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칠기측정기

(거칠기측정에서 넘어옴)

거칠기측정기

  1. 전자부품
    1. 계측기에서
      1. 거칠기측정기 - 이 페이지
  2. 거칠기, 조도 측정기 Kosaka Surfcorder SE-1700a
    1. 코사카 한국 대리점, 동일 테크노 , http://www.kosaka.co.kr/
      1. 평촌아이에스비즈타워 공장동 1504호, kgs6426@daum.net
    2. 2015/03/15
    3. 2015/03/31
    4. 2015/04/04 조명 설치
    5. 2015/07/03 다시 반입해감
    6. 2015/07/06 견적서 발행
      1. 수리 보고서
      2. 2015/07/16 300만원(부가세별도)로 세금계산서를 발행함
    7. 2019/03/18 2018년말 자산조사 후 폐기 품목.
    8. 2019/03/19 투고기술 도착
      1. 도착
      2. 콘트롤러 외관 - 전체 모델, Surfcorder, SE1700alpha-18D, 2000년 7월 제조품에서, 콘트롤러 모델은 AS17000alpha
      3. 분해 방법 - 밑 나사 4개 풀고, 밑에서 2개 나사 풀어야 케이스 분리됨.
      4. 내부
      5. 리본 케이블 커넥터 핀 휘어져 있음.
      6. 디스플레이, 제어보드 분해
      7. DDI 보드
      8. 2021/04/05 버리면서 분해함
        1. LCD
        2. 고압트랜스
          1. 전압에 따른 형광등 소비전류
        3. DDI 보드
      9. 터치스크린(20x15cell, 9.6x7.2cm, 대각선 12cm, 4.72인치) 불량, FFC(flexible flat cable) 피치 1.25mm
    9. 2019/03/20 동일테크노에 연락하여, 터치스크린 구입 문의함
      1. kgs6426@daum.net 김길섭씨로부터 학인해보겠다는 답장 도착
      2. 2019년 5월 15일까지 연락이 없음.
    10. 2019/05/15 터치패널을 X,Y 접점으로 변경했으나, 의도대로 동작하지 않음 - 모두 버릴 예정
      1. FFC(Flat Flexible Cable) 대신에 리본케이블로 연결해봄
      2. 20 coulmn, 15 row X,Y 접점을 만들어
      3. 연결했으나, 의도대로 동작하지 않음.
  3. 2021/04/05 버리면서 모두 분해함
    1. 책상 밑에 설치되는 SP Driver
      1. 뒷면 패널
      2. 릴레이, AC100 in-out 스위칭용, Omron G3CN-202P, 2A 264VAC(꽤 큼에도 불구하고), 불꽃방지용 C
      3. 네온등, 전원 ON 표시용
      4. 내부 (SMPS 2개 및) 메인보드
      5. IDC 연결방법
      6. 릴레이, NAIS(Panasonic) HB1E-DC12V, 배출구를 녹여 막았다.
      7. 관심 사진
      8. SMPS 1, ZWS75PF-15/J, Nemic-Lambda(TDK-Lambda), 15V 5A
      9. SMPS 2, ZWS50-15/J, Nemic-Lambda(TDK-Lambda), 15V 3.5A
    2. 메인 콘트롤러
      1. AC라인필터
        1. AC전원용 노이즈필터 소켓
        2. AC전원용 CMF 없는 노이즈필터를 더 연결함
      2. SMPS
      3. 프린터 모듈
        1. 전체
        2. 인터페이스 보드
        3. 영수증 프린터와 동일한, 프린터 메커니즘
        4. 스크루에서 왼나사. 수작업으로 체결할 때 힘차게 돌리는 방향이 오른손잡이 왼손잡이가 각각 다르다.
        5. 리테이닝 링
        6. TPH
        7. TPH 표면
      4. 카드접점, Fujisoku 38-pin Memory Card를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됨.
      5. 메인보드 앞면
      6. 메인보드 뒷면 PCB 동박에 있는 가드링
      7. 메인보드 뒷면에 납땜 수정
    3. 조작 스위치
      1. 외관
      2. 내부
      3. 택타일 스위치에서 고무 수지가 경화되어 부서짐
    4. 석정반 및 Z, X축
    5. X 축 이동 유닛
      1. 외관
      2. 전체
      3. 픽업 센서 단자 쓰루 연결선
      4. 포토인터럽터로 이동 리미트 스위치로 사용됨
      5. 기어에서, 회전운동(worm)을 직선운동(wheel이 회전하지 않으면)으로
      6. 휠(wheel)
      7. 포르테스캡 모터 및 감속기(gearbox)
        1. 외관
        2. free load상태에서 모터 인가전압 vs 타코발전기 출력전압(리플 제거하지 않고 DMM으로 측정)
        3. 1V에서 소모전류 파형으로 rpm 추측
          1. 약 780rpm 나오는 듯
      8. X 축 이동을 위한, 외경을 담당하는 슬라이딩 베어링 (sliding bearing)
        1. 10nm 이하 측정해야 하므로 약 150mm 이동시 매우 잘 미끄러져야 한다.
      9. 갈바노미터, Z축 헤드 높이 조절을 위해서 바늘이 접촉되는 알맞은 높이를 표시해주는 지시계
        1. 외관
        2. network분석기로 S21 측정 엑셀 파일,
        3. LCR 미터로 임피던스 측정 엑셀 파일,
    6. Z 축 이동을 위한 모터 컬럼
      1. 전체, 볼 스크루 하단은 고정되어 있지 않음.
      2. 키(기계요소)를 사용하여 회전축에 확실한 동력전달
      3. 기어 중에서 웜 worm과 휠 wheel
      4. 타이밍 벨트기어풀리(gear pulley) 고정 방법
      5. 베어링, Fast-Travel Ball Nuts 라고 한다.
      6. 포르테스캡 모터
        1. 외관
        2. free load상태에서 모터 인가전압 vs 타코발전기 출력전압(리플 제거하지 않고 DMM으로 측정)
    7. 검출기(detector)와 여기에 꼽아서 사용하는 stylus(촉침,탐침,프로브) 모델 A5로 추정
      1. pick-up body 모델: PU-A2
      2. A5라는 모델명을 갖는 다이아몬드 stylus, R=5um 90도, 4mN, SE2427N
      3. 원통을 꺼내는 방법
      4. stylus와 LVDT 연결
      5. LV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