a_009_002.jpg | ||
+ | image:vp7722a_009_003.jpg | ||
+ | image:vp7722a_009_004.jpg | ||
+ | </gallery> | ||
+ | <li>신호선 [[피드쓰루 EMI필터]]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49.jpg | ||
+ | image:vp7722a_050.jpg | ||
+ | image:vp7722a_051.jpg | ||
+ | image:vp7722a_052.jpg | ||
+ | image:vp7722a_053.jpg | ||
+ | image:vp7722a_054.jpg | ||
+ | image:vp7722a_054_002.jpg | ||
+ | </gallery> | ||
+ | <li> [[피드쓰루 EMI필터]]의 주파수 특성 측정 데이터 | ||
+ | <ol> | ||
+ | <li>전원전압용 관통필터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09_005.jpg | ||
+ | image:vp7722a_009_006.jpg | ||
+ | </gallery> | ||
+ | <li>디지털신호용 관통필터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54_001.jpg | ||
+ | </gallery> | ||
+ | <li>그래프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09_007.png | ||
+ | image:vp7722a_009_008.png | -3dB 컷오프 주파수는 전원용 100kHz와 디지털용 1MHz | ||
+ | </gallery> | ||
+ | </ol> | ||
+ | </ol> | ||
+ | <li>아날로그 | ||
+ | <ol> | ||
+ | <li>전체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12.jpg | ||
+ | </gallery> | ||
+ | <li>보드1 - 전원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11.jpg | Tr 방열방법 | ||
+ | image:vp7722a_011_001.jpg | Mitsubishi 2SB1055, pnp, -120V -6A | ||
+ | image:vp7722a_013.jpg | ||
+ | image:vp7722a_036.jpg | ||
+ | </gallery> | ||
+ | <li>보드2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14.jpg | ||
+ | image:vp7722a_034.jpg | ||
+ | image:vp7722a_035.jpg | Anritsu SVR-5 [[릴레이]]를 소켓에 꼽아 사용하고 있다. | ||
+ | </gallery> | ||
+ | <li>보드3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15.jpg | ||
+ | image:vp7722a_033.jpg | 3U UDM-205GA [[리드릴레이]] | ||
+ | </gallery> | ||
+ | <li>보드 4,5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16.jpg | 보드4 | ||
+ | image:vp7722a_017.jpg | 보드5, 보드4와 같게 보인다. | ||
+ | image:vp7722a_029.jpg | [[quick disconnect 터미날]]에서 male을 PCB에 리벳팅하여 고정함. | ||
+ | image:vp7722a_030.jpg | 수직으로 세운 두 PCB는 필터 회로일듯 | ||
+ | image:vp7722a_031.jpg | [[색띠]], 5자리가 녹색은 0.5% 편차 | ||
+ | image:vp7722a_032.jpg | [[역병렬 Antiparallel 다이오드]] | ||
+ | </gallery> | ||
+ | <li>보드 6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18.jpg | ||
+ | image:vp7722a_026.jpg | ||
+ | image:vp7722a_027.jpg | 1st Notch회로. 날카로운 노치 파형을 얻기 위해서 많은 C를 사용함. | ||
+ | image:vp7722a_028.jpg | 원하는 [[저항기]]값이 없어서 두 저항기를 직렬연결한 듯. | ||
+ | </gallery> | ||
+ | <li>보드 7 | ||
+ | <ol> | ||
<li>사진 | <li>사진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19.jpg | ||
+ | image:vp7722a_025.jpg | PCB inserter & extractor | ||
+ | </gallery> | ||
+ | <li>HI1-201-5, Quad SPST CMOS Analog Switches, Harris Semiconductor. 참고: [[RF스위치]]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24.jpg | ||
+ | image:vp7722a_024_001.jpg | frit 프리트 실링 | ||
+ | image:vp7722a_024_002.jpg | 다이 | ||
+ | image:vp7722a_024_003.jpg | ||
+ | </gallery> | ||
+ | </ol> | ||
+ | <li>보드 8, [[카드에지]]를 사용하여 접속한다.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20.jpg | ||
+ | image:vp7722a_022.jpg | ||
+ | </gallery> | ||
+ | <li>백플랜(backplane)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21.jpg | [[VME 커넥터]] | ||
+ | image:vp7722a_023.jpg | NEC 2401 quad [[광커플러]] | ||
+ | </gallery> | ||
+ | </ol> | ||
+ | <li>디지털 | ||
+ | <ol> | ||
+ | <li>전체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37.jpg | ||
+ | </gallery> | ||
+ | <li>보드 1 - AD | ||
<ol> | <ol> | ||
− | <li> | + | <li>보드 전체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38.jpg | 두 나사로 고정하는 방열판을 제거한 후 | ||
+ | </gallery> | ||
+ | <li>Matsushita MA6197A [[ADC]]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39.jpg | ||
+ | image:vp7722a_039_001.jpg | ||
+ | image:vp7722a_039_002.jpg | 왼쪽에서부터 1,2,3,4 다이 | ||
+ | image:vp7722a_039_003.jpg | 다이1, 6975, 본딩패드 번호 1~8 | ||
+ | image:vp7722a_039_004.jpg | 다이2, RN-147AD WRL 801118, 저항 | ||
+ | image:vp7722a_039_005.jpg | 다이3, N1A N6805 | ||
+ | image:vp7722a_039_006.jpg | 다이4, AN6970 N13 | ||
+ | </gallery> | ||
+ | </ol> | ||
+ | <li>보드 2 - [[DSP]]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40.jpg | ||
+ | image:vp7722a_041.jpg | TMS32010NL | ||
+ | </gallery> | ||
+ | <li>보드 3 - Interface, NEC D8085AC [[MCU]], D7210C [[GPIB IC]], D8259AC Interrupt Controller, D8253C Interval Timer, Hitachi HM6264LP [[SRAM]]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42.jpg | ||
+ | </gallery> | ||
+ | <li>보드 4 - Master | ||
+ | <ol> | ||
+ | <li>보드 전체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43.jpg | NEC D446C [[SRAM]], NEC D8085AC 8085 8-bit [[MCU]] | ||
+ | </gallery> | ||
+ | <li> [[금속 패키지 수정 공진기]]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44.jpg | KSS 16000 [[금속 패키지 수정 공진기]] HC-49U 패키지, 솔더실링 | ||
+ | image:vp7722a_045.jpg | Hitachi HD10102 Quad 2-input NOR gate | ||
+ | image:vp7722a_045_001.jpg | ||
+ | image:vp7722a_045_002.jpg | ||
+ | </gallery> | ||
+ | </ol> | ||
+ | <li>보드 5 - Counter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46.jpg | NEC D446C [[SRAM]], NEC D8085AC, 8085 8-bit [[MCU]] | ||
+ | </gallery> | ||
+ | <li>마더보드 | ||
+ | <ol> | ||
+ | <li>[[VME 커넥터]]를 사용한다.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47.jpg | ||
+ | </gallery> | ||
+ | <li>DC 5V, 3개 채널에 [[LC필터]]를 사용한 노이즈필터가 각각 존재한다.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48.jpg | 전원용 초크용으로 사용되는 [[토로이달L]], 케이블타이로 고정함. | ||
+ | image:vp7722a_048_001.jpg | ||
+ | image:vp7722a_048_002.png | 회로도 | ||
+ | image:vp7722a_048_003.png | 주파수 특성 | ||
+ | </gallery> | ||
+ | </ol> | ||
+ | </ol> | ||
+ | <li> [[axial flow팬]]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55.jpg | Matsushita Electric, Panaflo, 날개5개, FBP-08B12H와 FBP-06B12L | ||
+ | </gallery> | ||
+ | <li>이 계측기에 사용된 모든 3단자(절연) [[BNC 커넥터]]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58.jpg | ||
+ | </gallery> | ||
+ | <li>사용된 거의 모든 신호 연결을 위한 [[크림프]] 커넥터에서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63.jpg | ||
+ | </gallery> | ||
+ | <li>전면 패널 | ||
+ | <ol> | ||
+ | <li>기능 인쇄 글씨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64.jpg | ||
+ | </gallery> | ||
+ | <li>버튼/표시 보드 및 신호처리 보드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65.jpg | ||
+ | image:vp7722a_066.jpg | main panel과 sub panel로 이루어져 있다. | ||
+ | image:vp7722a_067.jpg | main panel을 들어올리면 sub panel이 있다. | ||
+ | image:vp7722a_068.jpg | [[로직]] IC로 가득찼다. | ||
+ | </gallery> | ||
+ | <li> [[택타일 스위치]] | ||
+ | <gallery> | ||
+ | image:vp7722a_069.jpg | LED가 없고 있고, 그리고 [[정전기]] 주의 표시 | ||
+ | </gallery> | ||
+ | <li> [[기계식엔코더]] | ||
<gallery> | <gallery> | ||
− | image:.jpg | + | image:vp7722a_070.jpg | Panasonic 5LKJ |
+ | image:vp7722a_071.jpg | Made in Japan, 쇠구슬 및 동판으로 만든 스프링 | ||
+ | image:vp7722a_072.jpg | 쇠구슬 | ||
+ | image:vp7722a_073.jpg | ||
+ | image:vp7722a_073_001.jpg |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을 구분하기 위해 접점 각도가 약간 틀어져 있다. | ||
+ | image:vp7722a_074.jpg | 접점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ol> | </ol> | ||
</ol> | </ol> |
2025년 1월 31일 (금) 11:58 기준 최신판
National VP-7722A 오디오분석기
- 전자부품
- 오디오분석기
- National VP-7722A 오디오분석기 - 이 페이지
- 오디오분석기
- National VP-7722A 오디오 분석기, 제조회사 Matsushita Communication Industrial Co., Ltd.
- 자료
- 동작원리
- 신호발생기(10Hz~110kHz, max open 10Vrms/600ohm 5Vrms, THD 0.0002% -114dB)에서 나온 입력
- 여기에 50/60Hz 신호를 mix한 IMD 신호도 넣을 수 있다.
- DUT(즉, 앰프)에 입력하고, Left, Right 출력 특성을 측정한다.
- 신호발생기(10Hz~110kHz, max open 10Vrms/600ohm 5Vrms, THD 0.0002% -114dB)에서 나온 입력
- GPIB, low distortion 0.0001% full scale, 17kg
- 문서
- 일본어 카탈로그 - 6p
- 영어 사용자설명서에서 규격부분만 - 21p
- 일본어 User Manual - 150p
- 한글 간략 - 7p
- 동작원리
- 이력, 기술자료
- 1985년 부품이 사용됨. 1985년 또는 1986년에 제조된 것으로 추정
- 20/08/17 - 2p
- 2020/09/03 도착
- 2020/09/27 전원 투입. 전면 패널에 모든 LED 점등. 동작하지 않음.
- 2021/05/14 내부 보드 모두 뽑아 점검 후
- 전면 패널에 모든 LED 점등. 동작하지 않음. GPIB도 인식되지 않음.
- 2022/01/03 분해하여 버리면서 사진촬영
- NiCd 배터리
- 유리관형퓨즈를 사용하는 퓨즈 홀더 너트에 풀칠이 강력해, 너트를 돌리니 본체가 파괴됨
- AC트랜스
- 110/220V 변경방법
외부에서 슬라이드 스위치 두 개로 4가지 전압을 선택한다.
- 쇼트키 정류다이오드, dual schottky diode, Shindengen S30SC 30A, TO-3 다이아몬드형 금속패키지
- 110/220V 변경방법
- 보드 전체
- 디지털 회로 보드가 있는 실드 깡통을 통과하는
- GPIB
- 전원전압용 피드쓰루 EMI필터
- 신호선 피드쓰루 EMI필터
- 피드쓰루 EMI필터의 주파수 특성 측정 데이터
- 전원전압용 관통필터
- 디지털신호용 관통필터
- 그래프
- 전원전압용 관통필터
- GPIB
- 아날로그
- 전체
- 보드1 - 전원
- 보드2
Anritsu SVR-5 릴레이를 소켓에 꼽아 사용하고 있다.
- 보드3
3U UDM-205GA 리드릴레이
- 보드 4,5
quick disconnect 터미날에서 male을 PCB에 리벳팅하여 고정함.
색띠, 5자리가 녹색은 0.5% 편차
- 보드 6
원하는 저항기값이 없어서 두 저항기를 직렬연결한 듯.
- 보드 7
- 사진
- HI1-201-5, Quad SPST CMOS Analog Switches, Harris Semiconductor. 참고: RF스위치
- 사진
- 보드 8, 카드에지를 사용하여 접속한다.
- 백플랜(backplane)
NEC 2401 quad 광커플러
- 전체
- 디지털
- 전체
- 보드 1 - AD
- 보드 전체
- Matsushita MA6197A ADC
- 보드 전체
- 보드 2 - DSP
- 보드 3 - Interface, NEC D8085AC MCU, D7210C GPIB IC, D8259AC Interrupt Controller, D8253C Interval Timer, Hitachi HM6264LP SRAM
- 보드 4 - Master
- 보드 전체
- 금속 패키지 수정 공진기
KSS 16000 금속 패키지 수정 공진기 HC-49U 패키지, 솔더실링
- 보드 전체
- 보드 5 - Counter
- 마더보드
- 전체
- axial flow팬
- 이 계측기에 사용된 모든 3단자(절연) BNC 커넥터
- 사용된 거의 모든 신호 연결을 위한 크림프 커넥터에서
- 전면 패널
-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