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관형퓨즈

Togotech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3월 1일 (일) 20:48 판 (새 문서: 유리관형퓨즈 <ol> <li>링크 <ol> <li> 전자부품 <ol> <li>전기 퓨즈 <ol> <li> SMD퓨즈 <li> 유리관형퓨즈 <li> 래디얼퓨즈 <li> 체결형...)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유리관형퓨즈

  1. 링크
    1. 전자부품
      1. 전기 퓨즈
        1. SMD퓨즈
        2. 유리관형퓨즈
        3. 래디얼퓨즈
        4. 체결형퓨즈
        5. 자동차용퓨즈
        6. P-PTC
  2. 세라믹관형 퓨즈
    1. 참고: 유리관은 폭발(?)시 깨질 수 있어 튼튼한 세라믹관을 사용한다?????
    2. 관속에 소화제가 들어있음.
      1. 삼성전자 VCR/DVD 플레이어 파워에서
    3. 프라임솔루션, SB220-040M 서지부품에서 사용된 퓨즈
      1. 세트
      2. 퓨즈
      3. 전류-저항 측정 엑셀 데이터 , 퓨즈를 분해한 후, 이 상태에서 전류 인가실험
        1. I-R 그래프
        2. 끊어진 단면 사진
    4. 4각 기둥 형태
      1. 4278A 1M C 미터 전원보드에서, SOC회사 제품
  3. 유리관형 퓨즈 (axial cartidge)
    1. 3종류 저항값 측정
      1. 0.2, 0.5A, 1A 각 100개 저항 측정데이터 - 2015/12/26 측정 데이터
        1. 저항 변동 도수분포
        2. 요약
          1. 1A = 0.35 (타 회사 한개 측정)
          2. 1A (Littelfuse, 0217001.MXP, fast acting) = 0.095ohm 100개 평균
          3. 0.5A = 0.48ohm 100개 평균
          4. 0.2A = 7.2ohm 100개 평균
      2. 사진
    2. 3AG 휴즈에서, 한국에서 사용되는 퓨즈는 길이가 2mm 짧음
      1. 긴급 사용방법
      2. 2019/07/09
        1. 설명
          1. 한국산 100V -> 220V 승압 트랜스가 미국에서 사용중. 퓨즈 끊어져 미국에서 구입한 퓨즈를 퓨즈홀더에 넣어도 들어가지 않음.
          2. 3AG를 6x30mm 이라고 간단하게 부르지만 실제 치수는 6.35x31.8mm 임.
          3. 그러나 한국에서 유통되는 퓨즈 실제길이는 6.35x30mm로 짧음.
          4. 이 길이 기준으로 퓨즈 홀더를 만들어, 국제 규격 퓨즈가 들어가지 않음.
        2. 실제 사진
        3. JIS C 6575-2에 6.35x31.8mm와 6.40x30.0mm 두 규격이 있는 듯(JIS 규격을 실제 확인하지 못함)
    3. 사용 예
      1. 리드 납땜
        1. 와이어 연결용
        2. 5A, PCB 쓰루홀 납땜용
      2. 전선에 연결되는 홀더
        1. PC스피커, Britz(브리츠) BR-1100 V2, 2.1채널 스피커에서
      3. PCB 홀더
    4. 시간 지연형(time-delay fuse)
      1. 감은 스프링 형
        1. 4278A 1M C 미터 전원보드에서
        2. 17/07/30 모토롤러 페이저에서
        3. 미쓰비시 CRT
        4. 에질런트 계측기용 관휴즈
          1. Littelfuse
        5. 34970A, 끊어져 있어
        6. 출처 - 알 수 없음.
      2. 스프링을 잡아 당겨
        1. HP 59501A D/A power supply programmer(크기가 3AG)
      3. 솔더 볼 하나
        1. 대우통신 FA110, 1999년 제조?
      4. 솔더 볼 두 개
        1. 추측
          1. 시간 지연형 퓨즈는 늦게 끊어진다.
          2. 전자기기는 전원을 켜면 순간적인 돌입전류가 흐른다. 그러므로 이 때 흐르는 과전류 때문에 끊어지면 안되기 때문에 시간 지연형 퓨즈를 (반드시?) 사용한다. 즉, 동네에서 싸게 파는 속단형 퓨즈 사용 안한다.
          3. 왜 솔더 방울을 두 군데 묻히면 늦게 끊어질까?
          4. 단단한 구리선만 있으면 오랫동안 뜨거워지면 서서히 금속이이동되어 표면이 갈라져 저항이 높아지는 쪽에서 계속 온도가 오른다. 이 상황이 반복되어 어느 순간 너무 쉽게 끊어진다.
          5. 그런데, 은 도금된 구리선에 녹는점이 ~250도인 솔더를 묻히면 솔더가 녹아 흘러 뜨거운 곳의 표면을 매워 어느 특정한 취약 부위를 감싸 저항을 다시 낮추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2. HP E3640A 파워서플라이에서, 100V 220V로 6대 개조하면서, 3대에서 끊어져 있음
        3. 내비게이션 차량용 시거잭(Cigarette lighter receptacle) 전원장치에서
    5. 속단형(fast act)
      1. 지터 계측기에서 4가지 전압선택
      2. HP 3456A DMM, 저항 측정 단자에 있는 저항체에서. 끊어져 있음.
      3. ALFA-600 플래시(슬레이브 쪽)가 동작하지 않아 살펴보니, 5x20mm 10A 퓨즈가 끊어져 있음.
      4. 6.3A, 쇼트된 220V 계측기에 넣으니
    6. 리드형, 코팅형 (Littelfuse 회사의 상품명 Pico - Axial Lead Fuses)
      1. 삼성전자 LN32N71BD, 2006년 제조, 32" CCFL LED TV, SMPS에서
      2. HP 70420A(phase noise측정) Test Set
        1. 전원보드에서
        2. 다른 보드에서. 1/16A용(발열이 낮아 소켓이 없다?)
      3. LCD smart push button - leica inm200 현미경용
    7. 유리관속에 저항기
      1. 올림푸스 BH2 현미경에서
  4. axial lead
    1. HP 8112A, 50 MHz pulse generator, 0.275오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