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C"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NFC | NFC | ||
<ol> | <ol> | ||
− | <li> | + | <li> [[전자부품]] |
<ol> | <ol> | ||
− | <li> [[ | + | <li> [[안테나]] |
<ol> | <ol> | ||
<li> [[RFID]] | <li> [[RFID]] | ||
<li> [[NFC]] - 이 페이지 | <li> [[NFC]] - 이 페이지 | ||
+ | </ol> | ||
+ | <li>참조 | ||
+ | <ol> | ||
+ | <li> [[무선충전기]] | ||
+ | <li> [[페라이트 시트]] | ||
</ol> | </ol> | ||
</ol> | </ol> | ||
<li>상식 | <li>상식 | ||
<ol> | <ol> | ||
− | <li>Wikipedia | + | <li>Wikipedia |
− | <ol> | + | <ol> |
+ | <li>RF ID https://en.wikipedia.org/wiki/Radio-frequency_identification | ||
+ | <li>Contactless smart card https://en.wikipedia.org/wiki/Contactless_smart_card | ||
+ | <li>Proximity card https://en.wikipedia.org/wiki/Proximity_card | ||
+ | <li>Near Field Communication https://en.wikipedia.org/wiki/Near-field_communication | ||
</ol> | </ol> | ||
<li>관련 홈 페이지 | <li>관련 홈 페이지 | ||
<ol> | <ol> | ||
− | <li> | + | <li> 13.56MHz |
<li>11/07/08 무라타 NFC 관련 프레젠테이션자료 - 11p | <li>11/07/08 무라타 NFC 관련 프레젠테이션자료 - 11p | ||
+ | <li>안테나 설계 | ||
+ | <ol> | ||
+ | <li>2019/02 - 20p | ||
+ | <gallery> | ||
+ | image:nfc_module00_001.jpg | 코일 인덕턴스값을 1~6uH 사이로 만들고 C를 20~100pF 택해 13.56MHz 부근에서 공진을 일으킨다. | ||
+ | </gallery> | ||
+ | </ol> | ||
</ol> | </ol> | ||
+ | <li>NFC + MST + WPC | ||
+ | <ol> | ||
+ | <li>어떤 회사 제품은 3층으로 구성 | ||
+ | <ol> | ||
+ | <li>FPCB - 안테나 | ||
+ | <li>shielding sheet | ||
+ | <li>graphite sheet(배터리 등 본체 내부로부터 열방출) | ||
</ol> | </ol> | ||
− | <li>NFC 안테나 | + | <li>3가지 기능 |
+ | <ol> | ||
+ | <li>NFC 13.56MHz+-0.35MHz 1.0~2.0오옴 | ||
+ | <li>MST 1.6~3.3kHz, 26.2~28.2uH, 1.0~2.25오옴(점차 낮은 값을 요구한다.), | ||
+ | <li>WPC 8.65~9.45uF, 0.18~0.58오옴 | ||
+ | </ol> | ||
+ | <li>삼성페이용 마그네틱 보안 전송;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 ||
+ | <ol> | ||
+ | <li>(거의 사라진) 자기띠 신용카드를 읽는 자기헤드에 신호를 전송한다. | ||
+ | <li>그러므로 꽤 큰 파워가 필요하다. 그래서 전송거리가 짧다. 자기띠 신용카드가 없어짐에 따라 21년 기준으로 앞으로는 채택하지 않을 것이다. | ||
+ | </ol> | ||
+ | <li>WPC; Wireless Power Consortium | ||
+ | </ol> | ||
+ | </ol> | ||
+ | <li>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 ||
+ | <ol> | ||
+ | <li>기술 | ||
+ | <ol> | ||
+ | <li>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Magnetic_secure_transmission | ||
+ | <li>논문 - 도청가능함을 실험한 - 15p | ||
+ | <li>LoopPay 회사 특허 - 10p | ||
+ | <ol> | ||
+ | <li>코일의 L값과 R값이 전류 파형 모양을 결정한다. ~80uH/ohm | ||
+ | <li>카드리더기는 차폐가 잘 되어 있기 때문에 송신기에서는 되도록 큰 전류를 사용해야 하므로 코일 저항이 충분히 낮아야 한다. | ||
+ | <li>또한 전류 펄스를 상승시간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L값이 충분히 커야 한다. | ||
+ | <li>별도의 공진주파수가 없기 때문에 LC 매칭 회로가 없다. | ||
+ | </ol> | ||
+ | </ol> | ||
+ | </ol> | ||
+ | <li>NFC | ||
+ | <ol> | ||
+ | <li>NFM110A, 삼성 HW-F850 2.1 ch Sound-Bar에 사용. Bluetooth 연결을 하기 위해 사용한다. | ||
+ | <gallery> | ||
+ | image:nfc_module01_001.jpg | FCC 규격 조사 안됨. NFC는 주파수 인증이 아닌 듯 | ||
+ | image:nfc_module01_002.jpg | 맨 위 MLCC가 13.56MHz 공진용 C인듯 | ||
+ | image:nfc_module01_005.jpg | ||
+ | image:nfc_module01_003.jpg | NFC 칩 N1F01 (검색안됨) | ||
+ | image:nfc_module01_004.jpg | TVS 다이오드(추정) | ||
+ | </gallery> | ||
+ | </ol> | ||
+ | <li>배터리 금속판에 사용되는 NFC 안테나 | ||
<ol> | <ol> | ||
− | <li>배터리 금속판에 붙였을 때, 배터리 금속판이 없을 때, 페라이트 시트 없을 때 | + | <li>배터리 금속판에 붙였을 때, 배터리 금속판이 없을 때, 페라이트 시트 없을 때 - LCR 미터로 첫번째 측정 |
<ol> | <ol> | ||
<li>임피던스 측정 데이터 | <li>임피던스 측정 데이터 | ||
+ | <gallery> | ||
+ | image:nfc_module00_002.png | 1MHz 미만 주파수에서는 큰 의미가 없다. | ||
+ | </gallery> | ||
</ol> | </ol> | ||
<li>단품 사진 | <li>단품 사진 | ||
71번째 줄: | 137번째 줄: | ||
<li>핸드폰 배터리에서 | <li>핸드폰 배터리에서 | ||
<ol> | <ol> | ||
− | <li> [[LG-SH170]] | + | <li>2008년 [[LG-SH170]] 슬라이드 피처폰에서 |
<ol> | <ol> | ||
− | <li>모바일 T-머니를 위한 NFC | + | <li>모바일 T-머니를 위한 NFC 안테나. 13.56MHz 용 |
<gallery> | <gallery> | ||
image:sh170_003.jpg | image:sh170_003.jpg | ||
97번째 줄: | 163번째 줄: | ||
image:w4700_008.jpg | image:w4700_008.jpg | ||
</gallery> | </gallery> | ||
+ | </ol> | ||
+ | <li>2012 삼성 갤럭시 S3 [[SHV-E210K]] 핸드폰에서 | ||
+ | <ol> | ||
+ | <li>외형 | ||
+ | <gallery> | ||
+ | image:shv_e210k_003.jpg | 엔피텍 3.8V 7.98Wh, Near Field Communication | ||
+ | image:shv_e210k_004.jpg | EB-L1H2LLK 2100mAh, 제조년월 2013.03 | ||
+ | </gallery> | ||
+ | <li>라벨 테이프 벗기면, NFC 안테나가 보인다. | ||
+ | <gallery> | ||
+ | image:shv_e210k_005.jpg | ||
+ | image:shv_e210k_006.jpg | GRF-C Project Ver 2.2 | ||
+ | </gallery> | ||
+ | <li>NFC 안테나와 접촉 단자 연결 | ||
+ | <gallery> | ||
+ | image:shv_e210k_007.jpg | ||
+ | image:shv_e210k_008.jpg | SAMSUNG TSDI(TianJin), ICP565156A | ||
+ | </gallery> | ||
+ | <li>NFC 안테나 측정 - 이렇게 측정하는 것은 거의 의미가 없다. | ||
+ | <ol> | ||
+ | <li>측정 사진 | ||
+ | <gallery> | ||
+ | image:shv_e210k_009.jpg | ||
+ | image:shv_e210k_010.jpg | ||
+ | </gallery> | ||
+ | <li>네트워크분석기 측정 데이터 | ||
+ | <gallery> | ||
+ | image:shv_e210k_010_001.png | 통과 이득특성, 위상 | ||
+ | image:shv_e210k_010_002.png | 배터리 금속을 접지시키면(inter-winding C가 없어지므로 공진주파수가 높아진다.) | ||
+ | </gallery> | ||
+ | </ol> | ||
+ | </ol> | ||
+ | <li>팬택 & 큐리텔 [[PT-L2200]] 피처폰에서 | ||
+ | <ol> | ||
+ | <li>구조 | ||
+ | <gallery> | ||
+ | image:pt_l2200_043.jpg | ICP553450W SAMSUNG SDI 배터리 | ||
+ | image:pt_l2200_044.jpg | NXG-PT-2200 EXTD Ver. 1.1 | ||
+ | image:pt_l2200_045.jpg | 페라이트 시트를 절반 가량 뜯었을 때 | ||
+ | </gallery> | ||
+ | <li>페라이트 시트를 뜯은 후 측정 | ||
+ | <gallery> | ||
+ | image:pt_l2200_046.jpg | 측정 | ||
+ | image:pt_l2200_047.jpg | 전선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F-PCB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 | ||
+ | </gallery> | ||
+ | <li> [[LCR-4284A]] 계측기로 ~1MHz까지 측정한 데이터 | ||
+ | <gallery> | ||
+ | image:pt_l2200_046_003.png | ||
+ | image:pt_l2200_046_004.png | 사용주파수가 13.56MHz이므로 1MHz까지 측정한 데이터로는 뭐라 이야기하기 곤란하다. | ||
+ | </gallery> | ||
+ | <li>네트워크분석기로 통과특성을 측정한 데이터 | ||
+ | <gallery> | ||
+ | image:pt_l2200_046_001.png | ||
+ | image:pt_l2200_046_002.png | 공진은 약 75MHz, 페라이트시트를 제거하면 150MHz로 높아진다. | ||
+ | </gallery> | ||
+ | </ol> | ||
+ | <li>2007년 팬택&큐리텔 스위블 피처폰 [[canU701D]] | ||
+ | <ol> | ||
+ | <li>모바일 뱅킹 서비스, LGT에서는 BankON이라는 상품 이용해야 함. 금융칩을 끼워야 한다. | ||
+ | <li>외관 | ||
+ | <gallery> | ||
+ | image:canu701d_083.jpg | ||
+ | image:canu701d_084.jpg | M0703C H7 PLA-1193 A1 | ||
+ | image:canu701d_085.jpg | [[P-PTC]] | ||
+ | </gallery> | ||
+ | <li>배터리 케이스를 접지시키면 | ||
+ | <gallery> | ||
+ | image:canu701d_084_001.jpg | +극이 깡통이다. | ||
+ | image:canu701d_084_002.jpg | 측정 방법 | ||
+ | image:canu701d_084_003.png | 고주파로 많이 이동한다. (안테나 코일에서 inter-winding C가 사라지기 때문이다.) | ||
+ | </gallery> | ||
+ | <li>안테나 코일을 PCB에서 분리하여 측정하면 | ||
+ | <gallery> | ||
+ | image:canu701d_084_004.jpg | ||
+ | image:canu701d_084_005.png | 공진점이 없어진다. L-C 공진을 일으키는 C가 PCB에 있기 때문이다. | ||
+ | </gallery> | ||
+ | <li>외부와 연결되는 접점에서 측정하면 | ||
+ | <gallery> | ||
+ | image:canu701d_084_006.jpg | 연결 지점 | ||
+ | image:canu701d_084_007.png | 직렬 C가 있을 뿐이다. 즉, 12.56MHz 아날로그 신호가 외부와 연결된다. | ||
+ | </gallery> | ||
+ | <li>외부 연결선을 길게하면 | ||
+ | <gallery> | ||
+ | image:canu701d_084_008.jpg | ||
+ | image:canu701d_084_009.png | 아무런 영향이 없다. | ||
+ | </gallery> | ||
+ | <li>외부 연결선을 비 대칭으로 더 길게(L을 증가시키면) | ||
+ | <gallery> | ||
+ | image:canu701d_084_010.jpg | ||
+ | image:canu701d_084_011.png | 아무런 영향이 없다. | ||
+ | </gallery> | ||
+ | <li>결론 | ||
+ | <ol> | ||
+ | <li>L-C 루프 내에서 연결된 C와 L에 의해 공진주파수가 결정된다. | ||
+ | <li>신호를 판독하는 IC는 핸드폰 본체에 있고 13.56MHz 아날로그 신호로 연결된다. | ||
+ | <li>공진주파수는 코일의 parasitic C 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세트 환경을 완벽하게 갖춘 후 측정한다. (접지 문제) | ||
+ | <li>코일 밑에 붙이는 페라이트시트의 투자율은 L값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일정한 L이 나오도록 관리해야 한다. | ||
+ | <li>13.56MHz에 공진만 일으키면 되므로, 코일 L값 조정대신에 PCB에서 적절한 C값을 조정해서 맞출 수 있다. | ||
+ | </ol> | ||
</ol> | </ol> | ||
</ol> | </ol> | ||
</ol> | </ol> | ||
</ol> | </ol> |
2022년 10월 4일 (화) 18:06 기준 최신판
NFC
- 전자부품
- 상식
- Wikipedia
- RF ID https://en.wikipedia.org/wiki/Radio-frequency_identification
- Contactless smart card https://en.wikipedia.org/wiki/Contactless_smart_card
- Proximity card https://en.wikipedia.org/wiki/Proximity_card
- Near Field Communication https://en.wikipedia.org/wiki/Near-field_communication
- 관련 홈 페이지
- 13.56MHz
- 11/07/08 무라타 NFC 관련 프레젠테이션자료 - 11p
- 안테나 설계
- 2019/02 - 20p
- 2019/02 - 20p
- NFC + MST + WPC
- 어떤 회사 제품은 3층으로 구성
- FPCB - 안테나
- shielding sheet
- graphite sheet(배터리 등 본체 내부로부터 열방출)
- 3가지 기능
- NFC 13.56MHz+-0.35MHz 1.0~2.0오옴
- MST 1.6~3.3kHz, 26.2~28.2uH, 1.0~2.25오옴(점차 낮은 값을 요구한다.),
- WPC 8.65~9.45uF, 0.18~0.58오옴
- 삼성페이용 마그네틱 보안 전송;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 (거의 사라진) 자기띠 신용카드를 읽는 자기헤드에 신호를 전송한다.
- 그러므로 꽤 큰 파워가 필요하다. 그래서 전송거리가 짧다. 자기띠 신용카드가 없어짐에 따라 21년 기준으로 앞으로는 채택하지 않을 것이다.
- WPC; Wireless Power Consortium
- 어떤 회사 제품은 3층으로 구성
- Wikipedia
- 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 기술
- 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Magnetic_secure_transmission
- 논문 - 도청가능함을 실험한 - 15p
- LoopPay 회사 특허 - 10p
- 코일의 L값과 R값이 전류 파형 모양을 결정한다. ~80uH/ohm
- 카드리더기는 차폐가 잘 되어 있기 때문에 송신기에서는 되도록 큰 전류를 사용해야 하므로 코일 저항이 충분히 낮아야 한다.
- 또한 전류 펄스를 상승시간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L값이 충분히 커야 한다.
- 별도의 공진주파수가 없기 때문에 LC 매칭 회로가 없다.
- 기술
- NFC
- NFM110A, 삼성 HW-F850 2.1 ch Sound-Bar에 사용. Bluetooth 연결을 하기 위해 사용한다.
- NFM110A, 삼성 HW-F850 2.1 ch Sound-Bar에 사용. Bluetooth 연결을 하기 위해 사용한다.
- 배터리 금속판에 사용되는 NFC 안테나
- 배터리 금속판에 붙였을 때, 배터리 금속판이 없을 때, 페라이트 시트 없을 때 - LCR 미터로 첫번째 측정
- 임피던스 측정 데이터
- 임피던스 측정 데이터
- 단품 사진
- 2차원 단일 층 패턴 + 페라이트 시트
- 3차원 배선을 위한 어떤 방법
- 안테나 패턴 layer
- 단자 layer
- 단자 layer와 안테나 layer 연결을 위한 납땜
- 단자 layer와 연결한 안테나 패턴
- 페라이트 시트를 붙였을 때
- 안테나 패턴 layer
- 2차원 단일 층 패턴 + 페라이트 시트
- 핸드폰 배터리에서
- 2008년 LG-SH170 슬라이드 피처폰에서
- 모바일 T-머니를 위한 NFC 안테나. 13.56MHz 용
- 모바일 T-머니를 위한 NFC 안테나. 13.56MHz 용
- 삼성전자 SPH-W4700용 배터리에서
- 이 핸드폰에는 NFC 기능이 없다. 그러므로 이 배터리는 나중에 출시된 핸드폰용인듯.
- NFC 안테나
- 이 핸드폰에는 NFC 기능이 없다. 그러므로 이 배터리는 나중에 출시된 핸드폰용인듯.
- 2012 삼성 갤럭시 S3 SHV-E210K 핸드폰에서
- 외형
- 라벨 테이프 벗기면, NFC 안테나가 보인다.
- NFC 안테나와 접촉 단자 연결
- NFC 안테나 측정 - 이렇게 측정하는 것은 거의 의미가 없다.
- 측정 사진
- 네트워크분석기 측정 데이터
- 측정 사진
- 외형
- 팬택 & 큐리텔 PT-L2200 피처폰에서
- 구조
- 페라이트 시트를 뜯은 후 측정
- LCR-4284A 계측기로 ~1MHz까지 측정한 데이터
- 네트워크분석기로 통과특성을 측정한 데이터
- 구조
- 2007년 팬택&큐리텔 스위블 피처폰 canU701D
- 모바일 뱅킹 서비스, LGT에서는 BankON이라는 상품 이용해야 함. 금융칩을 끼워야 한다.
- 외관
- 배터리 케이스를 접지시키면
- 안테나 코일을 PCB에서 분리하여 측정하면
- 외부와 연결되는 접점에서 측정하면
- 외부 연결선을 길게하면
- 외부 연결선을 비 대칭으로 더 길게(L을 증가시키면)
- 결론
- L-C 루프 내에서 연결된 C와 L에 의해 공진주파수가 결정된다.
- 신호를 판독하는 IC는 핸드폰 본체에 있고 13.56MHz 아날로그 신호로 연결된다.
- 공진주파수는 코일의 parasitic C 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세트 환경을 완벽하게 갖춘 후 측정한다. (접지 문제)
- 코일 밑에 붙이는 페라이트시트의 투자율은 L값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일정한 L이 나오도록 관리해야 한다.
- 13.56MHz에 공진만 일으키면 되므로, 코일 L값 조정대신에 PCB에서 적절한 C값을 조정해서 맞출 수 있다.
- 2008년 LG-SH170 슬라이드 피처폰에서
- 배터리 금속판에 붙였을 때, 배터리 금속판이 없을 때, 페라이트 시트 없을 때 - LCR 미터로 첫번째 측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