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kogawa TA720 시간간격분석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Togotech님이 TA720 문서를 Yokogawa TA720 시간간격분석기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잔글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TA720 | + | Yokogawa TA720 시간간격분석기 |
− | |||
− | |||
<ol> | <ol> | ||
<li> [[전자부품]] | <li> [[전자부품]] | ||
7번째 줄: | 5번째 줄: | ||
<li> [[시간간격분석기]] | <li> [[시간간격분석기]] | ||
<ol> | <ol> | ||
− | <li> | + | <li> [[Yokogawa TA720 시간간격분석기]] - 이 페이지 |
+ | </ol> | ||
+ | </ol> | ||
+ | <li>Yokogawa TA720 Time Interval Analyzer | ||
+ | <ol> | ||
+ | <li>문서 | ||
+ | <ol> | ||
+ | <li>내부 지터 100ps rms, 분해능 25ps, 측정범위 6ns~20ms (50Hz 이상이어야 한다.) | ||
+ | <ol> | ||
+ | <li>TA520: 내부 지터 100ps rms, 최소입력펄스폭 3nsec, 주파수 8nsec~20msec, 25ps | ||
+ | <li> [[Yokogawa TA320 시간간격분석기]]: 주파수 30nsec~100msec, 100ps | ||
</ol> | </ol> | ||
+ | <li>데이터시트 - 8p | ||
+ | <li>사용자설명서 - 228p | ||
+ | <li>통신설명서 - 130p | ||
+ | <ol> | ||
+ | <li>계산되지 않는 통계값에 대한 응답은 "NAN"이다. 그러므로 수치로 변환할 때는 이런 현상을 예외처리해야 한다. | ||
</ol> | </ol> | ||
</ol> | </ol> | ||
− | <li> | + | <li>내부 표준 클럭 주파수, internal reference frequency |
<ol> | <ol> | ||
− | <li> | + | <li>Temperature-compensated crystal oscillator(TCXO): 10MHz |
+ | <li>주파수 안정성 | ||
+ | <ol> | ||
+ | <li>Aging rate: ±1.5 ppm/year | ||
+ | <li>Temperature characteristics: 2.5 ppm in the range of 5 to 40°C with 25°C as the reference | ||
+ | <li>Frequency accuracy at factory shipment: ±0.5 ppm | ||
+ | </ol> | ||
+ | </ol> | ||
+ | <li>프로그래밍 | ||
<ol> | <ol> | ||
− | |||
− | |||
<li>20/02/13 1천만개 샘플링(10MHz 입력을 1초동안) 분석 베이직 프로그램 [[ta720-1.bas]] | <li>20/02/13 1천만개 샘플링(10MHz 입력을 1초동안) 분석 베이직 프로그램 [[ta720-1.bas]] | ||
</ol> | </ol> | ||
23번째 줄: | 42번째 줄: | ||
<li>측정 범위 | <li>측정 범위 | ||
<ol> | <ol> | ||
− | <li>time stamp mode: 6ns~20ms | + | <li>time stamp(T.S) mode: 6ns~20ms (50Hz~166MHz) |
− | <li>hardware histogram(H.H) mode: 6ns~3.2us | + | <li>hardware histogram(H.H) mode: 6ns~3.2us (315kHz~166MHz) |
+ | </ol> | ||
+ | <li>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연결하고,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면 | ||
+ | <ol> | ||
+ | <li>저장(을 위한 데이터 처리)속도가 매우 느리다.100kB/8초, 최대측정점 1,024,000을 저장하는데 약 30MB(?), 30분(?) 정도 소요된다. | ||
+ | <li>엑셀 라인수 최대인 65,536 이하 측정점이 합리적이다. | ||
+ | <li>24,000 측정점 .CSV 파일은 794kB 용량을 보인다. | ||
+ | </ol> | ||
+ | </ol> | ||
+ | </ol> | ||
+ | <li>#2호기 | ||
+ | <ol> | ||
+ | <li>입고 이력 | ||
+ | <ol> | ||
+ | <li>2024/01/03 발주 - 1p | ||
+ | <li>2024/01/12 입고 | ||
+ | </ol> | ||
+ | <li>성능 | ||
+ | <ol> | ||
+ | <li>옵션 C10(ethernet and PC card interface)이 없다. | ||
+ | </ol> | ||
+ | <li>2024/01/15 내부 살표보니 | ||
+ | <gallery> | ||
+ | image:ta72002_001.jpg | 8장 보드가 수직으로 꼽혀있다. 앞을 1번보드라고 하면 | ||
+ | image:ta72002_002.jpg | 1번보드에서 MC10E163FN mux, QuickLogic QL3012-3PF144C [[FPGA]] | ||
+ | image:ta72002_003.jpg | 내부 표준 [[TCXO]] TEW TX1834NC 10.000MHz | ||
+ | image:ta72002_004.jpg | SMPS 라벨, 모델명 확인못함 | ||
+ | </gallery> | ||
+ | <li>내부 TCXO 클럭 | ||
+ | <ol> | ||
+ | <li>측정하니 10,000,008.1Hz로 약 0.8ppm 오차 난다. | ||
+ | <li>2024/01/15 10,000,000.5Hz 이내(0.05ppm)로 맞춤 | ||
+ | </ol> | ||
+ | <li>2024/01/15 클럭 조정 후, GPS-DO 10MHz를 10초간, 1억개 파형을 측정하니. 아무런 문제가 없다. | ||
+ | <gallery> | ||
+ | image:ta72002_005.png | 주기μ 99.984ns, p-p 375ps, 표준편차σ 37.4ps, 산포(σ/μ) 0.0374% | ||
+ | </gallery> | ||
</ol> | </ol> | ||
+ | <li>#1호기 | ||
+ | <ol> | ||
+ | <li>입고 이력 | ||
+ | <ol> | ||
+ | <li>2020/01/21 발주 - 3p | ||
+ | <li>2020/02/04 입고 | ||
</ol> | </ol> | ||
<li>입고사진 | <li>입고사진 | ||
53번째 줄: | 114번째 줄: | ||
image:ta720_01_006.jpg | image:ta720_01_006.jpg | ||
image:ta720_01_014.jpg | image:ta720_01_014.jpg | ||
+ | image:thermalpaper03_002.jpg | 왼쪽은 [[Yokogawa TA520 시간간격분석기]],[[Yokogawa TA720 시간간격분석기]] 계측기용, 오른쪽이 이번 구입품 | ||
</gallery> | </gallery> | ||
<li>후면에 부착된, GPIB+클록+프루브 파워 보드 | <li>후면에 부착된, GPIB+클록+프루브 파워 보드 | ||
88번째 줄: | 150번째 줄: | ||
image:ta720_03_004.png | image:ta720_03_004.png | ||
</gallery> | </gallery> | ||
− | <li>[[33120A]] 계측기에서 나오는 1MHz 1Vp-p 사인파(정현파 sine wave)와 사각파(square wave) 1백만개 간격분석 | + | <li>[[HP 33120A 임의파형 발생기]] 계측기에서 나오는 1MHz 1Vp-p 사인파(정현파 sine wave)와 사각파(square wave) 1백만개 간격분석 |
<gallery> | <gallery> | ||
image:ta720_03_005.png | 사인파: 변동계수(CV): 0.052% | image:ta720_03_005.png | 사인파: 변동계수(CV): 0.052% | ||
97번째 줄: | 159번째 줄: | ||
<ol> | <ol> | ||
<li>주의: 더 높은 정확도를 위해서, GPSDO에 의한 외부 클럭(수동으로 선택해야 함)을 사용해야 함. | <li>주의: 더 높은 정확도를 위해서, GPSDO에 의한 외부 클럭(수동으로 선택해야 함)을 사용해야 함. | ||
− | <li>[[E5100A]] 에서 나오는 ref. clock을 측정하면 | + | <li> [[HP E5100A 네트워크분석기]]에서 나오는 ref. clock을 측정하면 |
<gallery> | <gallery> | ||
image:e5100a02_054.jpg | Nihon Dempa Kogyo ENA3003A, 0960-0465 | image:e5100a02_054.jpg | Nihon Dempa Kogyo ENA3003A, 0960-0465 | ||
image:ta720_04_001.png | image:ta720_04_001.png | ||
</gallery> | </gallery> | ||
− | <li>[[53131A]] 에서 나오는 ref. clock을 측정하면 | + | <li> [[Agilent 53131A 주파수계수기]]에서 나오는 ref. clock을 측정하면 |
<gallery> | <gallery> | ||
image:53131a_006.jpg | Agilent 10811-60160 | image:53131a_006.jpg | Agilent 10811-60160 | ||
112번째 줄: | 174번째 줄: | ||
image:ta720_04_004.png | 주기의 표준편차, 1시그마 jitter ~50ps | image:ta720_04_004.png | 주기의 표준편차, 1시그마 jitter ~50ps | ||
</gallery> | </gallery> | ||
+ | </ol> | ||
+ | <li>계측기 후면 Reference Clock In으로 외부 GPSDO 신호를 사용하고, Reference Clock Out을 CH B 입력으로 측정하면 | ||
+ | <ol> | ||
+ | <li>2023/02/25, hardware histogram(H.H) mode로 | ||
+ | <ol> | ||
+ | <li>그래프 | ||
+ | <gallery> | ||
+ | image:ta720_05_001.png | ||
+ | </gallery> | ||
+ | <li>설명 | ||
+ | <ol> | ||
+ | <li>X축(시간) 최소간격은 25ps(이 계측기 최소분해능이다.)로 모두 60간격이다.(즉, X Span=1.5nsec이 최소 스팬이다.) | ||
+ | <li>입력 10MHz를 측정하기 때문에 주기는 0.1us 가 중심값이 되어야 한다. | ||
+ | <ol> | ||
+ | <li>주기평균으로 계산했을 때는 +4.57ps 차이가 난다. 큰 의미없다. | ||
+ | </ol> | ||
+ | <li>측정한 샘플수는 1,000,000,000개. 정확히 100초동안 측정한다. (10^9은 H.H 모드에서 지원하는 최대 샘플링수이다.) | ||
+ | <li>주기 표준편차는 약 47.7ps 이다. (이론적으로 0ps이어야 한다.) 이 값이 계측기 내부 지터(규격은 최대 100ps)이다. | ||
+ | </ol> | ||
+ | <li>결론 | ||
+ | <ol> | ||
+ | <li>문제없이 잘 측정된다. | ||
+ | </ol> | ||
+ | </ol> | ||
</ol> | </ol> | ||
</ol> | </ol> | ||
</ol> | </ol> |
2025년 2월 3일 (월) 23:32 기준 최신판
Yokogawa TA720 시간간격분석기
- 전자부품
- 시간간격분석기
- Yokogawa TA720 시간간격분석기 - 이 페이지
- 시간간격분석기
- Yokogawa TA720 Time Interval Analyzer
- 문서
- 내부 지터 100ps rms, 분해능 25ps, 측정범위 6ns~20ms (50Hz 이상이어야 한다.)
- TA520: 내부 지터 100ps rms, 최소입력펄스폭 3nsec, 주파수 8nsec~20msec, 25ps
- Yokogawa TA320 시간간격분석기: 주파수 30nsec~100msec, 100ps
- 데이터시트 - 8p
- 사용자설명서 - 228p
- 통신설명서 - 130p
- 계산되지 않는 통계값에 대한 응답은 "NAN"이다. 그러므로 수치로 변환할 때는 이런 현상을 예외처리해야 한다.
- 내부 지터 100ps rms, 분해능 25ps, 측정범위 6ns~20ms (50Hz 이상이어야 한다.)
- 내부 표준 클럭 주파수, internal reference frequency
- Temperature-compensated crystal oscillator(TCXO): 10MHz
- 주파수 안정성
- Aging rate: ±1.5 ppm/year
- Temperature characteristics: 2.5 ppm in the range of 5 to 40°C with 25°C as the reference
- Frequency accuracy at factory shipment: ±0.5 ppm
- 프로그래밍
- 20/02/13 1천만개 샘플링(10MHz 입력을 1초동안) 분석 베이직 프로그램 ta720-1.bas
- 사용하면서
- 측정 범위
- time stamp(T.S) mode: 6ns~20ms (50Hz~166MHz)
- hardware histogram(H.H) mode: 6ns~3.2us (315kHz~166MHz)
-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연결하고,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면
- 저장(을 위한 데이터 처리)속도가 매우 느리다.100kB/8초, 최대측정점 1,024,000을 저장하는데 약 30MB(?), 30분(?) 정도 소요된다.
- 엑셀 라인수 최대인 65,536 이하 측정점이 합리적이다.
- 24,000 측정점 .CSV 파일은 794kB 용량을 보인다.
- 측정 범위
- 문서
- #2호기
- 입고 이력
- 2024/01/03 발주 - 1p
- 2024/01/12 입고
- 성능
- 옵션 C10(ethernet and PC card interface)이 없다.
- 2024/01/15 내부 살표보니
- 내부 TCXO 클럭
- 측정하니 10,000,008.1Hz로 약 0.8ppm 오차 난다.
- 2024/01/15 10,000,000.5Hz 이내(0.05ppm)로 맞춤
- 2024/01/15 클럭 조정 후, GPS-DO 10MHz를 10초간, 1억개 파형을 측정하니. 아무런 문제가 없다.
- 입고 이력
- #1호기
- 입고 이력
- 2020/01/21 발주 - 3p
- 2020/02/04 입고
- 입고사진
- 앞면
- 뒷면
- 뒷면, 아랫면 실드
- 내장 영수증 프린터, 사용 감열지 파트번호: B9850NX (112mm폭 30m)
왼쪽은 Yokogawa TA520 시간간격분석기,Yokogawa TA720 시간간격분석기 계측기용, 오른쪽이 이번 구입품
- 후면에 부착된, GPIB+클록+프루브 파워 보드
- 뒷면을 볼 때, 우상단 받침에서 너트 깨짐
- 앞면
- 입고 점검
- 측정
- 최소 span이 1.5ns(1500ps)인듯. 25ps가 최소분해능이므로 60단계로 구분됨.
- 전원 켜자마자 내부 주파수 편차 엑셀 데이터
- GPSDO 기준으로 주파수 조정
- HP 33120A 임의파형 발생기 계측기에서 나오는 1MHz 1Vp-p 사인파(정현파 sine wave)와 사각파(square wave) 1백만개 간격분석
- 측정
- 10MHz OCXO 두가지를 약 1시간동안 측정함
- 주의: 더 높은 정확도를 위해서, GPSDO에 의한 외부 클럭(수동으로 선택해야 함)을 사용해야 함.
- HP E5100A 네트워크분석기에서 나오는 ref. clock을 측정하면
- Agilent 53131A 주파수계수기에서 나오는 ref. clock을 측정하면
- 수천번 측정하면
- 계측기 후면 Reference Clock In으로 외부 GPSDO 신호를 사용하고, Reference Clock Out을 CH B 입력으로 측정하면
- 2023/02/25, hardware histogram(H.H) mode로
- 그래프
- 설명
- X축(시간) 최소간격은 25ps(이 계측기 최소분해능이다.)로 모두 60간격이다.(즉, X Span=1.5nsec이 최소 스팬이다.)
- 입력 10MHz를 측정하기 때문에 주기는 0.1us 가 중심값이 되어야 한다.
- 주기평균으로 계산했을 때는 +4.57ps 차이가 난다. 큰 의미없다.
- 측정한 샘플수는 1,000,000,000개. 정확히 100초동안 측정한다. (10^9은 H.H 모드에서 지원하는 최대 샘플링수이다.)
- 주기 표준편차는 약 47.7ps 이다. (이론적으로 0ps이어야 한다.) 이 값이 계측기 내부 지터(규격은 최대 100ps)이다.
- 결론
- 문제없이 잘 측정된다.
- 그래프
- 2023/02/25, hardware histogram(H.H) mode로
- 입고 이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