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내부저항

배터리 내부저항

  1. 전자부품
    1. 배터리
      1. 배터리 측정
        1. 배터리 내부저항 - 이 페이지
        2. 배터리 내부저항 측정용 치구
    2. 참조
      1. 배터리 수명연장하면 내부저항이 낮아지는가?
  2. 배터리 내부 저항 Battery Internal Resistance
    1. 상식
      1. 링크
        1. 위키페디아 Internal resistance https://en.wikipedia.org/wiki/Internal_resistance
        2. 배터리 유니버시티 https://batteryuniversity.com/article/bu-902-how-to-measure-internal-resistance
        3. 히오키 https://www.hioki.com/sg-en/learning/usage/resistance-meters_2.html
        4. 키사이트 https://www.keysight.com/blogs/en/tech/bench/2022/05/31/a-deeper-look-at-lithium-ion-cell-internal-resistance-measurements
      2. 내부저항이 가장 낮은 배터리
        1. Lead acid(납산)가 특별히 매우 낮은 저항을 갖는다.
        2. 어떤 실험에서, NiCd 155m오옴, NiMH 배터리 778m오옴, Li-ion 320m오옴을 갖는다.
          1. NiCd 배터리 2차 전지 내부저항이 비교적 낮다.
        3. alkaline, carbon-zinc 그리고 기타 1차 전지는 내부저항이 비교적 높다. 그래서 저전류 응용에 사용한다.
    2. 2차-리튬
      1. 재료에 따른 ICR, IMR, IFR, INR, NCR 등에 따른 내부저항 차이가 있다.
  3. 측정 치구
    1. 배터리 내부저항 측정용 치구
      1. 치구 사진
      2. 충방전 측정 데이터
      3. 동일조건으로 충정한 후, 1kHz milliohmmeter로 충전하니 72m오옴 나온다.
  4. 측정
    1. 1kHz
      1. NiMH 배터리에서 많은 측정을 함.
      2. 18650 배터리를 사용한 파워뱅크
      3. 1차-CR 배터리
        1. 배터리 수명연장
      4. 1차-ER 배터리, ER3 1/2AA 3.6V
      5. 납산배터리
        1. 구입시 바로(택배도착 0도씨) 79m오옴, 20도씨 65m오옴, 완전충전 후 50m오옴, 방전후 100m오옴
        2. 그러므로 충전배터리 내부저항은 완충후 측정하자.
    2. 완충 후 오픈 전압과 최조 방전에서 측정되는 전압 차이로
      1. 금속각형 2차-리튬, Prismatic Cell, 각기둥 셀
      2. 납산배터리
    3. ISDT N16 충전기에는 이 기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