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포콤 LHP-1103 RF하이패스 단말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
잔글 |
||
26번째 줄: | 26번째 줄: | ||
image:hipass_rf02_014.jpg | 뒷면 | image:hipass_rf02_014.jpg | 뒷면 | ||
</gallery> | </gallery> | ||
− | <li> | + | <li>디지털 파트 |
<ol> | <ol> | ||
− | <li>ALTERA EPM240T100C5N, CPLD, 0.18um, 240 logic elements | + | <li>ALTERA EPM240T100C5N, [[CPLD]], 0.18um, 240 logic elements, [[ARM 계열 MCU]] Core STM32F103C8T6 Cortex-M3 |
<gallery> | <gallery> | ||
image:hipass_rf02_006.jpg | image:hipass_rf02_006.jpg | ||
</gallery> | </gallery> | ||
+ | </ol> | ||
+ | <li> [[패치 안테나]] | ||
+ | <ol> | ||
<li>안테나 | <li>안테나 | ||
<gallery> | <gallery> | ||
image:hipass_rf02_007.jpg | Patch Antenna with truncated corners | image:hipass_rf02_007.jpg | Patch Antenna with truncated corners | ||
+ | </gallery> | ||
+ | <li> [[동박]]이 두꺼울 때 [[에칭]]단면 | ||
+ | <gallery> | ||
image:hipass_rf02_008.jpg | image:hipass_rf02_008.jpg | ||
image:hipass_rf02_009.jpg | image:hipass_rf02_009.jpg | ||
image:hipass_rf02_010.jpg | image:hipass_rf02_010.jpg | ||
− | image:hipass_rf02_011.jpg | + | image:hipass_rf02_011.jpg |
</gallery> | </gallery> | ||
<li>안테나 측정 | <li>안테나 측정 | ||
54번째 줄: | 60번째 줄: | ||
<li>음성 처리 부분 | <li>음성 처리 부분 | ||
<gallery> | <gallery> | ||
− | image:hipass_rf02_015.jpg | ZemiVox ZM50E80-00SB, Voice Synthesis | + | image:hipass_rf02_015.jpg | ZemiVox ZM50E80-00SB, Voice Synthesis [[오디오 IC]], cFeon F80-100HCP 8-Mbit Serial [[Flash Memory]] |
</gallery> | </gallery> | ||
− | <li>[[ | + | <li> [[카드접점]] |
+ | <ol> | ||
+ | <li>IC와 접점 | ||
<gallery> | <gallery> | ||
image:hipass_rf02_017.jpg | image:hipass_rf02_017.jpg | ||
− | + | </gallery> | |
+ | <li>[[신용카드]]를 꼽았는지를 감지하는 스위치(N.O) | ||
+ | <gallery> | ||
+ | image:hipass_rf02_018.jpg | ||
image:hipass_rf02_019.jpg | image:hipass_rf02_019.jpg | ||
image:hipass_rf02_020.jpg | 매우 얇게, 띠 금 도금됨. | image:hipass_rf02_020.jpg | 매우 얇게, 띠 금 도금됨. | ||
</gallery> | </gallery> | ||
− | <li> | + | </ol> |
+ | <li> [[바리스터]], 7x5mm, 생각보다 무척 큰 제품을 사용함 | ||
<gallery> | <gallery> | ||
image:hipass_rf02_021.jpg | varistor, 7x5mm | image:hipass_rf02_021.jpg | varistor, 7x5mm | ||
image:hipass_rf02_022.jpg | 측정 | image:hipass_rf02_022.jpg | 측정 | ||
</gallery> | </gallery> | ||
− | <li> | + | <li> [[LC필터]] 네트워크 |
<gallery> | <gallery> | ||
− | image:hipass_rf02_023.jpg | RF모듈과 연결되는 | + | image:hipass_rf02_023.jpg | RF모듈과 연결되는 [[FFC]] flexible flat cable에 사용되는 필터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80번째 줄: | 92번째 줄: | ||
image:hipass_rf02_024.jpg | RF 모듈 납땜으로 고정방법 | image:hipass_rf02_024.jpg | RF 모듈 납땜으로 고정방법 | ||
</gallery> | </gallery> | ||
− | <li> | + | <li>[[실드 깡통]]을 벗기면. RFM586-V39A V1.0 |
<gallery> | <gallery> | ||
image:hipass_rf02_025.jpg | image:hipass_rf02_025.jpg | ||
</gallery> | </gallery> | ||
− | <li> | + | <li> [[트랜시버 IC]](?) |
+ | <ol> | ||
+ | <li>한국 에어포인트 AirPoint AP-DOR5800 | ||
<gallery> | <gallery> | ||
image:hipass_rf02_026.jpg | AirPoint AP-DOR5800, 한국 ITS용 RF IC | image:hipass_rf02_026.jpg | AirPoint AP-DOR5800, 한국 ITS용 RF IC | ||
image:hipass_rf02_027.jpg | 패키징 방법 및 납땜 상태 | image:hipass_rf02_027.jpg | 패키징 방법 및 납땜 상태 | ||
− | image:hipass_rf02_028.jpg | | + | image:hipass_rf02_028.jpg | [[방열]]을 위한 납땜 부족인 [[납땜 불량]] |
− | image:hipass_rf02_029.jpg | PHYCHIPS PD5000 | + | </gallery> |
− | image:hipass_rf02_030.jpg | PHYCHIPS | + | <li>다이 사진,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DSRC) and electronic toll collection용 |
+ | <gallery> | ||
+ | image:hipass_rf02_029.jpg | PHYCHIPS(좌하단) PD5000(좌상단) 마킹 | ||
+ | image:hipass_rf02_030.jpg | 대전 파이칩스 PHYCHIPS | ||
image:hipass_rf02_031.jpg | image:hipass_rf02_031.jpg | ||
image:hipass_rf02_032.jpg | image:hipass_rf02_032.jpg | ||
</gallery> | </gallery> | ||
+ | </ol> | ||
<li>RF 경로 | <li>RF 경로 | ||
<gallery> | <gallery> | ||
image:hipass_rf02_041.jpg | 안테나에서 RF-IC까지 경로, switch (Rx: LNA - balun, Tx: PAM) | image:hipass_rf02_041.jpg | 안테나에서 RF-IC까지 경로, switch (Rx: LNA - balun, Tx: PAM) | ||
− | image:hipass_rf02_049.jpg | 두 패키지 패키징 방법, 뜨거워지는 | + | image:hipass_rf02_049.jpg | 두 패키지 패키징 방법, 뜨거워지는 [[RF앰프 모듈]]과 [[RF스위치IC]] 차이 |
</gallery> | </gallery> | ||
− | <li>TCXO - 크리스탈 단품 제조회사 마킹 TE7110, TCXO 회사(인지모바일) 마킹 TD19G | + | <li> [[TCXO]] - 크리스탈 단품 제조회사 마킹 TE7110, TCXO 회사(인지모바일) 마킹 TD19G |
+ | <ol> | ||
+ | <li>2-패키지 적층형 TCXO | ||
<gallery> | <gallery> | ||
image:hipass_rf02_033.jpg | 3.2x2.5mm, 인지모바일, 마킹 TD19G TE7110 | image:hipass_rf02_033.jpg | 3.2x2.5mm, 인지모바일, 마킹 TD19G TE7110 | ||
− | image:hipass_rf02_034.jpg | 열풍기로 해당 제품만 땜납을 녹여 뜯기 위해 | + | image:hipass_rf02_034.jpg | 열풍기로 해당 제품만 땜납을 녹여 뜯기 위해, 주변에 [[캡톤 접착테이프]] 부착 |
− | image:hipass_rf02_035.jpg | + | </gallery> |
− | image:hipass_rf02_036.jpg | | + | <li>위쪽 [[Xtal공진기]]를 뜯어내면, 밑면에 TCXO용 IC가 패키징 되어 있다. |
+ | <gallery> | ||
+ | image:hipass_rf02_035.jpg | 아래쪽 IC는 [[HTCC 캐비티]] 속에 포팅 [[봉지제]]로 패키징하였다. | ||
+ | image:hipass_rf02_036.jpg | IC를 [[플립본딩]]이 아닌 [[와이어본딩]]으로 연결하였다. | ||
+ | </gallery> | ||
+ | <li>TCXO용 프로그래밍되는 IC 분석 | ||
+ | <gallery> | ||
image:hipass_rf02_037.jpg | image:hipass_rf02_037.jpg | ||
image:hipass_rf02_038.jpg | AKM 2007 | image:hipass_rf02_038.jpg | AKM 2007 | ||
110번째 줄: | 136번째 줄: | ||
image:hipass_rf02_040.jpg | image:hipass_rf02_040.jpg | ||
</gallery> | </gallery> | ||
− | <li> | + | </ol> |
+ | <li> [[RF앰프 모듈]] | ||
<ol> | <ol> | ||
− | <li>인두기로 온도를 높인 후 깨뜨리면 | + | <li>인두기로 온도를 높인 후 깨뜨리면, 두 개 다이가 보인다. |
<gallery> | <gallery> | ||
image:hipass_rf02_042.jpg | image:hipass_rf02_042.jpg | ||
118번째 줄: | 145번째 줄: | ||
<li>first stage amp. | <li>first stage amp. | ||
<gallery> | <gallery> | ||
− | image:hipass_rf02_043.jpg | 트랜지스터. 만약 npn이라면 웨이퍼 전체는 n타입으로 collector. 칩 위, 아래 패턴은 다이오드 | + | image:hipass_rf02_043.jpg | [[트랜지스터]]. 만약 npn이라면 웨이퍼 전체는 n타입으로 collector. 칩 위, 아래 패턴은 [[다이오드]] |
image:hipass_rf02_044.jpg | image:hipass_rf02_044.jpg | ||
− | image:hipass_rf02_045.jpg | 다이싱 때, 90도 돌려 두번째 채널 자를 때 칩이 테이프에서 뜨면서 기울어져 발생한 무늬 | + | image:hipass_rf02_045.jpg | [[다이싱]] 때, 90도 돌려 두번째 채널 자를 때 칩이 테이프에서 뜨면서 기울어져 발생한 무늬 |
</gallery> | </gallery> | ||
<li>second stage amp. | <li>second stage amp. | ||
<gallery> | <gallery> | ||
image:hipass_rf02_046.jpg | 2-stage 앰프에서 뒤쪽에 있는, 더 큰 출력이 필요한 Tr | image:hipass_rf02_046.jpg | 2-stage 앰프에서 뒤쪽에 있는, 더 큰 출력이 필요한 Tr | ||
− | image:hipass_rf02_047.jpg | 다이싱 때 1ch 컷 | + | image:hipass_rf02_047.jpg | [[다이싱]] 때 1ch 컷 |
− | image:hipass_rf02_048.jpg | 다이싱 때 90도 돌려 자른 ch2 컷 | + | image:hipass_rf02_048.jpg | [[다이싱]] 때 90도 돌려 자른 ch2 컷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 | <li>SPDT | + | <li> [[RF스위치IC]], Renesas uPG2163T5N, GaAs MMIC SPDT, 5.8GHz Tx/Rx용 |
<gallery> | <gallery> | ||
image:hipass_rf02_050.jpg | image:hipass_rf02_050.jpg | ||
image:hipass_rf02_051.jpg | 중심 위: common, 좌우가 sig1,2, 아래 두 개가 각 sig1,2에 대응하는 gnd, 오른쪽 위가 ctrl. | image:hipass_rf02_051.jpg | 중심 위: common, 좌우가 sig1,2, 아래 두 개가 각 sig1,2에 대응하는 gnd, 오른쪽 위가 ctrl. | ||
− | image:hipass_rf02_052.jpg | 레이저 다이싱 | + | image:hipass_rf02_052.jpg | [[레이저 다이싱]] |
</gallery> | </gallery> | ||
− | <li>LNA | + | <li> [[LNA]] |
<gallery> | <gallery> | ||
image:hipass_rf02_053.jpg | image:hipass_rf02_053.jpg | ||
</gallery> | </gallery> | ||
− | <li>밸룬 1.0x1.0mm | + | <li>구리도금 [[밸룬]] 1.0x1.0mm |
<gallery> | <gallery> | ||
image:hipass_rf02_054.jpg | LNA + balun | image:hipass_rf02_054.jpg | LNA + balun |
2025년 1월 25일 (토) 20:49 기준 최신판
인포콤 LHP-1103 RF하이패스 단말기
- 전자부품
- 하이패스
- RF하이패스 단말기
- 인포콤 LHP-1103 RF하이패스 단말기 - 이 페이지
- RF하이패스 단말기
- 하이패스
- 한국 인포콤(KIC) PASSWAY LHP-1103, 45,000원@2012.06
- DSRC ETCS용 OBU = Dedicated Short-Range Communcation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On Board Unit(차량단말기)
- 외관
- 내부 보드
- 디지털 파트
- ALTERA EPM240T100C5N, CPLD, 0.18um, 240 logic elements, ARM 계열 MCU Core STM32F103C8T6 Cortex-M3
- ALTERA EPM240T100C5N, CPLD, 0.18um, 240 logic elements, ARM 계열 MCU Core STM32F103C8T6 Cortex-M3
- 패치 안테나
- 전원, 오디오, 신용카드 접점 면
- RF 모듈
- 전체
- 실드 깡통을 벗기면. RFM586-V39A V1.0
- 트랜시버 IC(?)
- 한국 에어포인트 AirPoint AP-DOR5800
- 다이 사진,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DSRC) and electronic toll collection용
- 한국 에어포인트 AirPoint AP-DOR5800
- RF 경로
- TCXO - 크리스탈 단품 제조회사 마킹 TE7110, TCXO 회사(인지모바일) 마킹 TD19G
- RF앰프 모듈
- RF스위치IC, Renesas uPG2163T5N, GaAs MMIC SPDT, 5.8GHz Tx/Rx용
- LNA
- 구리도금 밸룬 1.0x1.0mm
- 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