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C
NFC
- 전자부품
- 상식
- Wikipedia
- RF ID https://en.wikipedia.org/wiki/Radio-frequency_identification
- Contactless smart card https://en.wikipedia.org/wiki/Contactless_smart_card
- Proximity card https://en.wikipedia.org/wiki/Proximity_card
- Near Field Communication https://en.wikipedia.org/wiki/Near-field_communication
- 관련 홈 페이지
- 13.56MHz
- 11/07/08 무라타 NFC 관련 프레젠테이션자료 - 11p
- 안테나 설계
- 2019/02 - 20p
- 2019/02 - 20p
- NFC + MST + WPC
- 어떤 회사 제품은 3층으로 구성
- FPCB - 안테나
- shielding sheet
- graphite sheet(배터리 등 본체 내부로부터 열방출)
- 3가지 기능
- NFC 13.56MHz+-0.35MHz 1.0~2.0오옴
- MST 1.6~3.3kHz, 26.2~28.2uH, 1.0~2.25오옴(점차 낮은 값을 요구한다.),
- WPC 8.65~9.45uF, 0.18~0.58오옴
- 삼성페이용 마그네틱 보안 전송;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 WPC; Wireless Power Consortium
- 어떤 회사 제품은 3층으로 구성
- 삼성 페이와 애플 페이에서 하드웨어 차이
- 삼성 페이는 NFC와 MST 두 가지 지원한다. 2015년 8월부터 지원했다.
- 애플 페이는 NFC만 지원한다. 2014년 10월부터 지원했다.
- 2022년 기준으로, 한국에서 결재 단말기에서 NFC 보급률은 10% 미만이다.
- Wikipedia
- 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 기술
- 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Magnetic_secure_transmission
- 논문 - 도청가능함을 실험한 - 15p
- LoopPay 회사 특허 - 10p
- 코일의 L값과 R값이 전류 파형 모양을 결정한다. ~80uH/ohm
- 카드리더기는 차폐가 잘 되어 있기 때문에 송신기에서는 되도록 큰 전류를 사용해야 하므로 코일 저항이 충분히 낮아야 한다.
- 또한 전류 펄스를 상승시간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L값이 충분히 커야 한다.
- 별도의 공진주파수가 없기 때문에 LC 매칭 회로가 없다.
- 기술
- WMC; Wireless Magnetic Communication
- 기술
- LG 페이에서 적용. 이후 LG 페이는 NFC도 도입했다.
- Dynamics 회사에 의해 개발되었다.
- 자기장 방출기술이므로 삼성페이가 채택한 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기술과 거의 유사하다.
- 발견
- 2019.01 출시 LG Q9, LM-Q925S 스마트폰
- 기술
- NFC
- 어디에도 붙어 있지 않는
- 2016.01 출시 삼성 SM-A710S 갤럭시 A7 LTE 스마트폰
- 무선충전 기능 없다.
- 안테나 위치
- 페라이트 시트가 붙어 있는 안테나 분석
-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칩은 Zinitix 지니틱스 회사의 ZF110
높은 전류를 갖는 펄스 파형을 방출해야 하므로 Au 볼 와이어본딩을 여러 번했다.
- 2016.01 출시 삼성 SM-A710S 갤럭시 A7 LTE 스마트폰
- 뒤 뚜껑 등에 붙어 있는
- 배터리 금속판에 사용되는 NFC 안테나
- 배터리 금속판에 붙였을 때, 배터리 금속판이 없을 때, 페라이트 시트 없을 때 - LCR 미터로 첫번째 측정
- 임피던스 측정 데이터
- 임피던스 측정 데이터
- 단품 사진
- 핸드폰 배터리에서
- 2006.02 출시, 팬택, SKY 주크박스 IM-U110 피처폰 , NFC 안테나 및 페라이트 시트
- 2007.10 출시 LG-SH170 슬라이드 피처폰
- 모바일 T-머니를 위한 NFC 안테나. 13.56MHz 용
- 모바일 T-머니를 위한 NFC 안테나. 13.56MHz 용
- 삼성전자 SPH-W4700용 배터리에서
- 이 핸드폰에는 NFC 기능이 없다. 그러므로 이 배터리는 나중에 출시된 핸드폰용인듯.
- NFC 안테나
- 이 핸드폰에는 NFC 기능이 없다. 그러므로 이 배터리는 나중에 출시된 핸드폰용인듯.
- 2012.06 출시 삼성 SHV-E210K 갤럭시 S3 스마트폰
- 외형
- 라벨 테이프 벗기면, NFC 안테나가 보인다.
- NFC 안테나와 접촉 단자 연결
- NFC 안테나 측정 - 이렇게 측정하는 것은 거의 의미가 없다.
- 측정 사진
- 네트워크분석기 측정 데이터
- 측정 사진
- 외형
- 팬택 & 큐리텔 PT-L2200 피처폰에서
- 구조
페라이트 시트를 절반 가량 뜯었을 때
- 페라이트 시트를 뜯은 후 측정
- Agilent 4284A 20Hz~1MHz Precision LCR 미터 계측기로 ~1MHz까지 측정한 데이터
- 네트워크분석기로 통과특성을 측정한 데이터
공진은 약 75MHz, 페라이트 시트를 제거하면 150MHz로 높아진다.
- 구조
- 2007년 팬택&큐리텔 스위블 피처폰 canU701D
- 모바일 뱅킹 서비스, LGT에서는 BankON이라는 상품 이용해야 함. 금융칩을 끼워야 한다.
- 외관
- 배터리 케이스를 접지시키면
- 안테나 코일을 PCB에서 분리하여 측정하면
- 외부와 연결되는 접점에서 측정하면
- 외부 연결선을 길게하면
- 외부 연결선을 비 대칭으로 더 길게(L을 증가시키면)
- 결론
- L-C 루프 내에서 연결된 C와 L에 의해 공진주파수가 결정된다.
- 신호를 판독하는 IC는 핸드폰 본체에 있고 13.56MHz 아날로그 신호로 연결된다.
- 공진주파수는 코일의 parasitic C 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세트 환경을 완벽하게 갖춘 후 측정한다. (접지 문제)
- 코일 밑에 붙이는 페라이트 시트의 투자율은 L값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일정한 L이 나오도록 관리해야 한다.
- 13.56MHz에 공진만 일으키면 되므로, 코일 L값 조정대신에 PCB에서 적절한 C값을 조정해서 맞출 수 있다.
- 배터리 금속판에 붙였을 때, 배터리 금속판이 없을 때, 페라이트 시트 없을 때 - LCR 미터로 첫번째 측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