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mi Note 4X"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li>2G GSM 850/900/1800/1900, CDMA800 & TD-SCDMA | <li>2G GSM 850/900/1800/1900, CDMA800 & TD-SCDMA | ||
<li>3G HSDPA 850/900/1900/2100 | <li>3G HSDPA 850/900/1900/2100 | ||
− | <li>4G 1, 3, 5, 7, 8, 38, 39, 40, 41 - Mediatek model | + | <li>4G 1, 3, 5, 7, 8, 38, 39, 40, 41 - Mediatek model, 아래 밴드에서 폰 기준으로 Tx, Rx |
<ol> | <ol> | ||
− | <li>B1: 2100 | + | <li>B1: 2100, 1920~1980(1950), 2110~2170(2140) |
− | <li>B3: 1800 | + | <li>B2: 1900, 1850~1910(1880), 1930~1990(1960) - 이 밴드 듀플렉서가 있다. |
− | <li>B5: 850 | + | <li>B3: 1800, 1710~1785(1747.5), 1805~1880(1842.5) |
− | <li>B7: 2600 | + | <li>B5: 850, 824~849(836.5), 869~894(881.5) |
− | <li>B8: 900 | + | <li>B7: 2600, 2500~2570(2535), 2620~2690(2655) |
− | <li>B38: 2600 | + | <li>B8: 900, 880~915(897.5), 925~960(942.5) |
− | <li>B39: 1900 | + | <li>B38: 2600, TDD 2570~2620(2595) TY SAW 필터 발견 |
− | <li>B40: 2300 | + | <li>B39: 1900, TDD 1880~1920(1900) |
− | <li>B41: 2500 | + | <li>B40: 2300, TDD 2300~2400(2350) Triquint BAW 필터 발견 |
+ | <li>B41: 2500, TDD 2496~2690(2593) | ||
</ol> | </ol> | ||
</ol> | </ol> | ||
38번째 줄: | 39번째 줄: | ||
image:redmi_note4x_002.jpg | image:redmi_note4x_002.jpg | ||
</gallery> | </gallery> | ||
− | <li>finger ring | + | <li>finger ring stand용 [[조이개]] |
<gallery> | <gallery> | ||
image:redmi_note4x_003.jpg | image:redmi_note4x_003.jpg | ||
74번째 줄: | 75번째 줄: | ||
image:redmi_note4x_043_002.jpg | 그 중 중간 단자만 사용하는 회로(스위치?) 1GHz 최적매칭 및 2GHz 최적 매칭을 위한 선택??? | image:redmi_note4x_043_002.jpg | 그 중 중간 단자만 사용하는 회로(스위치?) 1GHz 최적매칭 및 2GHz 최적 매칭을 위한 선택??? | ||
image:redmi_note4x_043_001.jpg | image:redmi_note4x_043_001.jpg | ||
− | image:redmi_note4x_044.jpg | 측면 전극이 없는 부품에 많은 솔더를 | + | image:redmi_note4x_044.jpg | 측면 전극이 없는 부품에 많은 솔더를 바른 [[납땜]] |
</gallery> | </gallery> | ||
− | <li>LDS(Laser Direct Structuring) | + | <li>LDS(Laser Direct Structuring)에 사용된 플라스틱 [[도금]] 기술 |
<gallery> | <gallery> | ||
image:redmi_note4x_018.jpg | laser induced selective activation(LISA) electroless plating 을 위해서 앞 뒤로 전기 연결하기 위한 원뿔 사출. | image:redmi_note4x_018.jpg | laser induced selective activation(LISA) electroless plating 을 위해서 앞 뒤로 전기 연결하기 위한 원뿔 사출. | ||
118번째 줄: | 119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 | <li>안테나 접지면 기준이 되는 후면 메탈 | + | <li>안테나 접지면 기준이 되는 후면 메탈 커버 |
<gallery> | <gallery> | ||
image:redmi_note4x_023.jpg | anodized aluminum 금속 케이스를 접지면으로 만들기 위해 산화피막을 제거하고, PCB 접지와 연결하기 위한 스프링 핀 연결 | image:redmi_note4x_023.jpg | anodized aluminum 금속 케이스를 접지면으로 만들기 위해 산화피막을 제거하고, PCB 접지와 연결하기 위한 스프링 핀 연결 | ||
127번째 줄: | 128번째 줄: | ||
image:redmi_note4x_159.jpg | 메탈케이스를 완전히 분해한 후 살펴보니 | image:redmi_note4x_159.jpg | 메탈케이스를 완전히 분해한 후 살펴보니 | ||
</gallery> | </gallery> | ||
− | <li> | + | <li>[[마이크로 스피커]] |
− | < | + | <ol> |
− | + | <li>위치하는 곳(휴대폰 밑이다.) 및 외형 | |
− | |||
− | |||
− | <li> | ||
− | |||
− |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image:redmi_note4x_032.jpg | 스피커 박스. 메탈케이스와 연결을 위한 포고핀 3개, 왼쪽 스피커 구멍, 오른쪽은 메인 마이크를 위한 공기 통로 | image:redmi_note4x_032.jpg | 스피커 박스. 메탈케이스와 연결을 위한 포고핀 3개, 왼쪽 스피커 구멍, 오른쪽은 메인 마이크를 위한 공기 통로 | ||
image:redmi_note4x_033.jpg | 메인 마이크 및 90도 꺽인 공기 통로 | image:redmi_note4x_033.jpg | 메인 마이크 및 90도 꺽인 공기 통로 | ||
image:redmi_note4x_034.jpg | 스피커 박스 | image:redmi_note4x_034.jpg | 스피커 박스 | ||
+ | </gallery> | ||
+ | <li>스피커 박스를 뜯으면 | ||
+ | <gallery> | ||
image:redmi_note4x_035.jpg | 스피커 박스속 백볼륨에 있는, 금속판에 붙어 있는 스폰지 | image:redmi_note4x_035.jpg | 스피커 박스속 백볼륨에 있는, 금속판에 붙어 있는 스폰지 | ||
image:redmi_note4x_041.jpg | 스피커 진동판 및 마주보고 있는 금속판 | image:redmi_note4x_041.jpg | 스피커 진동판 및 마주보고 있는 금속판 | ||
image:redmi_note4x_036.jpg | image:redmi_note4x_036.jpg | ||
+ | </gallery> | ||
+ | <li>백볼륨 속의 스폰지 | ||
+ | <gallery> | ||
image:redmi_note4x_037.jpg | image:redmi_note4x_037.jpg | ||
image:redmi_note4x_038.jpg | image:redmi_note4x_038.jpg | ||
image:redmi_note4x_039.jpg | image:redmi_note4x_039.jpg | ||
image:redmi_note4x_040.jpg | image:redmi_note4x_040.jpg | ||
+ | image:foam_sponge01_001.jpg | 참조: 욕실용이므로 Polyester [[수지]] 스폰지로 추정함. | ||
</gallery> | </gallery> | ||
+ | </ol> | ||
<li>메인 마이크 | <li>메인 마이크 | ||
<ol> | <ol> | ||
− | <li>메인 마이크와 맨 아래 버튼 스위치용 LED 연결 | + | <li>메인 마이크와 맨 아래 버튼 스위치용 백라이트 LED 연결 |
<gallery> | <gallery> | ||
image:redmi_note4x_045.jpg | image:redmi_note4x_045.jpg | ||
image:redmi_note4x_046.jpg | image:redmi_note4x_046.jpg | ||
</gallery> | </gallery> | ||
− | <li>메인 | + | <li>메인 [[MEMS마이크]], XN7A7 7722 3014 |
<gallery>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047.jpg | + | image:redmi_note4x_047.jpg | bottom 타입이다. |
image:redmi_note4x_048.jpg | 납땜으로 금속 뚜껑을 붙임 | image:redmi_note4x_048.jpg | 납땜으로 금속 뚜껑을 붙임 | ||
image:redmi_note4x_049.jpg | E2140C 11581 | image:redmi_note4x_049.jpg | E2140C 11581 | ||
166번째 줄: | 167번째 줄: | ||
image:redmi_note4x_052.jpg | 실리콘 MEMS 마이크 뒷면 | image:redmi_note4x_052.jpg | 실리콘 MEMS 마이크 뒷면 | ||
</gallery> | </gallery> | ||
− | <li> | + | <li>C embedded PCB 분석, [[PCB C]] |
<gallery> | <gallery> | ||
image:redmi_note4x_053.jpg | PCB top(1층) 동박 | image:redmi_note4x_053.jpg | PCB top(1층) 동박 | ||
176번째 줄: | 177번째 줄: | ||
image:redmi_note4x_059.jpg | 3층 동박. 두 개의 C가 형성되어 있다. | image:redmi_note4x_059.jpg | 3층 동박. 두 개의 C가 형성되어 있다. | ||
image:redmi_note4x_060.jpg | 납땜을 위한 bottom면(4층) 동박 | image:redmi_note4x_060.jpg | 납땜을 위한 bottom면(4층) 동박 | ||
+ | </gallery> | ||
+ | </ol> | ||
+ | <li>귀쪽에 위치한, 소음 제거용 [[MEMS마이크]] | ||
+ | <ol> | ||
+ | <li>외형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076.jpg | ||
+ | image:redmi_note4x_077.jpg | MN7A7 7719 3021 | ||
+ | </gallery> | ||
+ | <li>패키지 분해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078.jpg | PCB 3개를 붙여서 만들었다. | ||
+ | image:redmi_note4x_078_001.jpg | reverse top 형태로 만드는 이유 | ||
+ | image:redmi_note4x_079.jpg | ||
+ | </gallery> | ||
+ | <li>프레임 구조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080.jpg | ||
+ | image:redmi_note4x_081.jpg | ||
+ | </gallery> | ||
+ | <li>[[PCB C]]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082.jpg | ||
+ | image:redmi_note4x_083.jpg | C embedded PCB를 사용했다. | ||
+ | </gallery> | ||
+ | <li>MEMS 진동판 - 메인 마이크에 사용된 MEMS 진동판과 같다.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084.jpg | E2140C 03322 | ||
+ | image:redmi_note4x_085.jpg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194번째 줄: | 224번째 줄: | ||
<li>주변광의 화이트밸런스를 판단하여 플래시 색상을 조정한다.(맞나?) | <li>주변광의 화이트밸런스를 판단하여 플래시 색상을 조정한다.(맞나?) | ||
</ol> | </ol> | ||
− | <li>Dual-tone LED | + | <li>Dual-tone [[LED-SMD]] |
<gallery>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71.jpg | 드라이브 IC 두 출력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 + | image:redmi_note4x_171.jpg |
+ | image:redmi_note4x_171_001.jpg | 넓은 동박이 드라이브 IC 두 출력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 ||
image:redmi_note4x_172.jpg | 흰색white과 호박색amber | image:redmi_note4x_172.jpg | 흰색white과 호박색amber | ||
</gallery> | </gallery> | ||
213번째 줄: | 244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 | <li>후면 메인 카메라 | + | <li>후면 메인 카메라 - [[핸드폰용 이미지센서]] |
<ol> | <ol> | ||
<li>위치 | <li>위치 | ||
260번째 줄: | 291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 | <li>적외선 | + | <li>적외선 [[근접]]센서(IR proximity sensors) 및 조도센서(Ambient Light Sensor) |
<ol> | <ol> | ||
<li>사진 | <li>사진 | ||
280번째 줄: | 311번째 줄: | ||
image:redmi_note4x_072.jpg | 각도에 따라 검출하는 기능은 아니다. 큰 면적은 에너지가 작은 반사빛을 검출하기 위해 면적이 크고, 작은 영역은 빛을 직접 받는 조도센서인듯 | image:redmi_note4x_072.jpg | 각도에 따라 검출하는 기능은 아니다. 큰 면적은 에너지가 작은 반사빛을 검출하기 위해 면적이 크고, 작은 영역은 빛을 직접 받는 조도센서인듯 | ||
</gallery> | </gallery> | ||
− | <li>인터포저 | + | <li>인터포저(interposer) |
<gallery> | <gallery> | ||
image:redmi_note4x_073.jpg | 센서 바닥의 8군데 패드와 1:1 매칭되는 인터포저 패드 | image:redmi_note4x_073.jpg | 센서 바닥의 8군데 패드와 1:1 매칭되는 인터포저 패드 | ||
− | image:redmi_note4x_074.jpg | 센서 설치를 높이기 위한 | + | image:redmi_note4x_074.jpg | 센서 설치를 높이기 위한 단순하게 두꺼운 PCB 인터포저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 | + | <li>메인 PCB에서 [[방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메인 PCB에서 방열 | ||
<gallery> | <gallery> | ||
image:redmi_note4x_086.jpg | 깡통이 튀어나온 부분(AP와 RAM이 PoP 되어 있어 두껍다.)은 anodized aluminum mid-frame은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 image:redmi_note4x_086.jpg | 깡통이 튀어나온 부분(AP와 RAM이 PoP 되어 있어 두껍다.)은 anodized aluminum mid-frame은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 ||
315번째 줄: | 324번째 줄: | ||
image:redmi_note4x_089.jpg | 전력변환 수동부품 영역에는 실리콘 접착제(방열? 진동억제?) 도포 | image:redmi_note4x_089.jpg | 전력변환 수동부품 영역에는 실리콘 접착제(방열? 진동억제?) 도포 | ||
image:redmi_note4x_090.jpg | image:redmi_note4x_090.jpg | ||
− | image:redmi_note4x_091.jpg | BGA bare die에서 붙인 마킹 | + | image:redmi_note4x_091.jpg | BGA bare die에서 붙인 마킹 [[필름]]이 떨어졌다. |
</gallery> | </gallery> | ||
− | <li>Skyworks 77645-11, multimode multiband(MMMB) PAM | + | <li>하단 안테나에서 온 동축케이블과 연결된, 안테나 [[RF스위치IC]]. TDD용 PAM과 W-CDMA PAM을 따로 스위칭하기 위해서(?) |
+ | <ol> | ||
+ | <li>외관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31.jpg | 회사 마크가 RFMD | ||
+ | image:redmi_note4x_094_006.jpg | ||
+ | </gallery> | ||
+ | <li>다이 분석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31_001.jpg | ||
+ | image:redmi_note4x_131_002.jpg | M1D1643A01 RFMD 2013 | ||
+ | image:redmi_note4x_131_003.jpg | ||
+ | image:redmi_note4x_131_004.jpg | ||
+ | </gallery> | ||
+ | </ol> | ||
+ | <li>Skyworks 77645-11, multimode multiband(MMMB) [[PAM]], TDD용 전용. 7개 듀플렉서를 사용하는 W-CDMA용 PAM은 따로 존재한다. | ||
<ol> | <ol> | ||
<li>부근 부품 | <li>부근 부품 | ||
325번째 줄: | 349번째 줄: | ||
image:redmi_note4x_094.jpg | image:redmi_note4x_094.jpg | ||
</gallery> | </gallery> | ||
− | <li>Triquint SMR- | + | <li>Triquint [[SMR]]-[BAW]] 필터, 80C 마킹, LTE Band 40(2350MHz, TDD)용이다. TDD이므로 Rx/Tx 신호가 시간차이를 두고 지나간다. |
<gallery>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094.jpg | 금색 뚜껑 제품 1.5x1.3mm 추정 | ||
image:redmi_note4x_094_001.jpg | image:redmi_note4x_094_001.jpg | ||
image:redmi_note4x_094_004.png | image:redmi_note4x_094_004.png | ||
image:redmi_note4x_094_005.png | image:redmi_note4x_094_005.png | ||
</gallery> | </gallery> | ||
− | <li>Taiyo-Yuden(다이요유덴;태양유전) | + | <li>Taiyo-Yuden(다이요유덴;태양유전) [[SAW-핸드폰RF]] 필터, LAFy 마킹, LTE Band 38(2595MHz, TDD)용이다. |
<ol> | <ol> | ||
+ | <li>외관, 1.4x1.1mm 로 추정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094.jpg | TDD용이므로 Tx 큰 전력도 통과하도록 내전력 특성이 좋아야 한다. | ||
+ | </gallery> | ||
<li>특성 그래프 | <li>특성 그래프 | ||
<gallery> | <gallery> | ||
340번째 줄: | 369번째 줄: | ||
<li>내부 | <li>내부 | ||
<gallery>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094_009.jpg | + | image:redmi_note4x_094_009.jpg | 세라믹 기판이 더 크다. (반면에 1814 듀플렉서는 기판이 더 작다.) |
image:redmi_note4x_094_010.jpg | image:redmi_note4x_094_010.jpg | ||
image:redmi_note4x_094_011.jpg | image:redmi_note4x_094_011.jpg | ||
346번째 줄: | 375번째 줄: | ||
image:redmi_note4x_094_013.jpg | image:redmi_note4x_094_013.jpg | ||
image:redmi_note4x_094_014.jpg | image:redmi_note4x_094_014.jpg | ||
− | image:redmi_note4x_094_015.jpg | + | image:redmi_note4x_094_015.jpg | W837 5-16 |
image:redmi_note4x_094_016.jpg | image:redmi_note4x_094_016.jpg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ol> | </ol> | ||
− | + | <li>Skyworks 77912-51, W-CDMA용 [[PAM]] (LTE B7,38,41,40,AXGP 등 2300~2690MHz)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Skyworks 77912-51 PAM(LTE B7,38,41,40,AXGP 등 2300~2690MHz) | ||
<gallery> | <gallery> | ||
image:redmi_note4x_132.jpg | image:redmi_note4x_132.jpg | ||
381번째 줄: | 395번째 줄: | ||
image:redmi_note4x_098.jpg | image:redmi_note4x_098.jpg | ||
</gallery> | </gallery> | ||
− | <li>83C 227 Triquint WiFi/ | + | <li>[[세라믹필터]] 기술로 만든 triplexer 측정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06.jpg | ||
+ | image:redmi_note4x_106_001.png | 1.5GHz GPS 포트 | ||
+ | image:redmi_note4x_106_002.png | 2.4GHz WiFi/BT 포트 | ||
+ | image:redmi_note4x_106_003.png | 5GHz WiFi 포트 | ||
+ | </gallery> | ||
+ | <li>무라타 GPS용 쏘필터는 분석하지 않음. | ||
+ | <li>83C 227 마킹, Triquint WiFi/BT용 [[SMR]]-[BAW]] 필터. 1.5x1.3mm 실측크기 | ||
<ol> | <ol> | ||
<li>주파수 특성 | <li>주파수 특성 | ||
404번째 줄: | 426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 | <li> | + | </ol> |
+ | <li>TCXO | ||
<gallery> | <gallery> | ||
− | image: | + | image:redmi_note4x_121.jpg | TCXO 전체를 shield can으로 감쌌다. |
− | image: | + | image:redmi_note4x_122.jpg | TCXO 전체를 shield can으로 감쌌다. |
− | image: | + | image:redmi_note4x_123.jpg |
− | image: | + | image:redmi_note4x_124.jpg |
+ | </gallery> | ||
+ | <li>메인 보드 뒷면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36.jpg | ||
+ | </gallery> | ||
+ | <li>AP + RAM PoP(Package On Package)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38.jpg | ||
+ | image:redmi_note4x_139.jpg | ||
+ | image:redmi_note4x_140.jpg | ||
+ | image:redmi_note4x_141.jpg | ||
+ | image:redmi_note4x_142.jpg | Mediatek MT6797W AP + Micron RAM | ||
+ | image:redmi_note4x_143.jpg | ||
+ | image:redmi_note4x_144.jpg | ||
+ | image:redmi_note4x_145.jpg | ||
+ | image:redmi_note4x_146.jpg | 레이저 드릴로 EMC 제거함. | ||
</gallery> | </gallery> | ||
− | < | + | <li>전원용 노이즈필터, 4개 직렬로 연결 |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09.jpg | | + | image:redmi_note4x_109.jpg | 오른쪽 MLCC는 18uF(1kHz) |
+ | image:redmi_note4x_109_001.png | 4개 직렬 특성 | ||
</gallery> | </gallery> | ||
<li>SanDisk SDINADF4-64G, iNAND 7232, 64GB embedded flash drive, 14nm | <li>SanDisk SDINADF4-64G, iNAND 7232, 64GB embedded flash drive, 14nm | ||
428번째 줄: | 468번째 줄: | ||
image:redmi_note4x_119.jpg | SANDISK/TOSHIBA FFK8 128G, 16GB용이다. | image:redmi_note4x_119.jpg | SANDISK/TOSHIBA FFK8 128G, 16GB용이다. | ||
image:redmi_note4x_120.jpg | SANDISK/TOSHIBA FFK8 128G, 15nm NAND | image:redmi_note4x_120.jpg | SANDISK/TOSHIBA FFK8 128G, 15nm NAND | ||
− | |||
− | |||
− | |||
− |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li>RF transceiver IC 구역 | <li>RF transceiver IC 구역 | ||
496번째 줄: | 529번째 줄: | ||
image:redmi_note4x_129_001.jpg | 노랑점선 내부가 Tx,Rx 매칭(안테나 포트 매칭은 뒷면에 있다.) | image:redmi_note4x_129_001.jpg | 노랑점선 내부가 Tx,Rx 매칭(안테나 포트 매칭은 뒷면에 있다.) | ||
</gallery> | </gallery> | ||
+ | <li>Taiyo Yuden 5개 | ||
+ | <ol> | ||
+ | <li>주파수를 알아내기 위한 간이 측정 방법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88.jpg | ||
+ | </gallery> | ||
+ | <li>측면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88_001.jpg | 두께가 다르다. | ||
+ | image:redmi_note4x_188_002.jpg | 금속이 세라믹보다 두꺼운 이유는 세라믹을 자른 후 도금을 했기 때문에다. | ||
+ | image:redmi_note4x_188_003.jpg | 잘린 세라믹 측면에 도금을 위해 연결된 전극이 보이지 않는다. | ||
+ | </gallery> | ||
+ | <li>701, LTE Band7 | ||
+ | <ol> | ||
+ | <li>주파수 파형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89.png | 2535MHz | ||
+ | </gallery> | ||
+ | <li>다이 내부 | ||
+ | <ol> | ||
+ | </ol> | ||
+ | </ol> | ||
+ | <li>7B1, LTE Band2, Tx:1880MHz Rx:1960MHz, 두꺼운 제품인다. | ||
+ | <ol> | ||
+ | <li>주파수 파형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90.png | 1877MHz | ||
+ | </gallery> | ||
+ | <li>땜납으로 4변에 벽을 세웠다.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90_001.jpg | ||
+ | </gallery> | ||
+ | <li>사파이어+LT(?) 접합 웨이퍼를 사용했다.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90_002.jpg | 초경에 긁히지 않는 것으로 보아 사파이어 맞다. | ||
+ | image:redmi_note4x_190_003.jpg | ||
+ | image:redmi_note4x_190_004.jpg | LT두께 20um+사파이어두께 250um, 레이저 펀칭7번, 간격 약 27um | ||
+ | </gallery> | ||
+ | <li>다이를 뜯어냄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90_005.jpg | 밀어보니, 레이저 다이싱에 문제가 있어, 사파이어가 깨진다. | ||
+ | image:redmi_note4x_190_006.jpg | ||
+ | </gallery> | ||
+ | <li>Rx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90_007.jpg | X077-22 | ||
+ | image:redmi_note4x_190_008.jpg | 주기:1.98um x 1960MHz = 3880m/sec | ||
+ | </gallery> | ||
+ | <li>Tx:1880MHz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90_009.jpg | X019-21 | ||
+ | image:redmi_note4x_190_010.jpg | 주기:2.10um x 1880MHz = 3950m/sec | ||
+ | image:redmi_note4x_190_011.jpg | ||
+ | image:redmi_note4x_190_012.jpg | ||
+ | </gallery> | ||
+ | </ol> | ||
+ | <li>7A4, LTE Band1 | ||
+ | <ol> | ||
+ | <li>주파수 파형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91.png | 1950MHz | ||
+ | </gallery> | ||
+ | <li>전체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91_001.jpg | ||
+ | image:redmi_note4x_191_002.jpg | ||
+ | </gallery> | ||
+ | <li>Rx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91_003.jpg | Rx 다이, V8151-31 | ||
+ | image:redmi_note4x_191_004.jpg | Rx 어느 패턴에서 주기: 1.865um 2140MHz 쏘속도 3990m/sec | ||
+ | </gallery> | ||
+ | <li>Tx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91_005.jpg | Tx 다이 | ||
+ | image:redmi_note4x_191_006.jpg | Tx 어느 패턴에서 주기: 1.949um 1950MHz 쏘속도 3800m/sec | ||
+ | image:redmi_note4x_191_007.jpg | 우측 상단, 90도 돌아간 C전용 패턴에서 주기: 1.695um | ||
+ | image:redmi_note4x_191_008.jpg | 좌측 하단, 90도 돌아간 C전용 직렬 패턴에서 주기:1.65um. 굳이 직렬로 C를 만들 이유는 내전압 때문이다. (칩 위아래로만 초전이 발생되므로 길게 연결된 패턴 때문에) | ||
+ | </gallery> | ||
+ | </ol> | ||
+ | <li>7G6, LTE Band8, 두께가 얇은 제품이다. | ||
+ | <ol> | ||
+ | <li>주파수 파형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92.png | 897.5MHz | ||
+ | </gallery> | ||
+ | <li>다이 내부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92_001.jpg | 트위저로 금속 뚜껑을 누르면서 작업했는데 다이가 깨져 있다. 리드와 다이 뒷면이 붙어 있지 않다. | ||
+ | image:redmi_note4x_192_002.jpg | 풀칠 | ||
+ | image:redmi_note4x_192_003.jpg | 풀칠 수 | ||
+ | image:redmi_note4x_192_004.jpg | 다이 분리 | ||
+ | image:redmi_note4x_192_005.jpg | 다이 | ||
+ | image:redmi_note4x_192_006.jpg | Rx 다이, 주기: 4.12um 942.5MHz 3880m/sec | ||
+ | image:redmi_note4x_192_007.jpg | Tx 다이, 주기: 4.28um 897.5MHz 3840m/sec | ||
+ | </gallery> | ||
+ | </ol> | ||
+ | <li>7E4, LTE Band5 | ||
+ | <ol> | ||
+ | <li>주파수 파형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93.png | 836.5MHz | ||
+ | </gallery> | ||
+ | <li>다이 내부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93_001.jpg | 다이 뒷면 밝기가 달리 보인다. | ||
+ | image:redmi_note4x_193_002.jpg | 다이를 작게 할 수 없어, 벽이 얇아졌다. | ||
+ | image:redmi_note4x_193_003.jpg | ||
+ | image:redmi_note4x_193_004.jpg | 기판 전극표면이 비교적 평탄하다. | ||
+ | image:redmi_note4x_193_005.jpg | 본딩이 쉽게 떨어진다.(그렇게 플립본딩한 듯) | ||
+ | image:redmi_note4x_193_006.jpg | Rx 881.5MHz, 주기: 4.46um (쏘속도 3930m/sec) | ||
+ | image:redmi_note4x_193_007.jpg | Tx 836.5MHz, 어느 전극에서, 윗쪽 주기 4.60um, 아래쪽 주기 4.58um (쏘속도 3850m/sec) | ||
+ | </gallery> | ||
+ | </ol> | ||
+ | </ol> | ||
<li>Murata CG/3J, 1.55x1.15mm 크기 | <li>Murata CG/3J, 1.55x1.15mm 크기 | ||
<ol> | <ol> | ||
513번째 줄: | 661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 | <li>Qorvo TQQ1003 | + | <li>Qorvo , TQQ1003 1747.5/1842.5MHz LTE Band3 WLP [[SMR]]-[BAW]] 듀플렉서 |
<ol> | <ol> | ||
<li>외관 | <li>외관 | ||
544번째 줄: | 692번째 줄: | ||
image:redmi_note4x_128_010.jpg | 인접한 다이와 연결된 패턴이 있다. | image:redmi_note4x_128_010.jpg | 인접한 다이와 연결된 패턴이 있다. | ||
image:redmi_note4x_128_011.jpg | 용도가 다른 패드. 사각형 바늘 | image:redmi_note4x_128_011.jpg | 용도가 다른 패드. 사각형 바늘 | ||
+ | </gallery> | ||
+ | <li>발연질산에 넣어서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28_012.jpg | 왼쪽 Rx 다이, 오른쪽 Tx 다이(주파수가 낮다.) | ||
+ | image:redmi_note4x_128_013.jpg | Rx 다이 (11개 공진기에 색상은 5가지) | ||
+ | image:redmi_note4x_128_014.jpg | Tx 다이 | ||
+ | image:redmi_note4x_128_015.jpg | 에폭시 PR이 잘 붙은 물질(산화물, 금속)이 있다. 접착력이 낮은 표면에서는 홈을 파서 전단 접착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추측된다. | ||
+ | image:redmi_note4x_128_016.jpg | Si-유전체-금속-압전체-금속-유전체 구조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ol> | </ol> | ||
</ol> | </ol> | ||
+ | <li>위 모서리에 [[리모트콘트롤]]용 [[IR통신]]용 LED (앞에 검정 플라스틱 창이 있다.)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064.jpg | 수분이 침투한 듯 | ||
+ | </gallery> | ||
+ | <li>전면 상단에 3색 [[LED-모듈]]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075.jpg | 3색 LED | ||
+ | </gallery> | ||
+ | <li>[[진동모터]]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028.jpg | 진동모터 고정방법 및 (매우싼) 나사 | ||
+ | image:redmi_note4x_029.jpg | 소형 진동모터. 너무 소형이어서 진동량이 매우 작아 문제이다. | ||
+ | </gallery> | ||
<li>플라스틱 보호 커버(뭔가 누르기 위해 존재?) | <li>플라스틱 보호 커버(뭔가 누르기 위해 존재?) | ||
<gallery> | <gallery> | ||
553번째 줄: | 722번째 줄: | ||
image:redmi_note4x_135.jpg | image:redmi_note4x_135.jpg | ||
</gallery> | </gallery> | ||
− | <li> | + | <li>[[카드접점]] |
− |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image:redmi_note4x_137.jpg | 매우 얇은 금도금 | image:redmi_note4x_137.jpg | 매우 얇은 금도금 | ||
</gallery> | </gallery> | ||
− | + | <li>리시버 [[스피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리시버 | ||
<gallery> | <gallery> | ||
image:redmi_note4x_149.jpg | image:redmi_note4x_149.jpg | ||
586번째 줄: | 739번째 줄: | ||
image:redmi_note4x_153.jpg | (왼쪽) LCD 패널, (오른쪽) anodized aluminum mid-frame | image:redmi_note4x_153.jpg | (왼쪽) LCD 패널, (오른쪽) anodized aluminum mid-frame | ||
</gallery> | </gallery> | ||
− | <li>anodized aluminum mid-frame에서 | + | <li>anodized aluminum mid-frame에서 [[방열]]용 검정색 테이프 [[필름]] 두 가지 |
<gallery> | <gallery> | ||
image:redmi_note4x_154.jpg | LCD패널 뒷면에 접촉하는 anodized aluminum mid-frame에서 검정색 테이프 | image:redmi_note4x_154.jpg | LCD패널 뒷면에 접촉하는 anodized aluminum mid-frame에서 검정색 테이프 | ||
595번째 줄: | 748번째 줄: | ||
image:redmi_note4x_159.jpg | anodized aluminum mid-frame에서 산화피막을 레이저로 벗긴 부분 | image:redmi_note4x_159.jpg | anodized aluminum mid-frame에서 산화피막을 레이저로 벗긴 부분 | ||
</gallery> | </gallery> | ||
− | <li>anodized aluminum mid-frame과 플라스틱 동시 사출 구조 | + | <li>anodized aluminum [[금속]] mid-frame과 플라스틱 동시 [[사출]] 구조 |
<gallery> | <gallery> | ||
image:redmi_note4x_160.jpg | 20170628, X1602-V.3 JYH M3-1 | image:redmi_note4x_160.jpg | 20170628, X1602-V.3 JYH M3-1 | ||
603번째 줄: | 756번째 줄: | ||
image:redmi_note4x_164.jpg | image:redmi_note4x_164.jpg | ||
</gallery> | </gallery> | ||
− | <li>강화유리와 | + | <li>강화유리와 [[능동LCD]] 패널 뜯기, 강화유리만 깨끗하게 뜯어내는 것에 실패 |
<gallery> | <gallery> | ||
image:redmi_note4x_165.jpg | 뜨거운 물을 부으면, LCD 두 유리창 접착제를 뜯어낼 수 있지만, 한 쪽 유리판이 깨진다. | image:redmi_note4x_165.jpg | 뜨거운 물을 부으면, LCD 두 유리창 접착제를 뜯어낼 수 있지만, 한 쪽 유리판이 깨진다. | ||
609번째 줄: | 762번째 줄: | ||
image:redmi_note4x_167.jpg | 터치 패널용 그리드영역 감지를 위한 X, Y 전선 및 매우 긴 DDI(1080x1920 pixels) | image:redmi_note4x_167.jpg | 터치 패널용 그리드영역 감지를 위한 X, Y 전선 및 매우 긴 DDI(1080x1920 pixels) | ||
</gallery> | </gallery> | ||
− | <li>LCD용 LED 백라이트 | + | <li>LCD용 [[LED-SMD]] 백라이트 |
<gallery> | <gallery> | ||
image:redmi_note4x_168.jpg | LCD 백라이트용, 12개 LED, 6S2P | image:redmi_note4x_168.jpg | LCD 백라이트용, 12개 LED, 6S2P | ||
image:redmi_note4x_169.jpg | image:redmi_note4x_169.jpg | ||
image:redmi_note4x_170.jpg | image:redmi_note4x_170.jpg | ||
+ | </gallery> | ||
+ | </ol> | ||
+ | <li>[[파우치 2차-리튬]] 배터리 | ||
+ | <ol> | ||
+ | <li>세트에서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030.jpg | 큰 전류를 위한 배터리 연결 커넥터 | ||
+ | image:redmi_note4x_031.jpg | 배터리 부착은 풀칠로 | ||
+ | </gallery> | ||
+ | <li>외관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75.jpg | 15.5Wh, 3.85V, 436678 크기, 풀칠 영역 경계선 표시 | ||
+ | image:redmi_note4x_176.jpg | 모델: BN41, 최고충전전압 4.4V 공칭전압 3.85V 4000mAh, 제조회사: Sunwoda Electronic Co., Ltd. 제조일: 2017년 8월 2일 | ||
+ | </gallery> | ||
+ | <li>배터리 보호 회로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77.jpg | ||
+ | image:redmi_note4x_178.jpg | FET 스위치, 뒷면은 비교적 두꺼운 금속 코팅 및 딱딱한 투명 수지로 도포함.(열방출 및 강도향상) | ||
+ | image:redmi_note4x_179.jpg | 전류감지용 저저항, FET 스위치, P-PTC 퓨즈 | ||
+ | </gallery> | ||
+ | <li>양면 F-PCB와 더미 Rigid-PCB 접합한 [[유기물기판]] (휨강도와 FET스위치 열방출?)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87.jpg | ||
+ | </gallery> | ||
+ | <li>[[전류검출용R]] 저저항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80.jpg | ||
+ | image:redmi_note4x_181.jpg | 그라인딩으로 저항값 트리밍 | ||
+ | </gallery> | ||
+ | <li>[[FET]] 스위치,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82.jpg | ||
+ | image:redmi_note4x_183.jpg | ||
+ | image:redmi_note4x_184.jpg | ||
+ | </gallery> | ||
+ | <li> [[P-PTC]], 고전류를 위해 두 개 병렬로 쌓아 만들었다.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85.jpg | ||
+ | image:redmi_note4x_186.jpg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ol> | </ol> |
2020년 7월 10일 (금) 15:56 판
Xiaomi, Redmi Note 4X
- 링크
- 전자부품
- 핸드폰
- Xiaomi Redmi Note 4X 휴대폰 - 이 페이지
- 핸드폰
- 전자부품
- 기술자료
- 출시년도: 2017년 2월
- 사용 네트워크
- 2G GSM 850/900/1800/1900, CDMA800 & TD-SCDMA
- 3G HSDPA 850/900/1900/2100
- 4G 1, 3, 5, 7, 8, 38, 39, 40, 41 - Mediatek model, 아래 밴드에서 폰 기준으로 Tx, Rx
- B1: 2100, 1920~1980(1950), 2110~2170(2140)
- B2: 1900, 1850~1910(1880), 1930~1990(1960) - 이 밴드 듀플렉서가 있다.
- B3: 1800, 1710~1785(1747.5), 1805~1880(1842.5)
- B5: 850, 824~849(836.5), 869~894(881.5)
- B7: 2600, 2500~2570(2535), 2620~2690(2655)
- B8: 900, 880~915(897.5), 925~960(942.5)
- B38: 2600, TDD 2570~2620(2595) TY SAW 필터 발견
- B39: 1900, TDD 1880~1920(1900)
- B40: 2300, TDD 2300~2400(2350) Triquint BAW 필터 발견
- B41: 2500, TDD 2496~2690(2593)
- 외관
- finger ring stand용 조이개
- 분해시작
- 안테나
- 지문 센서
- 위치
- PCB
- 표면에 열풍을 가하면
- 다이
- 동작원리
- 위치
- 안테나 접지면 기준이 되는 후면 메탈 커버
- 마이크로 스피커
- 위치하는 곳(휴대폰 밑이다.) 및 외형
- 스피커 박스를 뜯으면
- 백볼륨 속의 스폰지
참조: 욕실용이므로 Polyester 수지 스폰지로 추정함.
- 위치하는 곳(휴대폰 밑이다.) 및 외형
- 메인 마이크
- 귀쪽에 위치한, 소음 제거용 MEMS마이크
- 외형
- 패키지 분해
- 프레임 구조
- PCB C
- MEMS 진동판 - 메인 마이크에 사용된 MEMS 진동판과 같다.
- 외형
- 메인보드 방열 및 차폐
- 카메라
- 후면 메인 카메라용 Dual-tone LED flash
- 기술
- 기존 단일 LED 플래시로 사진을 찍으면 부자연스럽고 차가운 톤으로 사진이 찍힌다.
- 서로 다른 색온도를 갖는 두 LED를 사용해서 색상 균형을 쉽게 맞출 수 있다.
- 2013년 9월 iPhone 5S에서 처음으로 등장. 흰색white과 호박색amber 사용함.
- 주변광의 화이트밸런스를 판단하여 플래시 색상을 조정한다.(맞나?)
- Dual-tone LED-SMD
- 형광체를 뜯어내면
- 켜보면
- LED 다이를 뜯으면
- 기술
- 후면 메인 카메라 - 핸드폰용 이미지센서
- 위치
- 카메라 뒷면 방열판
- 외관
- VCM 분해
- IR컷 필터 분해
- 이미지 센서
- red dot pitch 약 2.2um, 파랑 점에 결점이 있다. phase detect auto focus(PDAF)를 위한 센서 픽셀. 한 축으로만 배열되어 예를 들면 수평 자동초점을 맞춘다. 센서 전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면 전영역에 자동초점을 맞출 수 있다.
- S5K3L8 삼성전자제조, 4208x3120(13M), 1.12um, 1/3.1", pixel type:ISOCELL, PDAF auto focus
- 위치
- 전면 보조 카메라
- 후면 메인 카메라용 Dual-tone LED flash
- 적외선 근접센서(IR proximity sensors) 및 조도센서(Ambient Light Sensor)
- 사진
- 외관
- 분해
- 인터포저(interposer)
- 사진
- 메인 PCB에서 방열
BGA bare die에서 붙인 마킹 필름이 떨어졌다.
- 하단 안테나에서 온 동축케이블과 연결된, 안테나 RF스위치IC. TDD용 PAM과 W-CDMA PAM을 따로 스위칭하기 위해서(?)
- 외관
- 다이 분석
- 외관
- Skyworks 77645-11, multimode multiband(MMMB) PAM, TDD용 전용. 7개 듀플렉서를 사용하는 W-CDMA용 PAM은 따로 존재한다.
- Skyworks 77912-51, W-CDMA용 PAM (LTE B7,38,41,40,AXGP 등 2300~2690MHz)
- Mediatek MT6631N, WiFi abgn+ac, BT4.1, GPS, FM 칩
- TCXO
- 메인 보드 뒷면
- AP + RAM PoP(Package On Package)
- 전원용 노이즈필터, 4개 직렬로 연결
- SanDisk SDINADF4-64G, iNAND 7232, 64GB embedded flash drive, 14nm
- RF transceiver IC 구역
- Mediatek MT6176V transceiver RF IC
- Rx 다이버시티
- Rx 다이버시티용 스위치
- 쏘필터 8개 1.1x0.9mm
- 노랑점선: 안테나, 쏘필터 그리고 이들 사이 매칭영역, 주황점선: 모듈과 트랜시버IC 사이의 매칭영역
- 필터 8개 주파수특성 측정을 위해 간이 연결
- 필터 8개 주파수특성 엑셀 데이터
- 필터 8개 주파수특성 그래프
- #7번 필터, 2017년 8월, China 제조
- Rx 다이버시티용 스위치
- 듀플렉서 1.8x1.4mm 7개, 무라타1, 트라이퀸트1, Taiyo Yuden 5개
- 전체
- Taiyo Yuden 5개
- 주파수를 알아내기 위한 간이 측정 방법
- 측면
- 701, LTE Band7
- 주파수 파형
- 다이 내부
- 주파수 파형
- 7B1, LTE Band2, Tx:1880MHz Rx:1960MHz, 두꺼운 제품인다.
- 주파수 파형
- 땜납으로 4변에 벽을 세웠다.
- 사파이어+LT(?) 접합 웨이퍼를 사용했다.
- 다이를 뜯어냄
- Rx
- Tx:1880MHz
- 주파수 파형
- 7A4, LTE Band1
- 주파수 파형
- 전체
- Rx
- Tx
- 주파수 파형
- 7G6, LTE Band8, 두께가 얇은 제품이다.
- 주파수 파형
- 다이 내부
- 주파수 파형
- 7E4, LTE Band5
- 주파수 파형
- 다이 내부
- 주파수 파형
- 주파수를 알아내기 위한 간이 측정 방법
- Murata CG/3J, 1.55x1.15mm 크기
- 외관
- 패키징
- 다이
- 외관
- Qorvo , TQQ1003 1747.5/1842.5MHz LTE Band3 WLP SMR-[BAW]] 듀플렉서
- 외관
- 유기물 PCB
- 다이 분리
- 두 다이
- 빈공간을 유지하는, 벽과 지붕
- 본딩 패드와 검사용 패드
- 발연질산에 넣어서
- 외관
- 전체
- Mediatek MT6176V transceiver RF IC
- 위 모서리에 리모트콘트롤용 IR통신용 LED (앞에 검정 플라스틱 창이 있다.)
- 전면 상단에 3색 LED-모듈
- 진동모터
- 플라스틱 보호 커버(뭔가 누르기 위해 존재?)
- 카드접점
- 리시버 스피커
- 디스플레이 파트
- 파우치 2차-리튬 배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