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li>산업용 | <li>산업용 | ||
<ol> | <ol> | ||
− | |||
<li> [[방열]] - 이 페이지 | <li> [[방열]] - 이 페이지 | ||
<ol> | <ol> | ||
<li> [[히트파이프]] | <li> [[히트파이프]] | ||
+ | <li> [[TO-5 방열]] | ||
</ol> | </ol> | ||
+ | </ol> | ||
+ | <li>참조 | ||
+ | <ol> | ||
+ | <li> [[발열소자]] | ||
<li> [[오븐]] | <li> [[오븐]] | ||
<li> [[핫플레이트]] | <li> [[핫플레이트]] | ||
34번째 줄: | 38번째 줄: | ||
<li>방열패드 | <li>방열패드 | ||
<ol> | <ol> | ||
+ | <li>실리콘 재질(?) 구입 | ||
+ | <ol> | ||
+ | <li>상품명: FC-Thermal-PAD, 120x120x1.5mm 약 1만원에 구입품 | ||
+ | <gallery> | ||
+ | image:thermal_pad01_001.jpg | 3M 양면 전사 테이프 467MP, 0.06mm 두께, 내열 장기 149도 단기 204도 | ||
+ | image:thermal_pad01_002.jpg | 방열패드 제조회사 모델 등, 규격은 알 수 없음. | ||
+ | </gallery> | ||
+ | </ol> | ||
<li> - 18p | <li> - 18p | ||
<ol> | <ol> | ||
<li>Porous Ceramic Heat Sink | <li>Porous Ceramic Heat Sink | ||
+ | </ol> | ||
+ | </ol> | ||
+ | <li>열전도(Thermal Conductivity) 측정 | ||
+ | <ol> | ||
+ | <li>문서 | ||
+ | <ol> | ||
+ | <li> - 64p | ||
+ | <li> - 28p, by Numan Yuksel, http://dx.doi.org/10.5772/64157 | ||
+ | <li> - 11p | ||
+ | <li> - 16p | ||
+ | <li> - 204p | ||
+ | </ol> | ||
+ | <li>Transient plane source (TPS) method | ||
+ | <ol> | ||
+ | <li>설명 | ||
+ | <ol> | ||
+ | <li>steady-state technique 방식이다. 30~1200K온도 범위에서 0.005~500W/(mK) 열전도도 범위로 측정할 수 있다. | ||
+ | <li>hot-strip method라는 방법으로 개발되었다. 이는 Gustafsson probe 또는 hot-disk method 라고도 부른다. | ||
+ | <li>가장 큰 장점은 10분 이내로 빨리 측정된다. | ||
+ | <li>다양한 크기의 센서를 통해 적절한 시편 크기를 측정한다. 이는 다른 측정 방법에 비해 비교적 작은 시편을 이용할 수 있다. | ||
+ | <li>절연된 센서(히터 겸용)는 시편 두 장 사이에 위치한다. | ||
+ | </ol> | ||
+ | <li>그림 | ||
+ | <gallery> | ||
+ | image:thermal_conductivity01_001.jpg | ||
+ | </gallery> | ||
+ | <li>측정기 | ||
+ | <ol> | ||
+ | <li>Hot Disk 회사의 TP-3500, 2500S 계측기, Thermtest 회사 제품 등이 있다. | ||
+ | <ol> | ||
+ | <li>ISO 22007-2:2015, Transient plane heat source (hot disc) method | ||
+ | </ol> | ||
+ | </ol> | ||
+ | </ol> | ||
+ | </ol> | ||
+ | <li>보명히트싱크산업에서 길이 753 가로세로 200mm @14,400원 x 10개 = 144,000원 구입 | ||
+ | </ol> | ||
+ | <li>방열을 하지 않음. | ||
+ | <ol> | ||
+ | <li> [[허브]] | ||
+ | <ol> | ||
+ | <li>Ree Net(리넷) RSW500 Super 5 Port Switch, 2003년 1월 출시로 추정 | ||
+ | <ol> | ||
+ | <li>조사 | ||
+ | <ol> | ||
+ | <li>3포트 연결시 소모전류: 4,5,6,7V에 따라 0.79,0.78,0.77,0.74A, 포트연결시 0.03A 증가함. | ||
+ | <li>IC와 금속케이스 사이 빈공간은 약 1.3mm | ||
+ | </ol> | ||
+ | <li>사진 | ||
+ | <gallery> | ||
+ | image:hub04_006.jpg | UTC MC34063A, switching DC-DC converter | ||
+ | image:hub04_007.jpg | Atan AT8985P, 제조 2002년 7주차(?), 6-port 10/100Mbps Ethernet Switch Controller, 2SB1412 PNP Tr | ||
+ | image:hub04_009.jpg | 앞면에서. DC-DC 컨버터 IC(Sp1) 83도씨 | ||
+ | image:hub04_010.jpg | Tr 94도씨, 메인 IC에서 100도씨, 레귤레이터IC 96도씨 | ||
+ | </gallery> | ||
</ol> | </ol> | ||
</ol> | </ol> | ||
+ | </ol> | ||
+ | <li>바람 구멍 | ||
+ | <ol> | ||
+ | <li> [[디지털미터 릴레이]] Tsuruga 452A Digital Meter Relay 에서 | ||
+ | <gallery> | ||
+ | image:tsuruga452a_015.jpg | 트랜스포머를 위한 [[방열]]용 바람 구멍 | ||
+ | image:tsuruga452a_040.jpg | 빈 영역을 그대로 두는 것보다 [[방열]]을 위해 구멍을 뚫어 놓는다. | ||
+ | </gallery> | ||
+ | <li> [[FFH-DV550]] LG 하이파이오디오 | ||
+ | <gallery> | ||
+ | image:hifi01_063.jpg | ||
+ | image:hifi01_058_002.jpg | [[MCU]]를 위한 [[방열]] 바람 구멍 | ||
+ | </gallery> | ||
+ | </ol> | ||
+ | <li>깡통 스프링으로 직접 연결 | ||
+ | <ol> | ||
+ | <li> [[와이브로]], EV-WM200 모델에서 | ||
+ | <ol> | ||
+ | <li>[[실드깡통]] 제거 전후 | ||
+ | <gallery> | ||
+ | image:ev_wm200_012.jpg | ||
+ | image:ev_wm200_013.jpg | [[PAM]]을 눌러 방열 | ||
+ | </gallery> | ||
+ | </ol> | ||
+ | </ol> | ||
+ | <li>본체에 연결 | ||
+ | <ol> | ||
+ | <li>Panasonic [[VP-7750A]] Wow Flutter 미터 | ||
+ | <gallery> | ||
+ | image:vp_7750a_054.jpg | 2SC1226A 40V 2A Silicon NPN Power Tr [[방열]] 방법 | ||
+ | </gallery> | ||
</ol> | </ol> | ||
<li>열전도(방열판 등과 연결을 위해) | <li>열전도(방열판 등과 연결을 위해) | ||
44번째 줄: | 142번째 줄: | ||
<li>실리콘 수지로 열전도 | <li>실리콘 수지로 열전도 | ||
<ol> | <ol> | ||
+ | <li> [[1.2V 충전기]], ISDT N16 모델에서 | ||
+ | <gallery> | ||
+ | image:charger_n16_006.jpg | [[방열]] 실리콘 패드 | ||
+ | </gallery> | ||
+ | <li> [[스위칭 레귤레이터]] | ||
+ | <ol> | ||
+ | <li>BXA10-48S05, 48V입력 싱글 5V 출력 | ||
+ | <gallery> | ||
+ | image:dcdc_inverter01_002.jpg | 트랜스 위에 흰색, 반도체소자 위에 주황색 | ||
+ | image:dcdc_inverter01_003.jpg | 리드달린 Stack [[MLCC]] | ||
+ | </gallery> | ||
+ | </ol> | ||
<li>CDE ResMap 178, 스텝 모터 콘트롤러 | <li>CDE ResMap 178, 스텝 모터 콘트롤러 | ||
<gallery> | <gallery> | ||
58번째 줄: | 168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image:zodiac2_019.jpg | LTLX, LTC1733 battery charger 및 금속 케이스와 연결되는 방열고무 | image:zodiac2_019.jpg | LTLX, LTC1733 battery charger 및 금속 케이스와 연결되는 방열고무 | ||
+ | </gallery> | ||
+ | <li> 삼성 [[SM-G5308W]] 휴대폰에서 | ||
+ | <gallery> | ||
+ | image:sm_g5308w_01_004.jpg | ||
+ | </gallery> | ||
+ | <li> Xiaomi [[Redmi Note 4X]] 휴대폰에서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086.jpg | 깡통이 튀어나온 부분(AP와 RAM이 PoP 되어 있어 두껍다.)은 anodized aluminum mid-frame은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 ||
+ | image:redmi_note4x_087.jpg | 3군데 방열실리콘용 IC는 Micron 6QB47 D9TPL RAM, Mediatek MT6351V PMIC, Dialog DA9214 step down converter | ||
+ | image:redmi_note4x_088.jpg | 쑥색은 테이프가 아니라 페인트칠이다. | ||
+ | image:redmi_note4x_089.jpg | 전력변환 수동부품 영역에는 실리콘 접착제(방열? 진동억제?) 도포 | ||
+ | image:redmi_note4x_090.jpg | ||
+ | image:redmi_note4x_091.jpg | BGA bare die에서 붙인 마킹 필름이 떨어졌다. | ||
+ | </gallery> | ||
+ | <li> [[비디오카드]], ATi Radeon HD3850에서 [[DRAM]]과 [[VRM]] 방열에 사용한다. | ||
+ | <ol> | ||
+ | <li>[[DRAM]] 방열을 위해 | ||
+ | <gallery> | ||
+ | image:video_card07_005.jpg | 우측 [[DRAM]] 하나는 방열하지 않고 있음. | ||
+ | image:video_card07_006.jpg | ||
+ | image:video_card07_021.jpg | 히트파이프가 직접닿은 영역과 방열핀이 붙어 있는 구리방열판은 구분되어 있다. 그리고 실리콘 방열패드 | ||
+ | image:video_card07_022.jpg | 실리콘 방열패드를 태워도 흰색이다. | ||
+ | image:video_card07_012.jpg | 실리콘패드에 닿지 않아 방열안되는 [[DRAM]] | ||
+ | </gallery> | ||
+ | <li>[[VRM]] 방열을 위해 | ||
+ | <gallery> | ||
+ | image:video_card07_014.jpg | VRM 방열을 위한 구리 방열핀 | ||
+ | image:video_card07_015.jpg | 구리 방열핀을 들어올리면 | ||
</gallery> | </gallery> | ||
+ | </ol> | ||
+ | <li>[[비디오카드]] NVIDIA, GeForce GTS250에서 | ||
+ | <gallery> | ||
+ | image:video_card06_005.jpg | GPU 및 [[DRAM]] 방열 | ||
+ | image:video_card06_006.jpg | GPU 및 [[DRAM]] 방열 | ||
+ | image:video_card06_007.jpg | 실리콘 패드에서 실리콘이 PCB에 번지고 있다. | ||
+ | image:video_card06_016.jpg | Hynix H5RS5223CFR, [[DRAM]] 512Mbit, 2.05V 1.2GHz, 실리콘이 번졌다. | ||
+ | </gallery> | ||
+ | <li>[[비디오카드]] nVidia GeFORCE 8600GT에서, 부품보드와 냉각판이 서로 맞지 않는 조합 | ||
+ | <gallery> | ||
+ | image:video_card05_009.jpg | ||
+ | image:video_card05_010.jpg | [[DRAM]]을 위한 방열위치가 틀어진 냉각 | ||
+ | image:video_card05_011.jpg | ||
+ | image:video_card05_012.jpg | ||
+ | image:video_card05_013.jpg | ||
+ | image:video_card05_014.jpg | [[DRAM]] 위치를 (잘못) 고려한 오목 가공 | ||
+ | </gallery> | ||
+ | <li> 삼성 갤럭시 폴더2 [[SM-G160N]]에서 | ||
+ | <gallery> | ||
+ | image:sm_g160n_057.jpg | SM-G1600 | ||
+ | image:sm_g160n_058.jpg | ||
+ | image:sm_g160n_059.jpg | [[방열]] | ||
+ | </gallery> | ||
+ | <li> [[Thecus N8200]] SMPS에서 | ||
+ | <ol> | ||
+ | <li>알루미늄 방열판 4개에 각각 실리콘 [[방열]] 테이프를 붙여 외부 철제 케이스와 접촉된다. | ||
+ | <gallery> | ||
+ | image:nas01_02_021.jpg | ||
+ | image:nas01_02_022.jpg | ||
+ | </gallery> | ||
+ | </ol> | ||
</ol> | </ol> | ||
<li>그라파이트 시트로 | <li>그라파이트 시트로 | ||
69번째 줄: | 238번째 줄: | ||
image:ptc200_038.jpg | image:ptc200_038.jpg | ||
image:ptc200_039.jpg | 펠티어소자 알루미나와 알루미늄방열판과 밀착을 위해 | image:ptc200_039.jpg | 펠티어소자 알루미나와 알루미늄방열판과 밀착을 위해 | ||
+ | </gallery> | ||
+ | <li> 삼성 [[SM-G5308W]] 휴대폰에서 | ||
+ | <gallery> | ||
+ | image:sm_g5308w_01_001.jpg | 위: OLED 디스플레이 | ||
+ | image:sm_g5308w_01_002.jpg | ||
+ | image:sm_g5308w_01_003.jpg | ||
+ | image:sm_g5308w_01_017.jpg | 불에 태워보니, 검정시트는 [[방열]]용 그라파이트 시트이다. | ||
+ | </gallery> | ||
+ | <li> Xiaomi [[Redmi Note 4X]] 휴대폰에서 | ||
+ | <ol> | ||
+ | <li>anodized aluminum mid-frame에서 [[방열]]용 검정색 테이프 [[필름]] 두 가지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54.jpg | LCD패널 뒷면에 접촉하는 anodized aluminum mid-frame에서 검정색 테이프 | ||
+ | image:redmi_note4x_155.jpg | anodized aluminum mid-frame에서 검정색 테이프를 뜯으면 | ||
+ | image:redmi_note4x_156.jpg | 유기물 테이프이다. | ||
+ | image:redmi_note4x_157.jpg | 메인 PCB가 접촉하고 있는 영역에만 붙어 있는 graphite sheet | ||
+ | image:redmi_note4x_158.jpg | 메인 PCB가 접촉하고 있는 영역에만 붙어 있는 graphite sheet | ||
+ | image:redmi_note4x_159.jpg | anodized aluminum mid-frame에서 산화피막을 레이저로 벗긴 부분 | ||
+ | </gallery> | ||
+ | </ol> | ||
+ | <li>그라파이트 방열판 | ||
+ | <ol> | ||
+ | <li>삼성 레이저 빔 프린터, SL-C460W, High Voltage 파워에서 | ||
+ | <gallery> | ||
+ | image:hvps1_006.jpg | ||
+ | image:heatsink01_001.jpg | ||
+ | image:heatsink01_002.jpg | ||
+ | image:heatsink01_003.jpg | ||
</gallery> | </gallery> | ||
+ | </ol> | ||
</ol> | </ol> | ||
<li>알 수 없는 검정 테이프 | <li>알 수 없는 검정 테이프 | ||
78번째 줄: | 276번째 줄: | ||
image:palm_tx_013.jpg | Intel PXA270 C5C312 [[MCU]], Samsung K9F1G08U0A NAND [[Flash]] 128MByte, intel 28F640J3C115 64Mbit [[Flash]], Infineon HYB25L256160AF 256Mbit Mobile [[DRAM]](=low-power SDRAM) | image:palm_tx_013.jpg | Intel PXA270 C5C312 [[MCU]], Samsung K9F1G08U0A NAND [[Flash]] 128MByte, intel 28F640J3C115 64Mbit [[Flash]], Infineon HYB25L256160AF 256Mbit Mobile [[DRAM]](=low-power SDRAM) | ||
</gallery> | </gallery> | ||
+ | </ol> | ||
+ | <li>금속판 | ||
+ | <ol> | ||
+ | <li> [[오디오앰프IC]], STK412-090에서 | ||
+ | <gallery> | ||
+ | image:audio_amp01_019.jpg | ||
+ | image:audio_amp01_020.jpg | ||
+ | </gallery> | ||
+ | <li> [[비디오카드]]에서 | ||
+ | <gallery> | ||
+ | image:videocard_001.jpg | 55nm, 959M Tr, 800개 stream processor, 1.36TFLOPS, 200W | ||
+ | image:videocard_004.jpg | PCB쪽으로도 방열을 위해 구리판을 양면접착제로 붙였다. | ||
+ | </gallery> | ||
+ | <li>2010년 출시된 [[iPad A1337]], [[태블릿 컴퓨터]], 배터리 보호회로에서 | ||
+ | <ol> | ||
+ | <li> [[FET]] Fairchild FDZ2553N 14mΩ@4.5V, 9.6A 20V, Monolithic Common Drain N-Channel MOSFET(1990년도에 개발한 듯. 이 [[방열]]기술을 사용하면 면적을 1/3으로) | ||
+ | <gallery> | ||
+ | image:a1337_048.jpg | ||
+ | image:a1337_052.jpg | ||
+ | image:a1337_053.jpg | ||
+ | </gallery> | ||
+ | </ol> | ||
</ol> | </ol> | ||
</ol> | </ol> | ||
91번째 줄: | 311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 | <li>[[비디오카드]] nVidia GeFORCE 8600GT에서 | ||
+ | <gallery> | ||
+ | image:video_card05_003.jpg | Anpec APL1117, 1A Regulator 방열 | ||
+ | </gallery> | ||
+ | <li> 삼성전자 TV [[LN32N71BD]], CCFL 파워에서 | ||
+ | <gallery> | ||
+ | image:lcdtv01_01_001.jpg | ||
+ | image:lcdtv01_01_004.jpg | FET [[방열]]을 위한 PCB 동박 | ||
+ | </gallery> | ||
+ | </ol> | ||
+ | <li>thermal via 또는 through hole | ||
+ | <ol> | ||
+ | <li> [[충전 거치대]], Sky BTC-500에서 | ||
+ | <gallery> | ||
+ | image:charger_phone09_006.jpg | 쓰루홀을 (너무) 많이 뚫은 이유는 IC [[방열]] 때문일 것이다. | ||
+ | image:charger_phone09_007.jpg | 16001 T228 IC, 배터리 전압 측정 경로 및 +전압단자에 PCB 인덕터를 구현했다. | ||
+ | </gallery> | ||
</ol> | </ol> | ||
<li>PCB 동박에 fin(지느러미) type heat sink 를 붙여서 | <li>PCB 동박에 fin(지느러미) type heat sink 를 붙여서 | ||
99번째 줄: | 336번째 줄: | ||
image:agilent1260lc02_002_001.jpg | 풀로 붙어있지 않다. | image:agilent1260lc02_002_001.jpg | 풀로 붙어있지 않다. | ||
image:agilent1260lc02_002_002.jpg | 솔더로 붙였다. 납땜이 잘되는 재질의 방열판이다. | image:agilent1260lc02_002_002.jpg | 솔더로 붙였다. 납땜이 잘되는 재질의 방열판이다. | ||
+ | </gallery> | ||
+ | </ol> | ||
+ | <li>세라믹 | ||
+ | <ol> | ||
+ | <li>세라믹판 | ||
+ | <ol> | ||
+ | <li> [[라우터]], PLANEX COMMUNICATIONS Inc(FCi), MZK-MF300N 무선공유기에서 | ||
+ | <gallery> | ||
+ | image:router04_011.jpg | 방열판 | ||
+ | image:router04_012.jpg | 방열판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110번째 줄: | 357번째 줄: | ||
image:in_wall_poe_ap01_025.jpg | image:in_wall_poe_ap01_025.jpg | ||
</gallery> | </gallery> | ||
+ | </ol> | ||
</ol> | </ol> | ||
<li>히트 싱크 heat sink | <li>히트 싱크 heat sink | ||
<ol> | <ol> | ||
− | <li>전형적인 방열 | + | <li>팬 바로 앞에 |
+ | <ol> | ||
+ | <li> [[E3649A]] 파워서플라이 | ||
+ | <gallery> | ||
+ | image:e3649a01_005.jpg | ||
+ | </gallery> | ||
+ | </ol> | ||
+ | <li>알루미늄 프레임에 연결하는, 전형적인 방열 | ||
<ol> | <ol> | ||
− | <li>HP 8112A | + | <li>HP [[8112A]] 50 MHz pulse generator에서, 전원 Tr, [[리니어 레귤레이터]] 방열 |
<gallery> | <gallery> | ||
image:hp8112a_a1_021.jpg | image:hp8112a_a1_021.jpg | ||
131번째 줄: | 386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image:ta320_030.jpg | 고정 및 방열방법 | image:ta320_030.jpg | 고정 및 방열방법 | ||
+ | </gallery> | ||
+ | <li> [[LE-5150]] LED 파워서플라이용 전자부하에서 | ||
+ | <gallery> | ||
+ | image:le5150_02_005.jpg | ||
+ | image:le5150_02_011.jpg | ||
+ | image:le5150_02_013.jpg | 5개씩 2열, 모두 10개(아마 MOSFET) | ||
+ | </gallery> | ||
+ | <li> [[색도계]]에 장착된 [[TPH]]를 사용한 프린터에서 | ||
+ | <gallery> | ||
+ | image:ze2000_011.jpg | 알루미나 기판을 금속[[방열]]판에 붙였다. | ||
+ | </gallery> | ||
+ | <li> [[HP5328B]] 카운터에서 | ||
+ | <gallery> | ||
+ | image:hp5328b02_031.jpg | IC [[방열]] | ||
+ | </gallery> | ||
+ | </ol> | ||
+ | <li>멀리서 Tr을 전선로 연결 | ||
+ | <ol> | ||
+ | <li> [[거칠기측정기]] | ||
+ | <gallery> | ||
+ | image:se_1700a01_007.jpg | Tr [[방열]] 방법 | ||
+ | </gallery> | ||
+ | </ol> | ||
+ | <li>철판과 같이 납땜하여 | ||
+ | <ol> | ||
+ | <li> [[Tektronix TDS540]] 오실로스코프, CRT 회로에서 | ||
+ | <gallery> | ||
+ | image:tds540_04_021.jpg | ||
+ | image:tds540_04_022.jpg | TDA1170S, TV Vertical Deflection System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li>둥근 캔 방열 방법 | <li>둥근 캔 방열 방법 | ||
<ol> | <ol> | ||
− | <li> | + | <li> [[TO-5 방열]] |
+ | <li> Yokogawa [[LR4110]] 펜레코더에 있는 [[도트매트릭스 프린터]]에서 | ||
<gallery> | <gallery> | ||
− | image: | + | image:dot_matrix_head1_009.jpg |
− | image: | + | image:dot_matrix_head1_010.jpg | [[방열]]핀 떼어내면 |
− | |||
</gallery> | </gallery> | ||
− | <li> | + | </ol> |
+ | <li>fin(지느러미) type heat sink, 제작방법 | ||
+ | <ol> | ||
+ | <li>칼로 깍아서 fin을 만든 후 세웠다. | ||
+ | <ol> | ||
+ | <li>NVIDIA, GeForce GTS250, [[비디오보드]]에서 | ||
<gallery> | <gallery> | ||
− | image: | + | image:video_card06_020.jpg |
− | image: | + | image:video_card06_021.jpg | 칼로 깍아 만든 pin |
</gallery> | </gallery> | ||
− | <li> | + | <li>nVidia GeFORCE 8600GT, [[비디오보드]]에서 |
<gallery> | <gallery> | ||
− | image: | + | image:video_card05_025.jpg |
+ | image:video_card05_026.jpg | ||
+ | image:video_card05_026_001.jpg | ||
+ | image:video_card05_026_002.jpg | ||
+ | image:video_card05_026_003.jpg | fin을 눕혀보면 | ||
</gallery> | </gallery> | ||
− | <li> | + | <li>nVidia Quadro 600, [[비디오보드]]에서 |
<gallery> | <gallery> | ||
− | image: | + | image:video_card04_012.jpg | 공기를 위에서 아래로 내려 바닥에 막히면 옆으로 이동하여 [[방열]]핀으로 흐르게 한다. |
+ | image:video_card04_013.jpg | ||
+ | image:video_card04_013_001.jpg | ||
</gallery> | </gallery> | ||
− | <li> | + | </ol> |
+ | <li>모두 구리로 | ||
+ | <ol> | ||
+ | <li> [[IBM IntelliStation M Pro 6230]] 타워형 PC에서 | ||
+ | <ol> | ||
+ | <li>Dual CPU 냉각 | ||
<gallery> | <gallery> | ||
− | image: | + | image:ibm6230_010.jpg |
+ | image:ibm6230_012.jpg | ||
+ | image:ibm6230_015.jpg | ||
+ | image:ibm6230_016.jpg | ||
+ | image:ibm6230_017.jpg | 일본 Fujikura가 구리냉각판/팬 모두 공급 | ||
</gallery> | </gallery> | ||
− | <li> | + | </ol> |
+ | </ol> | ||
+ | <li>구리 코어를 넣어 | ||
<ol> | <ol> | ||
− | <li> | + | <li>마더보드, ASUSTEK Computer, A7V600, ATX, Socket-A |
+ | <gallery> | ||
+ | image:mb_a7v600_015.jpg | ||
+ | image:mb_a7v600_016.jpg | ||
+ | image:mb_a7v600_017.jpg | ||
+ | image:mb_a7v600_018.jpg | ||
+ | </gallery> | ||
+ | </ol> | ||
+ | </ol> | ||
+ | <li>냉각팬 없이 히트싱크 사용 | ||
<ol> | <ol> | ||
− | <li> | + | <li>single board compter - 1에서 |
<gallery> | <gallery> | ||
− | image: | + | image:sbc01_001.jpg |
− | image: | + | image:sbc01_002.jpg |
− | |||
</gallery> | </gallery> | ||
− | <li> | + | <li> [[야마하 RX-V575]] 리시버앰프에서 |
<gallery> | <gallery> | ||
− | image: | + | image:rx_v575_010.jpg |
− | image: | + | image:rx_v575_011.jpg |
−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 | <li> | + | <li>fin(지느러미) type heat sink 부착방법 |
+ | <ol> | ||
+ | <li>전형적인 [[리니어 레귤레이터]] 방열 | ||
+ | <ol> | ||
+ | <li> Kikusui [[AVM13]] decibel meter | ||
<gallery> | <gallery> | ||
− | image: | + | image:avm13_010.jpg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 | <li>외부 케이스에 닿아 방열 | ||
+ | <ol> | ||
+ | <li> [[비표준 SMPS]], Mecury Lamp power supply, Leica INM200용 모델명: Siemens VXHC75/100/2KF-1B에서 | ||
+ | <gallery> | ||
+ | image:mecury_lamp01_006.jpg | 방열핀(fin)이 뚜껑에 닿아 [[방열]]한다. | ||
+ | </gallery> | ||
</ol> | </ol> | ||
− | <li> | + | <li>IC 리드에 납땜으로 기둥을 설치한 후 |
+ | <ol> | ||
+ | <li> [[E5100A]] 네트워크분석기에서 | ||
+ | <ol> | ||
+ | <li>보드1, 앰프(+11dBm까지) | ||
+ | <gallery> | ||
+ | image:e5100a02_009.jpg | 실드캔을 벗기면 | ||
+ | image:e5100a02_010.jpg | [[마이크로-X]] 패키지에 방열판 | ||
+ | </gallery> | ||
+ | </ol> | ||
+ | </ol> | ||
+ | <li>IC 표면에 에폭시 접착제를 발라 | ||
<ol> | <ol> | ||
<li>omniBER에서 | <li>omniBER에서 | ||
194번째 줄: | 528번째 줄: | ||
image:j1409a00_028_030_002.jpg | 방열판 | image:j1409a00_028_030_002.jpg | 방열판 | ||
</gallery> | </gallery> | ||
− | <li> | + | <li> [[Tektronix TDS540]] 오실로스코프, Acquisition 보드에서 |
<gallery> | <gallery> | ||
− | image: | + | image:tds540_05_002.jpg |
− | image: | + | image:tds540_05_011.jpg | 세라믹 PGA 패키지표면에 |
+ | image:tds540_05_012.jpg | ||
</gallery> | </gallery> | ||
− | <li> | + | </ol> |
+ | <li>접착 테이프로 부착 | ||
+ | <ol> | ||
+ | <li> [[8112A]], 50 MHz pulse generator | ||
<gallery> | <gallery> | ||
image:hp8112a_a1_005.jpg | IC 방열 | image:hp8112a_a1_005.jpg | IC 방열 | ||
image:hp8112a_a1_024.jpg | image:hp8112a_a1_024.jpg | ||
image:hp8112a_a1_025.jpg | image:hp8112a_a1_025.jpg | ||
+ | image:asic02_001.jpg | 방열판을 테이프로 부착 | ||
</gallery> | </gallery> | ||
− | <li> [[ | + | </ol> |
+ | <li>히트싱크를 PCB에 꼽아 고정하는 방법 | ||
+ | <ol> | ||
+ | <li> [[Tektronix TDS540]] 오실로스코프, CRT회로에서 | ||
<gallery> | <gallery> | ||
− | image: | + | image:tds540_04_023.jpg | 납땜되는 핀을 방열판에 press-fit하였다. |
− | |||
−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 | <li> | + | </ol> |
+ | </ol> | ||
+ | <li>리드에 용 금속 튜브를 꼽아서 | ||
<ol> | <ol> | ||
− | <li> | + | <li> Kikusui [[AVM13]] decibel meter |
<gallery> | <gallery> | ||
− | image: | + | image:avm13_015.jpg | 47오옴 |
− | image: | + | image:avm13_016.jpg |
− | |||
−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li>검은색 케이스 | <li>검은색 케이스 | ||
<ol> | <ol> | ||
− | <li>HP 3456A DMM에서 | + | <li> HP [[3456A]] DMM에서 |
<gallery> | <gallery> | ||
image:3456a01_011.jpg | image:3456a01_011.jpg | ||
− | image:3456a01_058.jpg | 2중 | + | image:3456a01_058.jpg | 본체 뚜껑도 검정이므로 2중 검정이다.(내부 열을 흡수한다.) |
</gallery> | </gallery> | ||
− | |||
</ol> | </ol> | ||
</ol> | </ol> |
2021년 12월 20일 (월) 20:40 판
방열
- 링크
- 기술
- 방열패드
- 실리콘 재질(?) 구입
- 상품명: FC-Thermal-PAD, 120x120x1.5mm 약 1만원에 구입품
- 상품명: FC-Thermal-PAD, 120x120x1.5mm 약 1만원에 구입품
- - 18p
- Porous Ceramic Heat Sink
- 실리콘 재질(?) 구입
- 열전도(Thermal Conductivity) 측정
- 문서
- - 64p
- - 28p, by Numan Yuksel, http://dx.doi.org/10.5772/64157
- - 11p
- - 16p
- - 204p
- Transient plane source (TPS) method
- 설명
- steady-state technique 방식이다. 30~1200K온도 범위에서 0.005~500W/(mK) 열전도도 범위로 측정할 수 있다.
- hot-strip method라는 방법으로 개발되었다. 이는 Gustafsson probe 또는 hot-disk method 라고도 부른다.
- 가장 큰 장점은 10분 이내로 빨리 측정된다.
- 다양한 크기의 센서를 통해 적절한 시편 크기를 측정한다. 이는 다른 측정 방법에 비해 비교적 작은 시편을 이용할 수 있다.
- 절연된 센서(히터 겸용)는 시편 두 장 사이에 위치한다.
- 그림
- thermal conductivity01 001.jpg
- 측정기
- Hot Disk 회사의 TP-3500, 2500S 계측기, Thermtest 회사 제품 등이 있다.
- ISO 22007-2:2015, Transient plane heat source (hot disc) method
- Hot Disk 회사의 TP-3500, 2500S 계측기, Thermtest 회사 제품 등이 있다.
- 설명
- 문서
- 보명히트싱크산업에서 길이 753 가로세로 200mm @14,400원 x 10개 = 144,000원 구입
- 방열패드
- 방열을 하지 않음.
- 허브
- Ree Net(리넷) RSW500 Super 5 Port Switch, 2003년 1월 출시로 추정
- 조사
- 3포트 연결시 소모전류: 4,5,6,7V에 따라 0.79,0.78,0.77,0.74A, 포트연결시 0.03A 증가함.
- IC와 금속케이스 사이 빈공간은 약 1.3mm
- 사진
- 조사
- Ree Net(리넷) RSW500 Super 5 Port Switch, 2003년 1월 출시로 추정
- 허브
- 바람 구멍
- 깡통 스프링으로 직접 연결
- 본체에 연결
- 열전도(방열판 등과 연결을 위해)
- 실리콘 수지로 열전도
- 1.2V 충전기, ISDT N16 모델에서
방열 실리콘 패드
- 스위칭 레귤레이터
- BXA10-48S05, 48V입력 싱글 5V 출력
리드달린 Stack MLCC
- BXA10-48S05, 48V입력 싱글 5V 출력
- CDE ResMap 178, 스텝 모터 콘트롤러
- omniBER에 있는 광 수신 모듈에서
- 모바일게임기 Zodiac2에서
- 삼성 SM-G5308W 휴대폰에서
- Xiaomi Redmi Note 4X 휴대폰에서
- 비디오카드, ATi Radeon HD3850에서 DRAM과 VRM 방열에 사용한다.
- 비디오카드 NVIDIA, GeForce GTS250에서
- 비디오카드 nVidia GeFORCE 8600GT에서, 부품보드와 냉각판이 서로 맞지 않는 조합
- 삼성 갤럭시 폴더2 SM-G160N에서
- Thecus N8200 SMPS에서
- 알루미늄 방열판 4개에 각각 실리콘 방열 테이프를 붙여 외부 철제 케이스와 접촉된다.
- 알루미늄 방열판 4개에 각각 실리콘 방열 테이프를 붙여 외부 철제 케이스와 접촉된다.
- 1.2V 충전기, ISDT N16 모델에서
- 그라파이트 시트로
- 알 수 없는 검정 테이프
- Palm TX PDA에서
- Palm TX PDA에서
- 금속판
- 실리콘 수지로 열전도
- PCB 동박으로
- thermal via 또는 through hole
- PCB 동박에 fin(지느러미) type heat sink 를 붙여서
- 세라믹
- 히트 싱크 heat sink
- 팬 바로 앞에
- E3649A 파워서플라이
- E3649A 파워서플라이
- 알루미늄 프레임에 연결하는, 전형적인 방열
- 멀리서 Tr을 전선로 연결
- 철판과 같이 납땜하여
- Tektronix TDS540 오실로스코프, CRT 회로에서
- Tektronix TDS540 오실로스코프, CRT 회로에서
- 둥근 캔 방열 방법
- TO-5 방열
- Yokogawa LR4110 펜레코더에 있는 도트매트릭스 프린터에서
방열핀 떼어내면
- fin(지느러미) type heat sink, 제작방법
- 칼로 깍아서 fin을 만든 후 세웠다.
- 모두 구리로
- IBM IntelliStation M Pro 6230 타워형 PC에서
- Dual CPU 냉각
- Dual CPU 냉각
- IBM IntelliStation M Pro 6230 타워형 PC에서
- 구리 코어를 넣어
- 마더보드, ASUSTEK Computer, A7V600, ATX, Socket-A
- 마더보드, ASUSTEK Computer, A7V600, ATX, Socket-A
- 냉각팬 없이 히트싱크 사용
- single board compter - 1에서
- 야마하 RX-V575 리시버앰프에서
- single board compter - 1에서
- fin(지느러미) type heat sink 부착방법
- 전형적인 리니어 레귤레이터 방열
- Kikusui AVM13 decibel meter
- Kikusui AVM13 decibel meter
- 외부 케이스에 닿아 방열
- IC 리드에 납땜으로 기둥을 설치한 후
- IC 표면에 에폭시 접착제를 발라
- omniBER에서
- OmniBER, Multirate Analyzer에서
- Tektronix TDS540 오실로스코프, Acquisition 보드에서
- omniBER에서
- 접착 테이프로 부착
- 8112A, 50 MHz pulse generator
- 8112A, 50 MHz pulse generator
- 히트싱크를 PCB에 꼽아 고정하는 방법
- Tektronix TDS540 오실로스코프, CRT회로에서
- Tektronix TDS540 오실로스코프, CRT회로에서
- 전형적인 리니어 레귤레이터 방열
- 팬 바로 앞에
- 리드에 용 금속 튜브를 꼽아서
- Kikusui AVM13 decibel meter
- Kikusui AVM13 decibel meter
- 검은색 케이스
- HP 3456A DMM에서
- HP 3456A DMM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