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더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
잔글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li>연결 | <li>연결 | ||
<ol> | <ol> | ||
− | <li> [[솔더링]] | + | <li> [[솔더링]] - 이 페이지 |
+ | <li> [[납땜]] - 이 페이지 | ||
<ol> | <ol> | ||
+ | <li>참조 | ||
+ | <ol> | ||
+ | <li> [[SMT]] | ||
+ | </ol> | ||
<li>기술 | <li>기술 | ||
<ol> | <ol> | ||
<li> [[웨이브 솔더링]] | <li> [[웨이브 솔더링]] | ||
+ | <li> [[HAL;열풍 레벨링]] | ||
<li> [[도전성 접착제로 연결]] | <li> [[도전성 접착제로 연결]] | ||
<li> [[납땜 수정]] | <li> [[납땜 수정]] | ||
41번째 줄: | 47번째 줄: | ||
<li> [[동박 설계]] | <li> [[동박 설계]] | ||
</ol> | </ol> | ||
+ | </ol> | ||
+ | <li>참고 | ||
+ | <ol> | ||
+ | <li> [[솔더링]] | ||
+ | <li> [[브레이징]] | ||
+ | <li> [[용접]] | ||
</ol> | </ol> | ||
</ol> | </ol> | ||
<li>솔더링 방법 | <li>솔더링 방법 | ||
<ol> | <ol> | ||
− | <li> | + | <li>Hand 솔더링 |
<ol> | <ol> | ||
<li> | <li> | ||
72번째 줄: | 84번째 줄: | ||
</ol> | </ol> | ||
</ol> | </ol> | ||
− | <li> | + | <li>손납땜(hand soldering)인듯 |
<ol> | <ol> | ||
− | <li>창민 [[SR2000]] | + | <li>창민 [[창민 SR2000 면저항측정기]] |
<gallery> | <gallery> | ||
image:4pp2_018.jpg | image:4pp2_018.jpg | ||
80번째 줄: | 92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 | <li> | + | <li> [[SM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SMT 리플로우 납땜 후, 리드부품 수작업 납땜 | <li>SMT 리플로우 납땜 후, 리드부품 수작업 납땜 | ||
<ol> | <ol> | ||
<li>보호코팅 후, 수작업 납땜하기 위해 마스킹 테이프를 떼어내고 | <li>보호코팅 후, 수작업 납땜하기 위해 마스킹 테이프를 떼어내고 | ||
<ol> | <ol> | ||
− | <li> [[Kikusui TOS9000]] | + | <li> [[Kikusui TOS9000 내전압계]] |
<gallery> | <gallery> | ||
image:tos9000_002_009.jpg | PCB 리플로우 납땜 후, 수분방지(?) 보호코팅 한 후, 이 두 납땜부위만 보호테이프를 뜯어(?) 오픈하여 수작업 납땜함. 그리고 단자에 실리콘 풀칠 | image:tos9000_002_009.jpg | PCB 리플로우 납땜 후, 수분방지(?) 보호코팅 한 후, 이 두 납땜부위만 보호테이프를 뜯어(?) 오픈하여 수작업 납땜함. 그리고 단자에 실리콘 풀칠 | ||
184번째 줄: | 131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 | </ol> | ||
+ | <li>밀봉 | ||
+ | <ol> | ||
+ | <li> [[AC전원용 노이즈필터 단품]] | ||
+ | <gallery> | ||
+ | image:6675a01_032.jpg | corcom, F3804A, 20A | ||
+ | image:6675a01_032_001.jpg | [[실드 깡통]]을 위한 [[납땜]] 밀봉 | ||
+ | image:6675a01_032_002.jpg | 뚜껑을 벗기면, 내부는 아스팔트로 채웠다. | ||
+ | </gallery> | ||
</ol> | </ol> | ||
</ol> | </ol> | ||
200번째 줄: | 156번째 줄: | ||
image:power_supply2_004.jpg | image:power_supply2_004.jpg | ||
image:power_supply2_005.jpg | image:power_supply2_005.jpg | ||
− | image:power_supply2_006.jpg | 포토커플러를 위해 220V를 | + | image:power_supply2_006.jpg | 포토커플러를 위해 220V를 수십kΩ 저항거쳐서 공급하기 때문에, 해당 저항이 뜨거워짐 |
</gallery> | </gallery> | ||
<li> [[납땜용 중공 리벳]] | <li> [[납땜용 중공 리벳]] | ||
</ol> | </ol> | ||
</ol> | </ol> |
2025년 2월 4일 (화) 20:08 판
솔더링, 납땜
- 전자부품
- 솔더링 방법
- Hand 솔더링
- Dip 솔더링
- Wave 솔더링 (=flow soldering)
- Reflow 솔더링
- 선택 솔더링(Selective Soldering)
- 2023 한국전자제조산업전(EMK), UnoTech 유노테크, 영국 Pillarhouse International, Jade S200 MK2 Selective Soldering 선택 납땜
- 2023 한국전자제조산업전(EMK), UnoTech 유노테크, 영국 Pillarhouse International, Jade S200 MK2 Selective Soldering 선택 납땜
- Hand 솔더링
- 손납땜(hand soldering)인듯
- SMT
- SMT 리플로우 납땜 후, 리드부품 수작업 납땜
- 보호코팅 후, 수작업 납땜하기 위해 마스킹 테이프를 떼어내고
- 나사 연결을 위한 동박용 납땜 패턴
- WCH730B, 삼성 스마트 TV용 WiFi/BT 모듈에서
- WCH730B, 삼성 스마트 TV용 WiFi/BT 모듈에서
- 두꺼운 금속끼리 접합
- PCB와 연결하기 위해
- 2015년 12월 제조, 노트북 Lenovo ideapad 700-15isk , 배터리 팩 보호회로에서. 니켈 포일을 PCB와 바로 납땜해서 연결할 수 없어서. 납땜하면 TCO퓨즈가 끊어질 수 있다.
- 2015년 12월 제조, 노트북 Lenovo ideapad 700-15isk , 배터리 팩 보호회로에서. 니켈 포일을 PCB와 바로 납땜해서 연결할 수 없어서. 납땜하면 TCO퓨즈가 끊어질 수 있다.
- 금속판과 금속판
- 2020년 05월 출시 노트북, MS Surface Book 3에서
- 구리방열판과 나사가 걸리는 스테인리스과의 접합.(왜 스테인리스판을 사용할까? 변형에 따른 스트레스를 흡수하기 위해서 일듯)
납땜으로 접합하였다.
- 구리방열판과 나사가 걸리는 스테인리스과의 접합.(왜 스테인리스판을 사용할까? 변형에 따른 스트레스를 흡수하기 위해서 일듯)
- 2020년 05월 출시 노트북, MS Surface Book 3에서
- 밀봉
- PCB와 연결하기 위해
- 뜨거워지는 곳에서는
- 기술
- 주로 단면 PCB에서
- 열이 나 뜨거워지는 부품, 무거운 부품, 흔들리는 부품을 고정시키기 위해 PCB 홀에 리벳을 꼽고 납땜한다.
- 납땜 부위가 오랫동안 뜨거워져 떨어짐
- 납땜용 중공 리벳
-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