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이미드 필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폴리이미드 필름]] | + | 폴리이미드 필름 |
+ | <ol> | ||
+ | <li> [[전자부품]] | ||
+ | <ol> | ||
+ | <li> [[필름]] | ||
+ | <ol> | ||
+ | <li> [[폴리이미드 필름]] - 이 페이지 | ||
+ | <li> [[캡톤]] - 이 페이지 | ||
+ | <li> [[폴리이미드]] - 이 페이지 | ||
+ | <ol> | ||
+ | <li> [[캡톤 접착테이프]] | ||
+ | </ol> | ||
+ | </ol> | ||
+ | <li>참조 | ||
+ | <ol> | ||
+ | <li> [[폴리아미드]], [[나일론]] | ||
+ | </ol> | ||
+ | <li>참조 | ||
+ | <ol> | ||
+ | <li> [[접착테이프]] | ||
+ | <li> [[F-PCB]] | ||
+ | </ol> | ||
+ | </ol> | ||
+ | <li>폴리이미드 필름(PI;polyimide film) | ||
+ | <ol> | ||
+ | <li>기술자료 | ||
+ | <ol> | ||
+ | <li>왜 특유의 색깔을 갖는가? 폴리이미드 및 폴리이미드 복합체 필름 - 8p | ||
+ | <ol> | ||
+ | <li>전방향족 PI(wholly aromatic polyimide)는 이미드 고리내의 전하 전이 복합화(charge transfer complex;CTC)로 인한 강한 결합이 가장 중요한 특징이다. | ||
+ | <li>CTC로 인해 본질적으로 갈색을 보인다. 이미드 주쇄 내에 존재하는 electron-acceptor인 dianhydride와 electron-donor인 diamine간의 CTC 이론에 색깔을 설명할 수 있다. | ||
+ | <li>CTC는 방향족 PI의 주 사슬에 존재하는 π 전자가 전이 되면서 에너지 준이가 변화하고 그에 따라 흡수하는 에너지 파장에서의 빛이 변하게 되는 데, 이때 주 사슬에서 방향족 즉, 공명구조의 수가 증가되면 π 전자의 전이가 쉬워진다. 그러므로 에너지 준위는 낮아지고 이때의 고파장 영역인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흡수하게 되면서 그의 배색인 yellow~red의 색을 띄게 되면서 짙은 갈색으로 보이게 된다. | ||
+ | </ol> | ||
+ | <li> [[그라파이트 시트]] 를 만들 때 사용된다. | ||
+ | <li>캡톤 | ||
+ | <ol> | ||
+ | <li>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Kapton | ||
+ | <ol> | ||
+ | <li>1960년대말에 듀폰이 개발한 '''폴리이미드 필름''' 상품명. 사용온도 -269~+400'C | ||
+ | </ol> | ||
+ | </ol> | ||
+ | </ol> | ||
+ | </ol> | ||
+ | <li>베이스 필름 | ||
+ | <ol> | ||
+ | <li>2017/05/22 김현수 상무에게 얻은 A4 크기 | ||
+ | <gallery> | ||
+ | image:kaptonfilm01_001.jpg | ||
+ | </gallery> | ||
+ | <li>사용 및 발견 | ||
+ | <ol> | ||
+ | <li> [[F-PCB]] | ||
+ | <li> [[리시버용 스피커]] | ||
+ | <gallery> | ||
+ | image:lm_y110s_032.jpg | [[F-PCB]] 원재료인 [[폴리이미드 필름]] 및 적절한 모양을 갖는 동박이 진동판으로 사용한다. | ||
+ | </gallery> | ||
+ | <li> [[NTC 온도센서]] | ||
+ | <ol> | ||
+ | <li>사각형 칩을 [[캡톤]]으로 보호하고 긴 리드에 붙여, 표면 온도 측정용 | ||
+ | <gallery> | ||
+ | image:ntc07_003.jpg | ||
+ | </gallery> | ||
+ | </ol> | ||
+ | </ol> | ||
+ | </ol> | ||
+ | <li>참고: 폴리이미드 코팅 | ||
+ | <ol> | ||
+ | <li>반도체 IC 보호코팅 | ||
+ | <li> [[실리콘 다이오드 웨이퍼]] | ||
+ | <gallery> | ||
+ | image:125wafer01_014_002.jpg | 노랑 이물질은 [[폴리이미드]] | ||
+ | </gallery> | ||
+ | </ol> | ||
+ | </ol> |
2025년 2월 27일 (목) 20:56 기준 최신판
폴리이미드 필름
- 전자부품
- 폴리이미드 필름(PI;polyimide film)
- 기술자료
- 왜 특유의 색깔을 갖는가? 폴리이미드 및 폴리이미드 복합체 필름 - 8p
- 전방향족 PI(wholly aromatic polyimide)는 이미드 고리내의 전하 전이 복합화(charge transfer complex;CTC)로 인한 강한 결합이 가장 중요한 특징이다.
- CTC로 인해 본질적으로 갈색을 보인다. 이미드 주쇄 내에 존재하는 electron-acceptor인 dianhydride와 electron-donor인 diamine간의 CTC 이론에 색깔을 설명할 수 있다.
- CTC는 방향족 PI의 주 사슬에 존재하는 π 전자가 전이 되면서 에너지 준이가 변화하고 그에 따라 흡수하는 에너지 파장에서의 빛이 변하게 되는 데, 이때 주 사슬에서 방향족 즉, 공명구조의 수가 증가되면 π 전자의 전이가 쉬워진다. 그러므로 에너지 준위는 낮아지고 이때의 고파장 영역인 가시광선영역의 빛을 흡수하게 되면서 그의 배색인 yellow~red의 색을 띄게 되면서 짙은 갈색으로 보이게 된다.
- 그라파이트 시트 를 만들 때 사용된다.
- 캡톤
- 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Kapton
- 1960년대말에 듀폰이 개발한 폴리이미드 필름 상품명. 사용온도 -269~+400'C
- 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Kapton
- 왜 특유의 색깔을 갖는가? 폴리이미드 및 폴리이미드 복합체 필름 - 8p
- 기술자료
- 베이스 필름
- 참고: 폴리이미드 코팅
- 반도체 IC 보호코팅
- 실리콘 다이오드 웨이퍼
노랑 이물질은 폴리이미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