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루미늄

알루미늄

  1. 전자부품
    1. 금속
      1. 알루미늄 - 이 페이지
  2. 알루미늄 합금 aluminium alloy
    1. 위키페디아 aluminium alloy https://en.wikipedia.org/wiki/Aluminium_alloy
    2. 알루미늄을 위한 4자리 숫자 분류 시스템(four-digit numerical classification system for aluminum), 1950년대에 알루미늄 협회(Aluminum Association)에서 채택
      1. 자료
        1. European Aluminium Association - 12p
      2. 첫번째
        1. 1: 순도 99% 이상의 순수 알루미늄. 전력 전송용
        2. 2: 구리, 고강도용이다. 2024가 유명하다.
        3. 3: 마그네슘, 중간강도를 갖는다. 조리 및 건축분야에 사용된다. 3003이 유명하다.
        4. 4: 실리콘, 낮은 융점으로 용접관련된다.
        5. 5: 마그네슘, 해양 부식에 강하다. 5083이 유명하다.
        6. 6: 마그네슘+실리콘, 6061이 가장 유명하다.
        7. 7: 아연, 가장 강하다. 항공기 구조 구성요소로 사용. 항공우주응용분야 7050, 군용차량의 7085
        8. 8: 기타,
      3. 두번째
        1. 0: 합금 내의 특정 불순물을 제한하기 위한 특별한 제어가 통합되지 않았음
      4. 세번째, 네번째: 특정 합금임을 구분한다. 숫자에 대한 특별한 의미는 없다.
        1. 61: 알루미늄, 마그네슘, 실리콘 그룹 내의 특정 합금을 식별
      5. -T6: 추가 경도를 위해 열처리 및 인공 노화된 알루미늄 합금
    3. 핸드폰 코어 프레임용으로
      1. 6061: 범용 알루미늄이다. 핸드폰 코어로는 사용하지 않는다.
      2. 6063: 건축용, 부식에 잘견딘다. 강도가 낮지만 복잡한 형상에 맞는 압출 성능이 우수하다. 한 때 사용하지만 열등하다.
      3. 6013: 고응력 기계부품으로 가장 많이 사용한다.
        1. 2015.06 Alcoa가 Galaxy S6에 고강도 항공우주 등급 알루미늄을 공급한다고 발표.
      4. 7075: 최고등급이다.
        1. 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7075_aluminium_alloy
    4. 강도
    5. 알루미늄 캔
      1. 정보
        1. 위키페디아 Aluminum can https://en.wikipedia.org/wiki/Aluminum_can
          1. 탄산음료와 같은 산성성분에 의해 알루미늄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고 알루미늄이 음료와 상호작용하여 맛을 변화시키는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내부에 에폭시 또는 고분자를 스프레이 코팅하여 라이닝처리한다.
          2. 에폭시에는 비스페놀 A가 함유될 수 있다.
        2. 2024년 1,800억개를 사용한다. 캔 4개 만드는데 캔 1개 가솔린 에너지가 투입된다. 전세계 에너지의 2%가 알루미늄 생산에 투입된다. 재활용 알루미늄 캔은 새로운 제품에 비해 5% 에너지만 사용된다.
        3. 알루미늄 캔은 전세계적으로 70% 재활용율을 보여 가장 많이 재활용되는 음료용기이다. 2012년 스위스에서는 92%가 재활용되었다. 따개고리(tab, pop-tab, stay-on-tab)는 강도를 위해 마그네슘 합금이다.
      2. 맥주, '아사히 수퍼드라이 생맥주캔'
      3. 재활용
        1. 수집, 운반
    6. 알루미늄 프레임
        1. 08/07/24 - 372p, 67MB
    7. 핸드폰 코어 금속프레임
      1. 기술
        1. 제조
          1. 알루미늄 주조(casting), 단조(press), 절삭(milling) 등 다양한 방법으로 외형을 만든다.
          2. 1차 CNC 가공으로 대충 형상을 만들고
          3. insert molding하여 필요한 곳(특히 안테나 부근)에 수지를 감싼다.
          4. 2차 CNC 가공하여 기계가공을 마친다.
          5. 양극 산화
      2. 2013.10 출시 애플 iPhone 5S 스마트폰
      3. 2017.02 출시 샤오미 Redmi Note 4X 스마트폰에서
        1. anodized aluminum mid-frame과 플라스틱 동시 사출 구조
    8. anodized aluminum
      1. 기술
        1. 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Anodizing
        2. 문서
        3. 일반
          1. electrolytic passivation 공정이다.
          2. 염료를 흡수할 수 있는 다공성 및 반사광 간섭 효과로 투명한 코팅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
          3. 다공성이므로 내부식성을 위해서 밀봉공정을 추가한다.
        4. 알루미늄에서
          1. 실온공기중에서 2~3nm 부동태 산화층이 생긴다.
          2. 황산을 전해액으로 사용한다. 직류 전압을 건다. 양극에 알루미늄을 연결한다. 산소가 방출되어 아노다이징을 생성한다. 음극에서 수소를 방출한다.
          3. 1~300V DC 사용할 수 있다. 대부분 15~21V 사용한다. 황산, 유기산에서 형성하는 더 두꺼운 코팅에는 더 높은 전압이 필요하다. 전류는 30~300A/m^2이다.
          4. 산화층에는 최대깊이 100um의 미세한 구멍이 형성된다.(300억개/cm^2) 구멍을 메워야 한다. sealing(봉공처리)이라고 한다.
          5. 구멍을 메울 때 염료를 사용한다. 염료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hydrate film을 형성(sealing)시킨다.
      2. 종류
        1. 연질: 뜨거운물에서, 두께가 1.8~25um이다. 염료에 의한 색상처리가 가능하다.
        2. 경질: -5'C~0'C 영하의 물에서 전압을 40V까지 올리면서 실시한다. 25um~100um 두께를 갖는다.
      3. Palm Vx 에서, 전기접촉을 위해서 산화피막을 기계가공으로 벗겨냄
      4. 낚시대 수리에서
      5. RAM 방열
        1. 실험 사진
        2. 전압에 따른 저항
      6. 손난로 보조배터리
      7. 산화피막 제거
        1. 2017.02 출시 샤오미 Redmi Note 4X 스마트폰
          1. 후면 커버
          2. 코어 프레임
    9. 알루미늄에서 부식
    10. 알루미늄 주조(die casting)
      1. 단일접시 기계식 분석저울
      2. axial flow팬, Minebea 2410ML-04W-B47
        1. 회전자에서 회전축 고정방법
      3. 2018.10 출시 샤오미 Redmi Note 6 Pro 스마트폰
        1. 후면 AF 메인카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