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 스피커
마이크로 스피커
- 전자부품
- 이 문서로 분류되는 특징
- 백볼륨이 있는 경우
- 특히 핸드폰에 넣기 위해 작게 만들어야 한다.
- 백볼륨이 없는 경우
- 명백히 리시버용 스피커가 아니다.
- 백볼륨이 있는 경우
- 마이크로 스피커만을 위한 흡음재 사용
- 핸드폰에서
- 피처폰에서
- 스마트폰에서
- 2012.06 출시 삼성 SHV-E210K 갤럭시 S3 스마트폰
- 마이크로 스피커 모듈. 면적이 넓어 보통 안테나를 같이 붙인다.
3.5mm 이어폰 커넥터 소켓을 고무로 흔들림 충격을 완충함
- 마이크로 스피커 모듈. 면적이 넓어 보통 안테나를 같이 붙인다.
- 2012.09 출시 삼성 갤럭시 노트2 스마트폰
- 2013.10 출시 애플 iPhone 5S 스마트폰
- 위치
- 외관
- Agilent 4284A 20Hz~1MHz Precision LCR 미터 계측기로 임피던스 측정 엑셀 파일
- 임피던스 측정 그래프
- DC 바이어스 전류에 따른 임피던스
-전류에 코일은 뒤로 후퇴한다. 자석 중심에서 코일에 뒤쪽으로 치우쳐 조립되었다. 전류가 60mA 이상 흐르면 THD가 급격히 나빠진다.
- 백볼륨 구멍을 내면
- 임피던스 측정 그래프
- 구조
스피커 전면 구멍에 비해 백볼륨 체적이 훨씬 크다. 백볼륨에 스폰지가 있다.
- 그림
- 위치
- 2014.02 출시 삼성 SM-G906S 갤럭시 S5 스마트폰
백볼륨 없는 마이크로 스피커
- 2014.07 제조 LG-F460S LG G3 Cat.6 스마트폰
- 2015.06 출시 LG-F570S LG Band Play 스마트폰
- 2015년 09월 출시 iPad mini 4, A1538 WiFi 모델
- 2016.01 출시 삼성 SM-A710S 갤럭시 A7 LTE 스마트폰
- 5가지 상태
- 분해하면서 임피던스 측정
- 임피던스 해석
- 6차 밴드패스 스피커이다.
- closed box(스피커 뒤쪽이 막힌)에 넣은 후, 소리 출구에만 tube가 형성되면 4차 band pass 필터가 된다.
- 여기에 back volume에도 튜브를 만들어 뚫으면, 6차 band pass 필터가 된다. 즉, 위 스피커는 6차 B.P 이다.
- 6차 BP 구조를 만드는 이유
- back volume에 구멍을 뚫으면 저주파가 강화된다.
- 4차 BP이면 고주파가 약화되고, 저주파가 더 강화된다.
- open air(상태 #5)에서는 임피던스 공진이 하나만 나온다.
- Ported Bass-Reflex 상태이면 공진이 두 개 나온다.
- 두 공진점에서 가장 낮은지점을 보이는 주파수가 공진주파수로 정의된다.
- 두 임피던스 공진점 높이가 같으면 매치상태. 저주파 피크가 높으면 박스 공진주파수가 (드라이버 공진주파수보다???) 더 높다.
- 고주파 피크 임피던스가 크면, 박스 공진주파수가 (드라이버 공진주파수보다???) 더 낮다.
- tube가 길고 복잡하면 여러개의 공진 피크가 측정된다.
- 6차 밴드패스 스피커이다.
- 5가지 상태
- 2017.02 출시 샤오미 Redmi Note 4X 스마트폰, 분홍
- 2017.06 출시 삼성 갤럭시 폴더2 SM-G160N 스마트폰
- 2018.03 출시 삼성 Galaxy S9 스마트폰
- 2020년, 조립되기 전 어떤 제품에서
- 2012.06 출시 삼성 SHV-E210K 갤럭시 S3 스마트폰
- 기타 휴대용 장치에서
- U80 스마트 손목시계
- 위에서 언급된, Ammonite Precision 제품과 매우 유사
- 위에서 언급된, Ammonite Precision 제품과 매우 유사
- U80 스마트 손목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