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퍼커패시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수퍼커패시터 | |
− | [[EDLC]] | + | <ol> |
+ | <li> [[전자부품]] | ||
+ | <ol> | ||
+ | <li> [[커패시터]] | ||
+ | <ol> | ||
+ | <li> [[EDLC]] - 이 페이지 | ||
+ | <li> [[수퍼커패시터]] - 이 페이지 | ||
+ | <ol> | ||
+ | <li> [[SMD타입 수퍼커패시터]] | ||
+ | <li> [[수퍼커패시터 누액]] | ||
+ | <li> [[CAP-XX]] 회사 | ||
+ | </ol> | ||
+ | </ol> | ||
+ | <li>참조 | ||
+ | <ol> | ||
+ | <li> [[리튬이온 커패시터]] | ||
+ | </ol> | ||
+ | </ol> | ||
+ | <li>기술,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s;EDLC) = supercapacitor, ultracapacitor | ||
+ | <ol> | ||
+ | <li>정보 | ||
+ | <ol> | ||
+ | <li>위키페디아 supercapacitor https://en.wikipedia.org/wiki/Supercapacitor | ||
+ | <li>자료 | ||
+ | <ol> | ||
+ | <li>2010 정보분석보고서, 초고용량 커패시터의 기술 및 시장 트렌드 분석 - 47p | ||
+ | </ol> | ||
+ | </ol> | ||
+ | <li>측정 방법 | ||
+ | <ol> | ||
+ | <li>문서 | ||
+ | <ol> | ||
+ | <li>Digi-Key https://forum.digikey.com/t/how-to-measure-the-capacitance-of-supercapacitors-edlcs/1747 | ||
+ | <li>Gamry 백서. Testing Super-Capacitors - 58p | ||
+ | <li>Maxwell 회사 자료 - 11p | ||
+ | <ol> | ||
+ | <li>100mA/F 전류로 충전하고 방전한다. 1000F 넘으면 100A로 한다. | ||
+ | <li>전압의 50%까지 방전한다. | ||
+ | </ol> | ||
+ | <li>illinois Capacitor 회사 자료 - 6p | ||
+ | <li>무라타 회사 자료 - 39p | ||
+ | </ol> | ||
+ | <li>향후 투고기술 표준 실험방법(2020년 8월 25일 이후부터) | ||
+ | <gallery> | ||
+ | image:super_c00_001.jpg | E=1/2 CV^2 이므로 방전전압 50%는 충전에너지 75%를 소모했다. 이는 현실적으로 사용조건이기 때문이다. | ||
+ | </gallery> | ||
+ | <li>계산 방법 | ||
+ | <ol> | ||
+ | <li>I=C dV/dt 이므로 C = i x dt/dV (dV는 80%-40%) | ||
+ | </ol> | ||
+ | </ol> | ||
+ | <li>제조회사 | ||
+ | <ol> | ||
+ | <li>일본 | ||
+ | <ol> | ||
+ | <li>Maxwell | ||
+ | <ol> | ||
+ | <li>2009/04/16 | ||
+ | <li>2006/04/04 - 27p | ||
+ | <li>2005/02/25 - 13p | ||
+ | </ol> | ||
+ | <li>TDK | ||
+ | <li>Seiko Instruments Inc.(SII) | ||
+ | <ol> | ||
+ | <li>2008-2009 마이크로배터리 카탈로그 - 24p | ||
+ | </ol> | ||
+ | </ol> | ||
+ | <li>LS Mtron - 16p | ||
+ | <ol> | ||
+ | <li>실린더 타입, 나사단자 3000F 2.7V 제품의 ESR은 약 0.23m오옴이다. | ||
+ | </ol> | ||
+ | </ol> | ||
+ | <li>트램에서 | ||
+ | <ol> | ||
+ | <li>Trams in Luxembourg(룩셈부르크 트램) | ||
+ | <ol> | ||
+ | <li>2020/11 일본에서 고려하고 있는, 룩셈부르크 트램 시스템 - 8p | ||
+ | <ol> | ||
+ | <li>스페인 CAF 회사에서 개발한 Urbos 3 트램 시스템 | ||
+ | <li>회생제동으로 얻는 에너지를 수퍼커패시터로 저장한다. 제동 에너지를 일반 전차선 전압으로 변환하기 어렸기 때문이다. | ||
+ | <li>16km 선로 길이에서 red bridge와 중앙역 사이 3.6km가 무가선 구간이다. | ||
+ | <li>배터리 모듈: 1kAh, 72kW, 605V, 1,600kg, 최대 충방전용량 1kA | ||
+ | </ol> | ||
+ | </ol> | ||
+ | </ol> | ||
+ | </ol> | ||
+ | <li>구입 및 미사용 | ||
+ | <ol> | ||
+ | <li>KAMCAP HP-2R7-J106VYJ11 - 11p | ||
+ | <ol> | ||
+ | <li>2020/08/15 @1,056원, 5개 디바이스마트에서 구입 | ||
+ | <li>5개 측정 | ||
+ | <ol> | ||
+ | <li>사진 | ||
+ | <gallery> | ||
+ | image:super_c04_001.jpg | ||
+ | image:super_c04_002.jpg | 소스미터로 0.5A 충전 및 방전 | ||
+ | image:super_c04_003.jpg | 측정 프로그램 실행 화면 | ||
+ | </gallery> | ||
+ | <li>엑셀 데이터 2번 충방전 | ||
+ | <gallery> | ||
+ | image:super_c04_004.png | 두번째 방전 기울기(0.8,0.4지점)로 계산하면 9.69, 10.13, 12.10, 11.98, 10.07F | ||
+ | </gallery> | ||
+ | </ol> | ||
+ | <li>5개를 병렬로 측정 | ||
+ | <ol> | ||
+ | <li>사진 | ||
+ | <gallery> | ||
+ | image:super_c04_005.jpg | ||
+ | </gallery> | ||
+ | <li>엑셀 데이터 100번 충방전 | ||
+ | <gallery> | ||
+ | image:super_c04_006.png | #1,2회 충방전그래프 | ||
+ | image:super_c04_007.png | #99,10회 충방전그래프 | ||
+ | image:super_c04_008.png | 100번 충방전 횟수에 따른 용량 변화. | ||
+ | image:super_c04_009.png | 100번 충방전 횟수에 에너지용량(차이가 효율이므로 약 80%) | ||
+ | </gallery> | ||
+ | <li>해석 - 2020년 8월 21일 | ||
+ | <ol> | ||
+ | <li>초기 용량에서 사용함에 따라 용량이 서서히 감소한다. | ||
+ | <ol> | ||
+ | <li>초기 잔류 불순물(수분포함)이 전기화학 반응으로 분해되어 안정화되면서 용량이 감소한다. | ||
+ | <li>2020년 기준으로, 100싸이클에서 5% 감소는 품질이 좋지 못한 특성이다. 1만~5만싸이클에서 5% 감소를 보여주어야 한다. | ||
+ | </ol> | ||
+ | <li>충전/방전 에너지 비율을 충방전효율(Coulombic efficiency)이라고 한다. | ||
+ | <ol> | ||
+ | <li>내부에서 부반응에 의한 에너지소모, 커패시터의 시간에 따른 자가방전, 에너지변환시 열손실 등 때문에 발생된다. | ||
+ | <li>이론적으로 90% 이상을 보인다. 이렇게 측정하지 않는다면 내부저항값을 측정해도 비교가 된다. | ||
+ | </ol> | ||
+ | </ol> | ||
+ | </ol> | ||
+ | <li>샘플 #5을 +1000회+5000회 충방전 엑셀 데이터 | ||
+ | <ol> | ||
+ | <li>+1000회, 2A에서(앞 병렬실험에 비해 전류를 5배 많이 흐르게 하여, 충전 및 방전 시간은 약 10초 소요된다.) | ||
+ | <gallery> | ||
+ | image:super_c04_010.png | 10F에 2A흐르게 하면(약 10초) 용량이 8.8F로 측정된다. | ||
+ | image:super_c04_011.png | ||
+ | image:super_c04_012.png | 충방전효율은 68%이다. | ||
+ | </gallery> | ||
+ | <li>+5000회 추가해서 그래프를 그림 | ||
+ | <gallery> | ||
+ | image:super_c04_013.png | 1000번 8.8F에 비해 6000번은 8F으로 용량이 10% 줄었다. | ||
+ | image:super_c04_014.png | ||
+ | image:super_c04_015.png | 충방전효율은 66%이다. | ||
+ | </gallery> | ||
+ | <li>+4000회 추가해서 총 1만회까지 그래프를 그림. 1싸이클 약 20초 소요 = 약 20만초(약 56시간 소요) | ||
+ | <gallery> | ||
+ | image:super_c04_016.png | 1000번 8.8F에 비해 1만번은 7.6F으로 용량이 15% 줄었다. | ||
+ | image:super_c04_017.png | ||
+ | image:super_c04_018.png | 충방전효율은 65%이다. | ||
+ | </gallery> | ||
+ | </ol> | ||
+ | </ol> | ||
+ | <li>Taiyo Yuden | ||
+ | <gallery> | ||
+ | image:super_c01_001.jpg | ||
+ | </gallery> | ||
+ | </ol> | ||
+ | <li>발견 | ||
+ | <ol> | ||
+ | <li> [[SMD타입 수퍼커패시터]] | ||
+ | <ol> | ||
+ | <li>수퍼커패시터로 추정 | ||
+ | <ol> | ||
+ | <li> [[코원 AE2 블랙박스]] | ||
+ | <gallery> | ||
+ | image:cowon_ae2_014.jpg | [[SMD타입 수퍼커패시터]] | ||
+ | image:cowon_ae2_014_001.jpg | [[수퍼커패시터 누액]] | ||
+ | </gallery> | ||
+ | </ol> | ||
+ | </ol> | ||
+ | <li>Radial Lead Type | ||
+ | <li>Stacked Coin Type(5V 전압이 필요하면 2개 직렬연결한다.) | ||
+ | <ol> | ||
+ | <li>Korchip http://www.korchip.com/ | ||
+ | <ol> | ||
+ | <li> [[HP Officejet 4355 잉크젯 복합기]]에서 | ||
+ | <gallery> | ||
+ | image:inkjet02_038.jpg | Korchip(코칩) Starcap 0.22F 5.5V (coin type, V type) | ||
+ | </gallery> | ||
+ | </ol> | ||
+ | <li>NEC | ||
+ | <ol> | ||
+ | <li>5.5V 0.22F - [[HP 4338A 밀리오옴미터]], A2 CPU board에서 | ||
+ | <gallery> | ||
+ | image:4338a01_006.jpg | ||
+ | image:4338a01_009.jpg | XICOR X28C64P [[EEPROM]], 0433B-85001 ROM, NEC 5.5V 0.22F supercapacitor | ||
+ | </gallery> | ||
+ | </ol> | ||
+ | <li>Tokin 제조 | ||
+ | <ol> | ||
+ | <li>5.5V 0.22F - [[Agilent 4339B 고저항측정기]] | ||
+ | <gallery> | ||
+ | image:4339b01_003.jpg | ||
+ | image:4339b01_025.jpg | 며칠사용하지 않으면 직전 세팅을 잃어버림 | ||
+ | </gallery> | ||
+ | <li>5.5V 0.47F - Keyence KZ-A500 PLC CPU에서 | ||
+ | <ol> | ||
+ | <li>세트에서 | ||
+ | <gallery> | ||
+ | image:plc1_cpu_005.jpg | ||
+ | image:plc1_cpu_009.jpg | SRAM 백업용 TOKIN 5.5V 0.47F | ||
+ | </gallery> | ||
+ | <li>단품 | ||
+ | <gallery> | ||
+ | image:super_c02_001.jpg | ||
+ | </gallery> | ||
+ | <li>분해 | ||
+ | <gallery> | ||
+ | image:super_c02_002.jpg | ||
+ | image:super_c02_003.jpg | ||
+ | image:super_c02_004.jpg | ||
+ | image:super_c02_005.jpg | ||
+ | image:super_c02_006.jpg | ||
+ | image:super_c02_007.jpg | 6개 stack | ||
+ | </gallery> | ||
+ | </ol> | ||
+ | </ol> | ||
+ | <li>마쓰시타(파나소닉) 제조 | ||
+ | <ol> | ||
+ | <li>NF-series | ||
+ | <ol> | ||
+ | <li> [[Agilent 1260 LC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서, 5.5V 1.0F | ||
+ | <gallery> | ||
+ | image:agilent1260lc02_005.jpg | super capacitor 5.5V 1.0F | ||
+ | </gallery> | ||
+ | <li> [[GPStarplus GPSDO]]에서, 5.5V 1.0F | ||
+ | <gallery> | ||
+ | image:gpstarplus565_025.jpg | ||
+ | image:gpstarplus565_026.jpg | ||
+ | </gallery> | ||
+ | </ol> | ||
+ | </ol> | ||
+ | </ol> | ||
+ | </ol> | ||
+ | <li>풀칠로 고정 | ||
+ | <ol> | ||
+ | <li> [[Mitsubishi HC-MF 시리즈]] AC서보모터 | ||
+ | <gallery> | ||
+ | image:ac_servo2_005_001.jpg | [[수퍼커패시터]] 흔들리지 않게 풀로 고정 | ||
+ | </gallery> | ||
+ | </ol> | ||
+ | </ol> |
2025년 3월 19일 (수) 22:16 기준 최신판
수퍼커패시터
- 전자부품
- 기술,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s;EDLC) = supercapacitor, ultracapacitor
- 정보
- 위키페디아 supercapacitor https://en.wikipedia.org/wiki/Supercapacitor
- 자료
- 2010 정보분석보고서, 초고용량 커패시터의 기술 및 시장 트렌드 분석 - 47p
- 측정 방법
- 문서
- Digi-Key https://forum.digikey.com/t/how-to-measure-the-capacitance-of-supercapacitors-edlcs/1747
- Gamry 백서. Testing Super-Capacitors - 58p
- Maxwell 회사 자료 - 11p
- 100mA/F 전류로 충전하고 방전한다. 1000F 넘으면 100A로 한다.
- 전압의 50%까지 방전한다.
- illinois Capacitor 회사 자료 - 6p
- 무라타 회사 자료 - 39p
- 향후 투고기술 표준 실험방법(2020년 8월 25일 이후부터)
- 계산 방법
- I=C dV/dt 이므로 C = i x dt/dV (dV는 80%-40%)
- 문서
- 제조회사
- 일본
- Maxwell
- 2009/04/16
- 2006/04/04 - 27p
- 2005/02/25 - 13p
- TDK
- Seiko Instruments Inc.(SII)
- 2008-2009 마이크로배터리 카탈로그 - 24p
- Maxwell
- LS Mtron - 16p
- 실린더 타입, 나사단자 3000F 2.7V 제품의 ESR은 약 0.23m오옴이다.
- 일본
- 트램에서
- Trams in Luxembourg(룩셈부르크 트램)
- 2020/11 일본에서 고려하고 있는, 룩셈부르크 트램 시스템 - 8p
- 스페인 CAF 회사에서 개발한 Urbos 3 트램 시스템
- 회생제동으로 얻는 에너지를 수퍼커패시터로 저장한다. 제동 에너지를 일반 전차선 전압으로 변환하기 어렸기 때문이다.
- 16km 선로 길이에서 red bridge와 중앙역 사이 3.6km가 무가선 구간이다.
- 배터리 모듈: 1kAh, 72kW, 605V, 1,600kg, 최대 충방전용량 1kA
- 2020/11 일본에서 고려하고 있는, 룩셈부르크 트램 시스템 - 8p
- Trams in Luxembourg(룩셈부르크 트램)
- 정보
- 구입 및 미사용
- KAMCAP HP-2R7-J106VYJ11 - 11p
- 2020/08/15 @1,056원, 5개 디바이스마트에서 구입
- 5개 측정
- 사진
- 엑셀 데이터 2번 충방전
- 사진
- 5개를 병렬로 측정
- 사진
- 엑셀 데이터 100번 충방전
- 해석 - 2020년 8월 21일
- 초기 용량에서 사용함에 따라 용량이 서서히 감소한다.
- 초기 잔류 불순물(수분포함)이 전기화학 반응으로 분해되어 안정화되면서 용량이 감소한다.
- 2020년 기준으로, 100싸이클에서 5% 감소는 품질이 좋지 못한 특성이다. 1만~5만싸이클에서 5% 감소를 보여주어야 한다.
- 충전/방전 에너지 비율을 충방전효율(Coulombic efficiency)이라고 한다.
- 내부에서 부반응에 의한 에너지소모, 커패시터의 시간에 따른 자가방전, 에너지변환시 열손실 등 때문에 발생된다.
- 이론적으로 90% 이상을 보인다. 이렇게 측정하지 않는다면 내부저항값을 측정해도 비교가 된다.
- 초기 용량에서 사용함에 따라 용량이 서서히 감소한다.
- 사진
- 샘플 #5을 +1000회+5000회 충방전 엑셀 데이터
- +1000회, 2A에서(앞 병렬실험에 비해 전류를 5배 많이 흐르게 하여, 충전 및 방전 시간은 약 10초 소요된다.)
- +5000회 추가해서 그래프를 그림
- +4000회 추가해서 총 1만회까지 그래프를 그림. 1싸이클 약 20초 소요 = 약 20만초(약 56시간 소요)
- +1000회, 2A에서(앞 병렬실험에 비해 전류를 5배 많이 흐르게 하여, 충전 및 방전 시간은 약 10초 소요된다.)
- Taiyo Yuden
- KAMCAP HP-2R7-J106VYJ11 - 11p
- 발견
- SMD타입 수퍼커패시터
- 수퍼커패시터로 추정
- Radial Lead Type
- Stacked Coin Type(5V 전압이 필요하면 2개 직렬연결한다.)
- Korchip http://www.korchip.com/
- NEC
- 5.5V 0.22F - HP 4338A 밀리오옴미터, A2 CPU board에서
XICOR X28C64P EEPROM, 0433B-85001 ROM, NEC 5.5V 0.22F supercapacitor
- 5.5V 0.22F - HP 4338A 밀리오옴미터, A2 CPU board에서
- Tokin 제조
- 5.5V 0.22F - Agilent 4339B 고저항측정기
- 5.5V 0.47F - Keyence KZ-A500 PLC CPU에서
- 세트에서
- 단품
- 분해
- 세트에서
- 5.5V 0.22F - Agilent 4339B 고저항측정기
- 마쓰시타(파나소닉) 제조
- NF-series
- Agilent 1260 LC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서, 5.5V 1.0F
- GPStarplus GPSDO에서, 5.5V 1.0F
- Agilent 1260 LC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서, 5.5V 1.0F
- NF-series
- SMD타입 수퍼커패시터
- 풀칠로 고정
- Mitsubishi HC-MF 시리즈 AC서보모터
수퍼커패시터 흔들리지 않게 풀로 고정
- Mitsubishi HC-MF 시리즈 AC서보모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