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바노미터
갈바노미터
- 전자부품
- 기술 정보
- 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Galvanometer
- 맨위 회전 조정점은 offset, 아래 회전 조정점은 slope 조정인 듯(?) - 원리상 정확히 파악할 것
- 스프링은 헤어스프링(밸런스 스프링)을 사용한다.
- 레이저 스캐닝용 갈바노 거울
- 레이저마커에서
- LCR 미터로 임피던스 측정 엑셀 파일,
- 레이저마커에서
- spiral spring 사용
- 배터리 측정기 BT-168 battery tester
- 사진
- i-V 측정 데이터
- 사진
- 슬라이닥, 한창트랜스 HCS-2SD05 에서
갈바노미터 교류전압계 model SF-60 class 2.5
- Kikusui KJM6765 CD/DVD 지터 미터에서
- CLASS 1.5는 FS에서 1.5% 오차란 뜻
- 0.1~1mA 10단계별 동영상 https://youtu.be/Khnef3ucfMw
- 0점을 맞추고 1mA 흘리면, 눈금 최대값(10.5)을 가르킨다.
- 전류에 따른 저항측정
- 코일
- 눈금판 제거한 후
- 영구자석을 제거한 후
- CLASS 1.5는 FS에서 1.5% 오차란 뜻
- Kikusui AVM13 AC전압계에서
- 외형
- 회전코일 rotating coil 관찰
- 영구자석 permanent magnet
- 외형
- YHP 4260A Universal Bridge
- YHP 4329A 고저항측정기
- Kenex 파고계, CH-601E에서
- 아날로그 전류계
- 패널 미터에서, 1A흐르면 FS, CLASS 2.5=FS에서 2.5% 오차
- 패널 미터에서, 1A흐르면 FS, CLASS 2.5=FS에서 2.5% 오차
- 아날로그 멀티미터
- 삼미 360-YTR 아날로그 멀티미터
- 흥창 HM-101 아날로그 멀티미터
- 흥창 HC-260TR 아날로그 멀티미터
- 태광 TK-360A 아날로그 멀티미터
- 태광 TM-200 아날로그 멀티미터
- 사진
- 갈바노미터 동작: FS = 0.18mA https://youtu.be/TehyffIMUBI
- 무작위 전류에 따른 저항측정
- 기계 부위를 건드리면서 세번에 걸쳐, 선형 상승 전류에 따른 저항측정
- 갈바노미터 보호용 다이오드 (galvanometer protection diode)
- 불균일 동작 원인
- coil bearing 이 헐거워 코일이 떨면 전압이 발생하여 내부 저항이 높은 DMM을 오판시킨다.
- 코일이 회전하면 upper 및 lower control spring 이 벌어지면서 서로 부딪힌다면 이 또한 움직임을 방해하여 저항을 변환시킨다.
- 즉, 정교하고 미세한 moving coil 에 손가락 충격이 가해져 기계적으로 어딘가 비틀어졌기 때문이다.
- 분해
- 사진
- 삼미 360-YTR 아날로그 멀티미터
- 거칠기측정기
- 외관
1k 직렬연결로 감도를 떨어뜨리고, 무극성 전해C 병렬연결로 low pass filter를 사용했다.
- network분석기로 S21 측정 엑셀 파일,
- LCR 미터로 임피던스 측정 엑셀 파일,
- 외관
- 배터리 측정기 BT-168 battery tester
- 비틀림 leaf 스프링 사용
- Panasonic VP-7750A 와우 플러터 미터
- 외형
- 내부
- 분해
- 외형
- Panasonic VP-7750A 와우 플러터 미터
- 분해하지 않아 내부 구조 모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