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q nx6320 노트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Togotech님이 Compaq nx6320 문서를 Compaq nx6320 노트북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잔글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Compaq nx6320 노트북 | |
<ol> | <ol> | ||
− | <li> | + | <li> [[전자부품]] |
<ol> | <ol> | ||
− | <li> [[ | + | <li> [[컴퓨터]] |
<ol> | <ol> | ||
<li> [[노트북]] | <li> [[노트북]] | ||
<ol> | <ol> | ||
− | <li> [[Compaq nx6320]] - 이 페이지 | + | <li>2006년 07월 출시 [[Compaq nx6320 노트북]] - 이 페이지 |
</ol> | </ol> | ||
</ol> | </ol>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image:compaq_nx6320_001.jpg | 모니터 뚜껑을 닫으면, 핀이 마더보드에 있는 푸쉬버튼 스위치를 누른다. | image:compaq_nx6320_001.jpg | 모니터 뚜껑을 닫으면, 핀이 마더보드에 있는 푸쉬버튼 스위치를 누른다. | ||
</gallery> | </gallery> | ||
− | <li>마이크 | + | <li> [[일렉트릿 마이크]] |
<gallery> | <gallery> | ||
image:compaq_nx6320_002.jpg | 마이크 구멍 | image:compaq_nx6320_002.jpg | 마이크 구멍 | ||
34번째 줄: | 34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image:compaq_nx6320_003.jpg | Windows XP, Intel Core 2 Duo | image:compaq_nx6320_003.jpg | Windows XP, Intel Core 2 Duo | ||
− | image:compaq_nx6320_006.jpg | Compaq nx6320 | + | image:compaq_nx6320_006.jpg | Compaq nx6320, S/N CNU6500FML, Product Number EJ362AV |
image:compaq_nx6320_007.jpg | Windows XP Home Edition K | image:compaq_nx6320_007.jpg | Windows XP Home Edition K | ||
</gallery> | </gallery> | ||
− | <li> | + | <li> [[터치패드]] |
+ | <ol> | ||
+ | <li>외형 | ||
<gallery> | <gallery> | ||
image:compaq_nx6320_004.jpg | image:compaq_nx6320_004.jpg | ||
− | image:compaq_nx6320_017.jpg | 금속 | + | image:compaq_nx6320_017.jpg | 금속 브라켓이 있어 |
+ | </gallery> | ||
+ | <li>동박 패턴 사이에 형성되는 부유 용량(stray capacitance)이 주변 금속과 PCB 동박사이 거리 변화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부유 용량을 제거하기 위해 [[카본 도전성 잉크 저항기]]를 바른 듯. | ||
+ | <gallery> | ||
image:compaq_nx6320_020.jpg | Synaptics TM51PUG6R383 모듈 | image:compaq_nx6320_020.jpg | Synaptics TM51PUG6R383 모듈 | ||
+ | </gallery> | ||
+ | <li> [[카본 도전성 잉크 저항기]]가 맞다. | ||
+ | <gallery> | ||
image:compaq_nx6320_021.jpg | image:compaq_nx6320_021.jpg | ||
− | image:compaq_nx6320_022.jpg | | + | image:compaq_nx6320_022.jpg | 동박 [[면저항]] 0.3mΩ |
− | image:compaq_nx6320_023.jpg | | + | image:compaq_nx6320_023.jpg | 잉크 [[면저항]] 4Ω |
</gallery> | </gallery> | ||
− | <li> | + | <li>[[카본 도전성 잉크 저항기]]를 벗기면 |
<gallery> | <gallery> | ||
− | image:compaq_nx6320_024.jpg | + | image:compaq_nx6320_024.jpg | C값이 두배 이상 커진다. |
− | image:compaq_nx6320_025.jpg | + | image:compaq_nx6320_025.jpg | 여러곳 접지와 연결되어 부유용량을 신속히 제거한다. |
image:compaq_nx6320_025_001.jpg | 페인트를 다 벗기면 | image:compaq_nx6320_025_001.jpg | 페인트를 다 벗기면 | ||
− | image:compaq_nx6320_025_002.jpg | + | </gallery> |
+ | <li>터치 패드면 - 가격절감을 위해 양면 PCB를 사용하기 위해서 | ||
+ | <gallery> | ||
+ | image:compaq_nx6320_025_002.jpg | ||
image:compaq_nx6320_025_003.jpg | Y축을 연결하고 있다. | image:compaq_nx6320_025_003.jpg | Y축을 연결하고 있다. | ||
</gallery> | </gallery> | ||
− | <li> | + | </ol> |
+ | <li> [[18650 셀을 사용한 노트북 배터리팩]] | ||
<ol> | <ol> | ||
<li>외관 | <li>외관 | ||
62번째 줄: | 74번째 줄: | ||
image:compaq_nx6320_083.jpg | 10.8V 52Wh | image:compaq_nx6320_083.jpg | 10.8V 52Wh | ||
</gallery> | </gallery> | ||
− | <li>Samsung SDI 18650 6-셀 | + | <li>Samsung SDI, ICR [[18650]] 6-셀 |
<gallery> | <gallery> | ||
image:compaq_nx6320_084.jpg | image:compaq_nx6320_084.jpg | ||
72번째 줄: | 84번째 줄: | ||
image:compaq_nx6320_085.jpg | HP ASPEN, NTC 써미스터 | image:compaq_nx6320_085.jpg | HP ASPEN, NTC 써미스터 | ||
</gallery> | </gallery> | ||
− | <li> | + | <li> [[SMD타입 전류검출용R]], 0.01오옴 6.4x3.2mm(2512size;1W) |
<gallery> | <gallery> | ||
− | image:compaq_nx6320_089.jpg | + | image:compaq_nx6320_089.jpg | Dale R01F |
image:compaq_nx6320_089_001.jpg | 기판으로부터 떠 있다. | image:compaq_nx6320_089_001.jpg | 기판으로부터 떠 있다. | ||
image:compaq_nx6320_089_002.jpg | image:compaq_nx6320_089_002.jpg | ||
80번째 줄: | 92번째 줄: | ||
image:compaq_nx6320_089_004.jpg | image:compaq_nx6320_089_004.jpg | ||
</gallery> | </gallery> | ||
− | <li>[[TCO퓨즈]] | + | <li> [[TCO퓨즈]], SEFUSE D6X 시리즈, D6X73C |
<gallery> | <gallery> | ||
image:compaq_nx6320_088.jpg | image:compaq_nx6320_088.jpg | ||
− | image:compaq_nx6320_090.jpg | Alpha&Omega Semiconductor, AO4413, 30V 15A 8. | + | image:compaq_nx6320_090.jpg | Alpha&Omega Semiconductor, AO4413, 30V 15A 8.5mΩ, P-Channel MOSFET |
image:compaq_nx6320_090_001.jpg | image:compaq_nx6320_090_001.jpg | ||
image:compaq_nx6320_090_002.jpg | image:compaq_nx6320_090_002.jpg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 | <li> | + | <li> [[노트북용 DVD 드라이브]] , HP PN#: 416184-8C0, Model: TS-L632 (Toshiba Samsung) |
<gallery> | <gallery> | ||
image:compaq_nx6320_009.jpg | image:compaq_nx6320_009.jpg | ||
97번째 줄: | 109번째 줄: | ||
image:compaq_nx6320_011.jpg | image:compaq_nx6320_011.jpg | ||
</gallery> | </gallery> | ||
− | <li> | + | <li> [[SO-DIMM]] |
<gallery> | <gallery> | ||
− | image:compaq_nx6320_012.jpg | | + | image:compaq_nx6320_012.jpg | [[박형 원심팬]], 히트파이프는 CPU만 연결, 배터리, 주기억장치가 보인다. |
image:compaq_nx6320_013.jpg | Samsung 1GB 2Rx8(2rank, 칩구성비트) M470T2953CZ3-CE6, PC2-5300S-555-12-E3 | image:compaq_nx6320_013.jpg | Samsung 1GB 2Rx8(2rank, 칩구성비트) M470T2953CZ3-CE6, PC2-5300S-555-12-E3 | ||
</gallery> | </gallery> | ||
− | <li>LCD | + | <li> [[노트북 LCD]] |
+ | <ol> | ||
+ | <li>패널 규격서 | ||
+ | <li>제조회사 및 모델명 라벨: Quanta Display Inc.(QDI) QD15FL02, 2006년 9년 제조, 1400x1050 1ch LVDS 3 data 1 clk | ||
<gallery> | <gallery> | ||
image:compaq_nx6320_015.jpg | CCFL 백라이트 뒷면 알루미늄 포일 실드 | image:compaq_nx6320_015.jpg | CCFL 백라이트 뒷면 알루미늄 포일 실드 | ||
− | image:compaq_nx6320_016.jpg | + | image:compaq_nx6320_016.jpg |
− | image:compaq_nx6320_016_001.jpg | + | </gallery> |
+ | <li>분해 | ||
+ | <gallery> | ||
+ | image:compaq_nx6320_016_001.jpg | 가로 10개 IC, 세로 4개 | ||
image:compaq_nx6320_016_002.jpg | image:compaq_nx6320_016_002.jpg | ||
image:compaq_nx6320_016_003.jpg | image:compaq_nx6320_016_003.jpg | ||
− | image:compaq_nx6320_016_004.jpg | + | image:compaq_nx6320_016_004.jpg | SPFD3216A |
+ | </gallery> | ||
+ | <li> [[DDI]] 분석 | ||
+ | <gallery> | ||
+ | image:ddi01_001.jpg | X축 IC 18.2x1.35x0.64mm, Y축 IC 11.2x1.35x0.64mm | ||
+ | image:ddi01_002.jpg | ||
+ | image:ddi01_003.jpg | 솔더본딩 | ||
+ | </gallery> | ||
+ | <li> [[DDI]]를 자른 [[다이싱]] 분석 - 가로세로비가 매우 큰 긴 IC는 최소 3번 다이싱한다. | ||
+ | <gallery> | ||
+ | image:ddi01_004.jpg | 단면 - 4번 다이싱(3번???) | ||
+ | image:ddi01_005.jpg | 빨강박스내 | ||
+ | image:ddi01_006.jpg | 확대 - 한번에 다이싱해도 이런 3가지 줄무늬가 나올 수 있다고 함. | ||
</gallery> | </gallery> | ||
− | <li> | + | </ol> |
+ | <li> [[CCFL]] | ||
+ | <gallery> | ||
+ | image:ccfl01_001.jpg | ||
+ | image:ccfl01_002.jpg | ||
+ | image:ccfl01_003.jpg | 직경 1.8mm | ||
+ | image:ccfl01_004.jpg | ||
+ | image:ccfl01_005.jpg | 관형태의 전극 | ||
+ | </gallery> | ||
+ | <li>CCFL 백라이트용 [[고전압 전원공급기]] | ||
<ol> | <ol> | ||
<li>위치하는 곳 | <li>위치하는 곳 | ||
122번째 줄: | 161번째 줄: | ||
image:compaq_nx6320_094.jpg | image:compaq_nx6320_094.jpg | ||
image:compaq_nx6320_095.jpg | OZ9938GN, O2Micro, CCF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ontroller | image:compaq_nx6320_095.jpg | OZ9938GN, O2Micro, CCF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ontroller | ||
+ | </gallery> | ||
+ | <li> [[고압 MLCC]] | ||
+ | <ol> | ||
+ | <li>외형 | ||
+ | <gallery> | ||
+ | image:compaq_nx6320_094.jpg | ||
+ | </gallery> | ||
+ | <li>[[MLCC]] 측정 엑셀 파일 | ||
+ | <li>1차 측정 | ||
+ | <gallery> | ||
+ | image:compaq_nx6320_094_001.jpg | 측정 방법 | ||
+ | image:compaq_nx6320_094_002.jpg | ||
+ | image:compaq_nx6320_094_003.png | 약 5.7pF, DC 1kV 인가하면 C값이 0.5% 감소함. | ||
+ | image:compaq_nx6320_094_004.png | 50kHz에서 560kΩ 임피던스를 보인다.(트랜스2차 코일 1H과 직렬 공진을 일으키므로 임피던스는 큰 의미가 없다.) | ||
+ | image:compaq_nx6320_094_005.png | DC 1kV까지 단자간 저항 | ||
+ | </gallery> | ||
+ | <li>2차 측정, PCB 에서 전위 경로가 매우 길어도 5x10^13, MLCC는 경로가 짧아도 3x10^14 이다. | ||
+ | <gallery> | ||
+ | image:compaq_nx6320_094_006.jpg | (표면 청소후)MLCC만 | ||
+ | image:compaq_nx6320_094_007.jpg | PCB만 | ||
+ | image:compaq_nx6320_094_008.png | 결합상태에서, MLCC만 1/2차, PCB만 1/2차 측정 | ||
+ | image:compaq_nx6320_094_009.png | [[MLCC]] 만, 첫측정을 하면 표면 오염물질이 제거되어, 두번째는 일정하게 측정된다. | ||
+ | image:compaq_nx6320_094_010.png | PCB 만, 첫측정을 하면 표면 오염물질이 제거되어, 두번째는 일정하게 측정된다. | ||
+ | </gallery> | ||
+ | </ol> | ||
+ | <li> [[고압트랜스]] | ||
+ | <ol> | ||
+ | <li>외형 | ||
+ | <gallery> | ||
image:compaq_nx6320_096.jpg | image:compaq_nx6320_096.jpg | ||
</gallery> | </gallery> | ||
− | <li>측정 | + | <li>측정 사진 |
<gallery> | <gallery> | ||
image:compaq_nx6320_096_001.jpg | image:compaq_nx6320_096_001.jpg | ||
image:compaq_nx6320_096_002.jpg | Rdc primary coil=0.105오옴 secondary coil=729오옴 | image:compaq_nx6320_096_002.jpg | Rdc primary coil=0.105오옴 secondary coil=729오옴 | ||
</gallery> | </gallery> | ||
− | <li>측정 엑셀 파일 | + | <li>트랜스 측정 엑셀 파일 |
− | |||
<li>50오옴 네트워크분석기로 통과특성 | <li>50오옴 네트워크분석기로 통과특성 | ||
<gallery> | <gallery> | ||
140번째 줄: | 207번째 줄: | ||
image:compaq_nx6320_096_007.png | sqrt 수식으로 권선비 계산. L값으로 계산하는 것이 더 좋다. | image:compaq_nx6320_096_007.png | sqrt 수식으로 권선비 계산. L값으로 계산하는 것이 더 좋다. | ||
</gallery> | </gallery> | ||
− | <li>HP 3245A | + | <li> [[HP 3245A 유니버설 소스]]로 sine, square wave를 발생시키고, [[HP 3457A DMM]] 두 대로 1차측, 2차측 전압 측정하여 전압비(약 88나온다)를 그래프로 그림 |
<ol> | <ol> | ||
<li>케이블링 사진 | <li>케이블링 사진 | ||
184번째 줄: | 251번째 줄: | ||
<li>동축케이블로 케이블을 하면 C값이 커져, 입력 트랜스 L과 합쳐져 LC공진이 나타난다. | <li>동축케이블로 케이블을 하면 C값이 커져, 입력 트랜스 L과 합쳐져 LC공진이 나타난다. | ||
<li>LC공진 때문에 주파수에 따라 가한 입력 전압이 DMM에서 의도하지 않은 값으로 측정된다. | <li>LC공진 때문에 주파수에 따라 가한 입력 전압이 DMM에서 의도하지 않은 값으로 측정된다. | ||
− | <li>(다음 내용은 더 조사할 필요가 있다.) 3245A | + | <li>(다음 내용은 더 조사할 필요가 있다.) [[HP 3245A 유니버설 소스]]보다는 signal generator가 더 좋을 듯. |
− | <li>(다음 내용은 더 조사할 필요가 있다.) 3457A | + | <li>(다음 내용은 더 조사할 필요가 있다.) [[HP 3457A DMM]]으로 AC전압을 측정하기 보다는 oscilloscope가 더 좋을 듯 |
<li>(다음 내용은 더 조사할 필요가 있다.) 계측기 출력을 50오옴으로 하고, 50오옴 동축케이블에 50오옴 로드를 트랜스 입력에 부착하고 ..... | <li>(다음 내용은 더 조사할 필요가 있다.) 계측기 출력을 50오옴으로 하고, 50오옴 동축케이블에 50오옴 로드를 트랜스 입력에 부착하고 ..... | ||
</ol> | </ol> | ||
230번째 줄: | 297번째 줄: | ||
image:compaq_nx6320_043.jpg | image:compaq_nx6320_043.jpg | ||
image:compaq_nx6320_044.jpg | image:compaq_nx6320_044.jpg | ||
− | image:compaq_nx6320_045.jpg | BCM2045 Single-Chip Bluetooth // SST 39VF200A 2Mbit | + | image:compaq_nx6320_045.jpg | BCM2045 Single-Chip Bluetooth // SST 39VF200A 2Mbit [[Flash Memory]] |
image:compaq_nx6320_046.jpg | image:compaq_nx6320_046.jpg | ||
image:compaq_nx6320_047.jpg | image:compaq_nx6320_047.jpg | ||
242번째 줄: | 309번째 줄: | ||
image:compaq_nx6320_052.jpg | VISHAY AGRCSP1037B // AGRSCORP10 | image:compaq_nx6320_052.jpg | VISHAY AGRCSP1037B // AGRSCORP10 | ||
image:compaq_nx6320_053.jpg | 301Q는 CMF? | image:compaq_nx6320_053.jpg | 301Q는 CMF? | ||
− | image:compaq_nx6320_054.jpg | 칩저항기 크기 5.0x2.5mm 0.75W | + | image:compaq_nx6320_054.jpg | [[칩저항기]] 크기 5.0x2.5mm 0.75W |
− | image:compaq_nx6320_055.jpg | 서지 isolation 용 capacitor, MLCC 5.0x2.0mm J-marking | + | image:compaq_nx6320_055.jpg | 서지 isolation 용 capacitor, [[MLCC]] 5.0x2.0mm J-marking |
− | image:compaq_nx6320_056.jpg | RJ11 포트 및 페라이트 슬리브 | + | image:compaq_nx6320_056.jpg | RJ11 포트 및 [[페라이트 슬리브]] |
</gallery> | </gallery> | ||
<li>QG82945GM, Graphics and Memory Controller | <li>QG82945GM, Graphics and Memory Controller |
2025년 2월 10일 (월) 16:05 기준 최신판
Compaq nx6320 노트북
- 전자부품
- 컴퓨터
- 노트북
- 2006년 07월 출시 Compaq nx6320 노트북 - 이 페이지
- 노트북
- 컴퓨터
- Compaq nx6320 - 박천길 기증품
- 제품 정보
- 빠른 규격서 - 36p
- 외관
- 일렉트릿 마이크
- 뒷면
- 라벨
- 터치패드
- 외형
- 동박 패턴 사이에 형성되는 부유 용량(stray capacitance)이 주변 금속과 PCB 동박사이 거리 변화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부유 용량을 제거하기 위해 카본 도전성 잉크 저항기를 바른 듯.
- 카본 도전성 잉크 저항기가 맞다.
- 카본 도전성 잉크 저항기를 벗기면
- 터치 패드면 - 가격절감을 위해 양면 PCB를 사용하기 위해서
- 외형
- 18650 셀을 사용한 노트북 배터리팩
- 외관
- Samsung SDI, ICR 18650 6-셀
- 제어, 보호 IC, bq29312 lithium-ion battery pack protection analog front end (AFE) IC // bq 2084DBT SBS-compliant gas gauge IC
- SMD타입 전류검출용R, 0.01오옴 6.4x3.2mm(2512size;1W)
- TCO퓨즈, SEFUSE D6X 시리즈, D6X73C
- 외관
- 노트북용 DVD 드라이브 , HP PN#: 416184-8C0, Model: TS-L632 (Toshiba Samsung)
- 키보드 분리 방법
- SO-DIMM
박형 원심팬, 히트파이프는 CPU만 연결, 배터리, 주기억장치가 보인다.
- 노트북 LCD
- CCFL
- CCFL 백라이트용 고전압 전원공급기
- 위치하는 곳
- 외형
- 고압 MLCC
- 고압트랜스
- 외형
- 측정 사진
- 트랜스 측정 엑셀 파일
- 50오옴 네트워크분석기로 통과특성
- LCR 미터로 turn ratio(권선비) 측정, 약 92나온다.
- HP 3245A 유니버설 소스로 sine, square wave를 발생시키고, HP 3457A DMM 두 대로 1차측, 2차측 전압 측정하여 전압비(약 88나온다)를 그래프로 그림
- 케이블링 사진
- 1,2,3차 측정, 전압비만 계산한 그래프
- 4차 측정, 앞 실험에서 그래프가 이상하여, 입력전압, 출력전압, 전압비 그래프를 그림
- 계측기와 연결된 상태에서 LCR미터로 임피던스를 측정함
- 케이블링 사진
- 케이블을 간단하게 하여 다시 측정함. (5차 측정)
- 케이블링 사진
- 입력전압, 출력전압, 전압비 그래프
- 케이블링 사진
- 결론:
- LCR미터 측정한 L값은 전선굵기와 무관하게 권선수에 비례하므로 1,2차측 측정하여 계산하면 의미있는 값이 나온다.
- 권선비를 알아내기 위해 전압을 직접 측정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power factor ??? 등에 대해서 더 공부가 필요하다.)
- 동축케이블로 케이블을 하면 C값이 커져, 입력 트랜스 L과 합쳐져 LC공진이 나타난다.
- LC공진 때문에 주파수에 따라 가한 입력 전압이 DMM에서 의도하지 않은 값으로 측정된다.
- (다음 내용은 더 조사할 필요가 있다.) HP 3245A 유니버설 소스보다는 signal generator가 더 좋을 듯.
- (다음 내용은 더 조사할 필요가 있다.) HP 3457A DMM으로 AC전압을 측정하기 보다는 oscilloscope가 더 좋을 듯
- (다음 내용은 더 조사할 필요가 있다.) 계측기 출력을 50오옴으로 하고, 50오옴 동축케이블에 50오옴 로드를 트랜스 입력에 부착하고 .....
- 외형
- 위치하는 곳
- 키보드 주변 EMI 실드 방법
- WiFi 모듈 , 안테나
- CPU 냉각
- USB 및 IEEE 1394a 포트와 연결 케이블
- BT - BCM92045NMD, Bluetooth Wireless Wifi Module Card
BCM2045 Single-Chip Bluetooth // SST 39VF200A 2Mbit Flash Memory
- 모뎀, Agere Systems Am2 Internal Modem Card - 56K V.92 modem
- QG82945GM, Graphics and Memory Controller
- T7200, Intel Core 2 Duo Mobile, 2GHz, bus 667MHz, 478-pin, 65nm, 34W
- 몇몇 IC
- LCD용 케이블
- 스피커
- 7-in-1 Media Reader
- DC 전원 입력 포트에서
- 키보드 위, 각종 기능 스위치 모듈의 실드 방법
- 윗쪽은 PC Card 슬롯, 아래쪽은 ExpressCard 슬롯
- 제품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