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직형 LRA 진동모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Togotech님이 수직형 문서를 수직형 LRA 진동모터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잔글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수직형 LRA 진동모터 | 수직형 LRA 진동모터 | ||
− | |||
− | |||
<ol> | <ol> | ||
<li> [[전자부품]] | <li> [[전자부품]] | ||
9번째 줄: | 7번째 줄: | ||
<li> [[LRA 진동모터]] | <li> [[LRA 진동모터]] | ||
<ol> | <ol> | ||
− | <li> [[수평형]] | + | <li> [[수평형 LRA 진동모터]] |
− | <li> [[수직형]] | + | <li> [[수직형 LRA 진동모터]] - 이 페이지 |
</ol> | </ol> | ||
<li> [[ERM 진동모터]] | <li> [[ERM 진동모터]] | ||
<ol> | <ol> | ||
− | <li> [[코인타입]] | + | <li> [[코인타입 ERM 진동모터]] |
− | <li> [[바타입]] | + | <li> [[바타입 ERM 진동모터]] |
</ol> | </ol> | ||
<li> [[압전체 진동모터]] | <li> [[압전체 진동모터]] | ||
− | |||
</ol> | </ol> | ||
</ol> | </ol> | ||
30번째 줄: | 27번째 줄: | ||
image:shv_e250s01_035_001.jpg | 금속 프레임에 붙는, [[양면 접착테이프]]를 붙인 밑면 | image:shv_e250s01_035_001.jpg | 금속 프레임에 붙는, [[양면 접착테이프]]를 붙인 밑면 | ||
</gallery> | </gallery> | ||
− | <li>[[R3753BH]] | + | <li> [[Advantest R3753BH 네트워크분석기]]로 통과특성 측정 데이터 |
<gallery> | <gallery> | ||
image:shv_e250s01_035_002.jpg | 위쪽에 있는 구멍 4개를 오픈했을 때 | image:shv_e250s01_035_002.jpg | 위쪽에 있는 구멍 4개를 오픈했을 때 | ||
37번째 줄: | 34번째 줄: | ||
</ol> | </ol> | ||
</ol> | </ol> | ||
− | <li>LRA 진동모터 (Linear Resonant Actuators;LRA;선형 공진 액츄에이터) | + | <li>수직형(수직 장착형) LRA 진동모터(Linear Resonant Actuators;LRA;선형 공진 액츄에이터) |
<ol> | <ol> | ||
− | <li> | + | <li>기술 |
<ol> | <ol> | ||
− | <li> | + | <li>진동 방향이 기기의 두께 방향, 즉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s)으로 움직인다. |
</ol> | </ol> | ||
− | <li> | + | <li>모델별 |
<ol> | <ol> | ||
− | |||
<li>2009.12 출시 삼성 [[SPH-M8400]] 옴니아2 스마트폰 | <li>2009.12 출시 삼성 [[SPH-M8400]] 옴니아2 스마트폰 | ||
<ol> | <ol> | ||
130번째 줄: | 126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image:actuator06_015.jpg | 스피커 입력파형(구형파 비슷) vs 진동모터 출력파형(사인파 비슷) | image:actuator06_015.jpg | 스피커 입력파형(구형파 비슷) vs 진동모터 출력파형(사인파 비슷) | ||
− | image:actuator06_016.jpg | [[HP 35660A]] | + | image:actuator06_016.jpg | [[HP 35660A 동적 신호분석기]]로 THD 를 관찰(만 했음) |
</gallery> | </gallery> | ||
<li>오실로스코프로 파형 및 FFT 측정 데이터 | <li>오실로스코프로 파형 및 FFT 측정 데이터 |
2025년 3월 24일 (월) 11:57 기준 최신판
수직형 LRA 진동모터
- 전자부품
- 고정시키고 측정해야 한다.
- 2012.09 출시 삼성 갤럭시 노트2 스마트폰
- 사진
금속 프레임에 붙는, 양면 접착테이프를 붙인 밑면
- Advantest R3753BH 네트워크분석기로 통과특성 측정 데이터
- 사진
- 2012.09 출시 삼성 갤럭시 노트2 스마트폰
- 수직형(수직 장착형) LRA 진동모터(Linear Resonant Actuators;LRA;선형 공진 액츄에이터)
- 기술
- 진동 방향이 기기의 두께 방향, 즉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s)으로 움직인다.
- 모델별
- 2009.12 출시 삼성 SPH-M8400 옴니아2 스마트폰
- 사진
- DC 바이어스 전류에 따른 임피던스 측정 엑셀 파일
- 측정시 주의사항
- 몸체가 움직이지 않게 단단히 고정시킨다. 고정시키지 않으면 엉뚱한 임피던스가 나온다.
- 고유진동수를 먼저 찾아야 한다.
- LCR 미터는 DC 바이어스 전류가 +100mA에서 -100mA 사이가 나온다.
- DC 바이어스 전류에 공진주파수는 의존하지 않는다.
- 측정시 주의사항
- 사진
- 15/09/23 파트론 제품
- GT-B7722, 2010년 7월 출시
- 임피던스 측정 데이터
- 사진 #1
- 사진 #2
- 임피던스 측정 데이터
- 삼성전자 2010년도 어떤 핸드폰에서
- 임피던스 측정 데이터 - +-1V bias에 따른(정확한 재실험이 필요함)
- 사진
- 임피던스 측정 데이터 - +-1V bias에 따른(정확한 재실험이 필요함)
- M플러스, 2018/07/11 모델 M8405 ?
- 측정
- R3753BH, 100Hz~1kHz로 측정
- 18/08/05
- 실험 방법
- 파형
HP 35660A 동적 신호분석기로 THD 를 관찰(만 했음)
- 오실로스코프로 파형 및 FFT 측정 데이터
- 입력 진동 주파수에 따른 출력 진동 스코프 파형 3가지
- 주파수에 따른 출력전압, THD
- 입력 진동 주파수에 따른 출력 진동 스코프 파형 3가지
- 실험 방법
- R3753BH, 100Hz~1kHz로 측정
- 외관
- 분해
- 측정
- 2020년, M-플러스 제품으로 추정. 정사각형(10x10mm)으로 만들어 진동체 체적을 키워 진동 충격량을 키운 모델이다.
- LCR 미터로 Z-theta를 측정한 엑셀데이터
- 외형
테이프 뜯으니 구멍이 있다. (구멍 역할-자성유체를 과량 공급하면 면봉으로 흡수해 진동량을 키운다)
- 임피던스 측정
- LCR 미터로 임피던스 측정
- 네트워크분석기와 LCR 미터로 측정 비교
- DC 전류 바이어스에 따른 임피던스
- LCR 미터로 임피던스 측정
- 분해
- 분해 후, 뚜껑이 없는 상태에서 임피던스 측정
- 자성유체를 사용하는 이유 추정
- 부딪히므로 완충재를 넣어야 한다.
- 액체는 속도 제곱에 비례하는 저항을 보이므로, 액체를 댐핑재료로 사용하면 좋다.
- 액체는 쉽게 퍼지거나 휘발하므로, 원하는 곳에 액체를 계속 가두기 위해서 자성유체를 사용한다.
- AS129484, C35-8167-2, 삼성 Galaxy A54, A546(5G 모델)용, 직사각형(9x8x3.7mm)
- 2024/01/11 넥스벨이 중국에서 구입함. 두 개 기증받음.
- 2009.12 출시 삼성 SPH-M8400 옴니아2 스마트폰
-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