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크 저항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Togotech님이 잉크 저항 문서를 잉크 저항기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잉크R]]
+
잉크 저항기
 +
<ol>
 +
<li> [[전자부품]]
 +
<ol>
 +
<li> [[저항기]]
 +
<ol>
 +
<li> [[점퍼]]
 +
<ol>
 +
<li> [[잉크 저항기]] - 이 페이지
 +
<li> [[카본 도전성 잉크 저항기]] - 이 페이지
 +
<li> [[은 잉크]]
 +
</ol>
 +
<li>참고
 +
<ol>
 +
<li> [[칩점퍼]]
 +
<li> [[납땜점퍼]]
 +
<li> [[점퍼 저항기]]
 +
</ol>
 +
</ol>
 +
<li>참고
 +
<ol>
 +
<li> [[잉크]]
 +
<li> [[멤브레인 스위치]]
 +
<li> [[도전성고무]] 스위치
 +
</ol>
 +
</ol>
 +
<li>기술정보
 +
<ol>
 +
<li>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Conductive_ink
 +
<li>점퍼로 사용되므로 저항이 낮을수록 좋다.
 +
<ol>
 +
<li>가변저항기에 사용된다.
 +
<li>적당한 저항체로 사용하는 경우는 현재 진동모터에서 발견되고 있다.
 +
</ol>
 +
</ol>
 +
<li>카본 페인트 저항, 카본 도전성 잉크(Carbon conductive inks, carbon resistive paint)
 +
<ol>
 +
<li>단면 PCB를 양면 PCB처럼 기능 발휘하기 위해
 +
<ol>
 +
<li> [[디지털 쿼츠시계]]
 +
<gallery>
 +
image:desk_clock02_003.jpg
 +
</gallery>
 +
</ol>
 +
<li> [[HP Officejet 4355 잉크젯 복합기]] 조작패널에서
 +
<ol>
 +
<li>사진
 +
<gallery>
 +
image:inkjet02_012.jpg
 +
image:inkjet02_013.jpg
 +
</gallery>
 +
<li>저항 및 [[저항온도계수]] 측정
 +
<ol>
 +
<li>사진
 +
<gallery>
 +
image:carbon_paste01_001.jpg | ~16ohm
 +
image:carbon_paste01_002.jpg
 +
</gallery>
 +
<li>16/11/14 온도계수 -200ppm/C
 +
<gallery>
 +
image:carbon_paste01_003.png
 +
image:carbon_paste01_004.png
 +
</gallery>
 +
</ol>
 +
</ol>
 +
<li> [[SJ전자 SJ-120 유선전화기]] 버튼에서
 +
<ol>
 +
<li> 카본 [[잉크 저항기]]
 +
<gallery>
 +
image:telephone01_020.jpg
 +
</gallery>
 +
<li>칼로 슬롯을 가공한 후, [[van der Pauw]] 측정
 +
<gallery>
 +
image:telephone01_021.jpg
 +
</gallery>
 +
<li>측정결과 - (이 샘플처럼 길게 형성되면 수직,수평 저항비는 1:4700 로 오차에 영향을 줄까?)
 +
<ol>
 +
<li>R1,2,3,4 = 6.06, 5.69, 5.79, 6.08 mΩ
 +
<li>R5,6,7,8 = 27.8629, 27.8621, 27.8625, 27.8624 ohm
 +
<li>R_vertical = 5.91 mΩ
 +
<li>R_horizontal = 27.8625 ohm
 +
<li>Rs = 19.22 ohm
 +
</ol>
 +
<li>다른 저항을 4-와이어 저항 측정
 +
<gallery>
 +
image:telephone01_022.jpg | 폭:길이=1:3
 +
image:telephone01_023.jpg | 37오옴. 그러면 Rs=37/3=12오옴. (참조) 앞에서 van des pauw 방법은 19오옴
 +
</gallery>
 +
</ol>
 +
<li> [[리모콘]]
 +
<ol>
 +
<li>스카이라이프 셋탑박스용
 +
<gallery>
 +
image:remote_control01_002.jpg
 +
image:remote_control01_003.jpg
 +
</gallery>
 +
<li>TV 리모콘-A에서
 +
<gallery>
 +
image:remote_control02_009.jpg | 2008.11 제조
 +
image:remote_control02_010.jpg | ABOV MC40P5001, 4-bit MCU
 +
image:remote_control02_011.jpg
 +
image:remote_control02_012.jpg | 87오옴
 +
image:remote_control02_013.jpg
 +
image:remote_control02_014.jpg
 +
image:remote_control02_015.jpg | 도전성 페인트 연결방법
 +
</gallery>
 +
<li>2021/07 AB 네트웍스로부터 기증받음, 유럽에서 사용함
 +
<gallery>
 +
image:remote_control08_002.jpg | NUSBT-V1
 +
image:remote_control08_003.jpg | 단면 동박에, 양면 인쇄 기술을 사용했다.
 +
image:remote_control08_004.jpg
 +
</gallery>
 +
</ol>
 +
<li> [[무선전화기]], 유니덴 RF 모듈에서
 +
<gallery>
 +
image:clp03_hand_001.jpg | 카본 페인트 [[잉크 저항기]]
 +
</gallery>
 +
<li> [[1.7GHz DECT 맥슨 MDC-2670S]] 무선전화기에서
 +
<gallery>
 +
image:mdc_2670s_005.jpg | [[카본 도전성 잉크]] 전극에 [[테이프본딩]]
 +
</gallery>
 +
<li>2006년 07월 출시 [[Compaq nx6320 노트북]] , [[터치패드]]에서
 +
<ol>
 +
<li>동박 패턴 사이에 형성되는 부유 용량(stray capacitance)이 주변 금속과 PCB 동박사이 거리 변화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부유 용량을 제거하기 위해 [[카본 도전성 잉크]]를 바른 듯.
 +
<gallery>
 +
image:compaq_nx6320_020.jpg | Synaptics TM51PUG6R383 모듈
 +
</gallery>
 +
<li> [[카본 도전성 잉크]]가 맞다.
 +
<gallery>
 +
image:compaq_nx6320_021.jpg
 +
image:compaq_nx6320_022.jpg | 동박 [[면저항]] 0.3mΩ
 +
image:compaq_nx6320_023.jpg | 잉크 [[면저항]] 4Ω
 +
</gallery>
 +
<li>[[카본 도전성 잉크]]를 벗기면
 +
<gallery>
 +
image:compaq_nx6320_024.jpg | C값이 두배 이상 커진다.
 +
image:compaq_nx6320_025.jpg | 여러곳 접지와 연결되어 부유용량을 신속히 제거한다.
 +
</gallery>
 +
</ol>
 +
<li>2013년 12월 출시 [[노트북]], [[LG 15N53]]에서
 +
<ol>
 +
<li> [[터치패드]]
 +
<ol>
 +
<li>좌우 클릭 [[택타일 스위치]]스위치, 돔 스위치 접점에 문제없도록 카본 [[잉크 저항기]]를 덧칠해 구리가 녹슬지 않도록 함.
 +
<gallery>
 +
image:lg_15n53_042.jpg | 휨 방지용 철판
 +
image:lg_15n53_048.jpg
 +
image:lg_15n53_049.jpg
 +
</gallery>
 +
</ol>
 +
</ol>
 +
<li> [[키보드]]
 +
<ol>
 +
<li> [[Logitech K270 무선 키보드]] 투고기술 메인PC에 현재 사용중
 +
<gallery>
 +
image:keyboard04_010_001.jpg | 보드에는 [[카본 도전성 잉크]], 그리고 [[실리콘 고무]] 가스켓을 철판으로 누르고 있다.
 +
</gallery>
 +
</ol>
 +
<li>커넥터 접점용 - 녹이 슬지 않는다.
 +
<ol>
 +
<li> Sony PS용 Wireless Controller [[SIXAXIS]]
 +
<gallery>
 +
image:dualshock3_019.jpg | [[멤브레인 스위치]]와 연결을 위한 [[카본 도전성 잉크]]를 바른 전극
 +
</gallery>
 +
</ol>
 +
<li>사용한 이유를 아직 알 수 없는
 +
<ol>
 +
<li> [[코인타입]] ERM 진동모터
 +
<ol>
 +
<li>2016.01 출시 삼성 [[SM-A710S]] 갤럭시 A7 LTE 스마트폰
 +
<gallery>
 +
image:a710s01_083.jpg | [[잉크 저항기]] 3개가 인쇄로 발라져 있다.
 +
</gallery>
 +
<li>2018.06 출시한 샤오미 [[미밴드3]]
 +
<gallery>
 +
image:mi_band3_015_003.jpg | [[잉크 저항기]]는 약 0.5kΩ
 +
</gallery>
 +
</ol>
 +
</ol>
 +
</ol>
 +
</ol>

2025년 3월 19일 (수) 22:19 기준 최신판

잉크 저항기

  1. 전자부품
    1. 저항기
      1. 점퍼
        1. 잉크 저항기 - 이 페이지
        2. 카본 도전성 잉크 저항기 - 이 페이지
        3. 은 잉크
      2. 참고
        1. 칩점퍼
        2. 납땜점퍼
        3. 점퍼 저항기
    2. 참고
      1. 잉크
      2. 멤브레인 스위치
      3. 도전성고무 스위치
  2. 기술정보
    1. 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Conductive_ink
    2. 점퍼로 사용되므로 저항이 낮을수록 좋다.
      1. 가변저항기에 사용된다.
      2. 적당한 저항체로 사용하는 경우는 현재 진동모터에서 발견되고 있다.
  3. 카본 페인트 저항, 카본 도전성 잉크(Carbon conductive inks, carbon resistive paint)
    1. 단면 PCB를 양면 PCB처럼 기능 발휘하기 위해
      1. 디지털 쿼츠시계
    2. HP Officejet 4355 잉크젯 복합기 조작패널에서
      1. 사진
      2. 저항 및 저항온도계수 측정
        1. 사진
        2. 16/11/14 온도계수 -200ppm/C
    3. SJ전자 SJ-120 유선전화기 버튼에서
      1. 카본 잉크 저항기
      2. 칼로 슬롯을 가공한 후, van der Pauw 측정
      3. 측정결과 - (이 샘플처럼 길게 형성되면 수직,수평 저항비는 1:4700 로 오차에 영향을 줄까?)
        1. R1,2,3,4 = 6.06, 5.69, 5.79, 6.08 mΩ
        2. R5,6,7,8 = 27.8629, 27.8621, 27.8625, 27.8624 ohm
        3. R_vertical = 5.91 mΩ
        4. R_horizontal = 27.8625 ohm
        5. Rs = 19.22 ohm
      4. 다른 저항을 4-와이어 저항 측정
    4. 리모콘
      1. 스카이라이프 셋탑박스용
      2. TV 리모콘-A에서
      3. 2021/07 AB 네트웍스로부터 기증받음, 유럽에서 사용함
    5. 무선전화기, 유니덴 RF 모듈에서
    6. 1.7GHz DECT 맥슨 MDC-2670S 무선전화기에서
    7. 2006년 07월 출시 Compaq nx6320 노트북 , 터치패드에서
      1. 동박 패턴 사이에 형성되는 부유 용량(stray capacitance)이 주변 금속과 PCB 동박사이 거리 변화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부유 용량을 제거하기 위해 카본 도전성 잉크를 바른 듯.
      2. 카본 도전성 잉크가 맞다.
      3. 카본 도전성 잉크를 벗기면
    8. 2013년 12월 출시 노트북, LG 15N53에서
      1. 터치패드
        1. 좌우 클릭 택타일 스위치스위치, 돔 스위치 접점에 문제없도록 카본 잉크 저항기를 덧칠해 구리가 녹슬지 않도록 함.
    9. 키보드
      1. Logitech K270 무선 키보드 투고기술 메인PC에 현재 사용중
    10. 커넥터 접점용 - 녹이 슬지 않는다.
      1. Sony PS용 Wireless Controller SIXAXIS
    11. 사용한 이유를 아직 알 수 없는
      1. 코인타입 ERM 진동모터
        1. 2016.01 출시 삼성 SM-A710S 갤럭시 A7 LTE 스마트폰
        2. 2018.06 출시한 샤오미 미밴드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