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5GHz ISM밴드용 안테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Togotech님이 BT 안테나 문서를 2.45GHz ISM밴드용 안테나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잔글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2.45GHz ISM밴드용 안테나]] | + | 2.45GHz ISM밴드용 안테나 |
+ | <ol> | ||
+ | <li> [[전자부품]] | ||
+ | <ol> | ||
+ | <li> [[안테나]] | ||
+ | <ol> | ||
+ | <li> [[2.45GHz ISM밴드용 안테나]] - 이 페이지 | ||
+ | <li> [[WiFi 안테나]] - 이 페이지 | ||
+ | <li> [[BT 안테나]] - 이 페이지 | ||
+ | </ol> | ||
+ | <li>참조 | ||
+ | <ol> | ||
+ | <li> [[노트북 안테나]] | ||
+ | <li> [[모노폴 안테나]] | ||
+ | <li> [[러버덕 안테나]] , [[동축 안테나]] | ||
+ | <li> [[PIFA]] 안테나 | ||
+ | </ol> | ||
+ | <li>참고 | ||
+ | <ol> | ||
+ | <li> [[WiFi모듈]] | ||
+ | <li> [[BT모듈]] | ||
+ | </ol> | ||
+ | <li>참고 | ||
+ | <ol> | ||
+ | <li> [[무선 마우스]] | ||
+ | </ol> | ||
+ | </ol> | ||
+ | <li>기술자료 | ||
+ | <ol> | ||
+ | <li>ISM 밴드 2.400~2.500GHz 100MHz 대역내에서 운용된다. 중심주파수는 2.45GHz 이다. | ||
+ | <ol> | ||
+ | <li>ISM 5.725~5.875GHz 150MHz 대역폭, 중심주파수는 5.8GHz 이다. | ||
+ | </ol> | ||
+ | <li>BT 주파수 | ||
+ | <ol> | ||
+ | <li>2.402~2.480GHz (가드 guard band -2M +3.5M 포함하면 2.400~2.4835GHz이다.) | ||
+ | <li>1MHz 대역폭으로 총 80개 채널로 나누고 1초에 1600번 변경하면서 통신한다. 적응형 호핑방식 | ||
+ | </ol> | ||
+ | <li>WiFi 주파수 | ||
+ | <ol> | ||
+ | <li>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WLAN_channels | ||
+ | <li>2.4GHz 주파수대역 | ||
+ | <ol> | ||
+ | <li>시작주파수~끝주파수: 2401~2495MHz | ||
+ | <li>중심주파수 채널1 2.412 GHz, ..., 채널13 2.472 GHz, 채널14 2.484 GHz | ||
+ | <ol> | ||
+ | <li>채널1~채널14의 중심주파수 = (2.412+2.484)/2=2.448, 대역폭(2.484-2.412)=72MHz+22MHz = 94MHz(=2495-2401) | ||
+ | <li>채널1~채널13의 중심주파수 = (2.412+2.472)/2=2.442 | ||
+ | <li>일본에서는 채널 14 사용 | ||
+ | <li>한국은 채널1~13번 사용 | ||
+ | <li>미국은 채널1~11번까지만 사용. 그러므로 채널 6이 중심 채널로 2.437GHz가 중심주파수 | ||
+ | </ol> | ||
+ | <li>채널간격: 5MHz | ||
+ | <li>채널당 폭: 22MHz | ||
+ | <li>채널1, 6, 11 사용하면 채널 대역폭 22MHz가 서로 겹치지 않는 유일한 3개 채널이 됨. (cross-channel interference가 없다.) | ||
+ | </ol> | ||
+ | <li>2.4GHz 파장은 12,5cm | ||
+ | <li>5GHz 주파수대역 | ||
+ | <ol> | ||
+ | <li>5150MHz~5835MHz | ||
+ | </ol> | ||
+ | </ol> | ||
+ | <li>802.11 종류 | ||
+ | <ol> | ||
+ | <li>802.11ac | ||
+ | <ol> | ||
+ | <li>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IEEE_802.11ac-2013 | ||
+ | <ol> | ||
+ | <li>5GHz 최대 1.1Gbit/s | ||
+ | </ol> | ||
+ | </ol> | ||
+ | <li>802.11b | ||
+ | <ol> | ||
+ | <li>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IEEE_802.11b-1999 | ||
+ | <ol> | ||
+ | <li>2.4GHz 11Mbps | ||
+ | </ol> | ||
+ | </ol> | ||
+ | <li>802.11g | ||
+ | <ol> | ||
+ | <li>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IEEE_802.11g-2003 | ||
+ | <li>54Mb/s | ||
+ | </ol> | ||
+ | <li>802.11n | ||
+ | <ol> | ||
+ | <li>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IEEE_802.11n-2009 | ||
+ | <ol> | ||
+ | <li>2.4GHz(802.11g) 또는 5GHz(802.11a) 를 사용할 수 있는 MIMO 구조와 대역폭을 넓히는 향상된 물리적 기술을 적용했다. | ||
+ | </ol> | ||
+ | </ol> | ||
+ | </ol> | ||
+ | <li> | ||
+ | <ol> | ||
+ | <li>3dBi | ||
+ | <li>3dBi+ | ||
+ | <li>dipole을 사용한 Yagi. 끝단을 쇼트시킨 Coaxial Cable "Balun" Transformer (45.3 mm long)을 사용한다. | ||
+ | <li>half-wave dipole을 사용한 Yagi. | ||
+ | <li>5dBi : 중간에 코일형태 | ||
+ | <li>roof mounted antenna: 자동차 지붕에 올려놓기 때문에, 지붕 전체를 mirror로 사용한다. | ||
+ | <li>5~9dBi+ : dipole array | ||
+ | <li>6dBi : array | ||
+ | <li>9dBi : array | ||
+ | <li>15dBi : 5dBi를 포물선 반사경에 위치 | ||
+ | <li>0.5dBi: chip | ||
+ | </ol> | ||
+ | </ol> | ||
+ | <li> [[레이저 직접 구조화]] | ||
+ | <ol> | ||
+ | <li>2019.10 출시된 [[애플 AirPods Pro]] | ||
+ | <gallery> | ||
+ | image:bt_earbuds04_010.jpg | 안테나 신호쪽 패턴 | ||
+ | image:bt_earbuds04_013.jpg | 사진에서 보이는 면이 안테나 접지면이다. 보이지 않는 반대편에 안테나 신호패턴이 있다. | ||
+ | </gallery> | ||
+ | </ol> | ||
+ | <li>철판 프레스로 만든, 구조는 대부분 [[PIFA]] 안테나 | ||
+ | <ol> | ||
+ | <li>가전기기, USB 포트 연결 제품에서 | ||
+ | <ol> | ||
+ | <li>LG 이노텍, LGSBWAC72 | ||
+ | <gallery> | ||
+ | image:lgsbwac72_002.jpg | ||
+ | image:lgsbwac72_003.jpg | ||
+ | image:lgsbwac72_002_001.jpg | ||
+ | </gallery> | ||
+ | <li>WCH730B, 삼성 스마트 TV용 WiFi/BT 모듈 | ||
+ | <gallery> | ||
+ | image:sec_wch730b_002.jpg | ||
+ | image:sec_wch730b_005.jpg | ||
+ | image:sec_wch730b_007.jpg | ||
+ | </gallery> | ||
+ | </ol> | ||
+ | <li>IT 통신기기에서 | ||
+ | <ol> | ||
+ | <li>2010년 7월 출시 [[PCi MZK-MF300N 무선 공유기]]에서 | ||
+ | <gallery> | ||
+ | image:router04_013.jpg | 충분히 두께가 높은 두 안테나가 직각으로 설치됨. | ||
+ | </gallery> | ||
+ | </ol> | ||
+ | <li>휴대폰에서 | ||
+ | <ol> | ||
+ | <li>휴대폰 모델명 알 수 없음. | ||
+ | <gallery> | ||
+ | image:wifi_ant03_001.jpg | 와이파이용으로 추정함. 철판 프레스 | ||
+ | </gallery> | ||
+ | <li>2008.04 출시 Motorola [[Z8m]] 슬라이드 피처폰 | ||
+ | <gallery> | ||
+ | image:z8m01_039.jpg | [[WiFi 안테나]]와 같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BT 안테나 | ||
+ | </gallery> | ||
+ | </ol> | ||
+ | <li>(구형)이동기기에서 | ||
+ | <ol> | ||
+ | <li>Zodiac2 [[모바일게임기]]에서 BT전용용 [[WiFi 안테나]] 안테나 | ||
+ | <gallery> | ||
+ | image:zodiac2_011.jpg | ||
+ | image:zodiac2_012.jpg | ||
+ | </gallery> | ||
+ | <li> [[PalmOne Zire72]] PDA에서 BT전용 | ||
+ | <gallery> | ||
+ | image:palm_zire72_016.jpg | BT 안테나, [[WiFi 안테나]] | ||
+ | </gallery> | ||
+ | <li> [[와이브로]], EV-WM200 모델에서 | ||
+ | <gallery> | ||
+ | image:ev_wm200_016.jpg | 철판을 접어 | ||
+ | </gallery> | ||
+ | </ol> | ||
+ | </ol> | ||
+ | <li>Rigid-PCB 메인보드에서, 구조는 대부분 [[PIFA]] 안테나 | ||
+ | <ol> | ||
+ | <li> [[Tescom TC-5910DP 실드 박스]] | ||
+ | <gallery> | ||
+ | image:box_shield02_007.jpg | WiFi 모듈을 고정시키고 있다. 측정용 [[WiFi 안테나]]와 마주하고 있다. | ||
+ | </gallery> | ||
+ | <li>가전기기, USB 포트 연결 제품에서 | ||
+ | <ol> | ||
+ | <li>LG 이노텍, LGSBW41 | ||
+ | <gallery> | ||
+ | image:lgsbw41_001.jpg | Broadcom BCM43242KFFBG, IEEE 802.11 a/b/g/n, 2x2 | ||
+ | image:lgsbw41_002.jpg | ||
+ | image:lgsbw41_003.jpg | 3가지 안테나 구조 | ||
+ | image:lgsbw41_005.jpg | LPF | ||
+ | image:lgsbw41_011.jpg | ||
+ | image:lgsbw41_012.jpg | ||
+ | </gallery> | ||
+ | <li>LG 이노텍, LGSBWAC72 | ||
+ | <gallery> | ||
+ | image:lgsbwac72_002.jpg | ||
+ | image:lgsbwac72_003.jpg | ||
+ | </gallery> | ||
+ | <li>삼성전자 WLM100A, 1EEE 802.11b/g/n 1x1(1T1R) USB 2.0 module, Ralink RT5370 사용 | ||
+ | <gallery> | ||
+ | image:wlm100a_004.jpg | ||
+ | image:wlm100a_003.jpg | 안테나 방향성 향상을 위해, 마지막 길이에서 PCB 두께만큼 높이 부여(?) | ||
+ | image:wlm100a_001.jpg | ||
+ | image:wlm100a_002.jpg | ||
+ | </gallery> | ||
+ | <li>삼성전자 WIBT40A, TV에 BT전용(?) 사용 | ||
+ | <gallery> | ||
+ | image:sec_wibt40a_002.jpg | ||
+ | image:sec_wibt40a_003.jpg | BCM20705 | ||
+ | </gallery> | ||
+ | <li>모듈 모델명 SPW-B4319S, [[삼성 SL-C460W 컬러레이저 복합기]]에서 | ||
+ | <ol> | ||
+ | <li>SDIO(Secure Digital Input Output) 인터페이스 제품에서, [[프랙탈 안테나]] | ||
+ | <ol> | ||
+ | <li>프린터에서, 802.11b/g/n 2412~2462MHz 20MHz BW WLAN 모듈을 사용한다. | ||
+ | <gallery> | ||
+ | image:wifi_ant1_000.jpg | 뒷쪽 초록색 PCB 모듈 | ||
+ | </gallery> | ||
+ | <li>1 Tx and 1 Rx(1T1R, 1x1, SISO) Antenna | ||
+ | <gallery> | ||
+ | image:wifi_ant1_001.jpg | 앞 | ||
+ | image:wifi_ant1_003.jpg | 뒤 | ||
+ | image:wifi_ant1_002.jpg | Tx용, Rx용 두 개 겹치니 동일 | ||
+ | </gallery> | ||
+ | </ol> | ||
+ | </ol> | ||
+ | </ol> | ||
+ | <li>무선키보드,마우스 등에서 | ||
+ | <ol> | ||
+ | <li>2018.06 출시한 샤오미 [[미밴드3]] | ||
+ | <gallery> | ||
+ | image:mi_band3_009.jpg | 끝에서 비아를 통해 뒤면 안테나 패턴과 연결된다. | ||
+ | image:mi_band3_009_001.jpg | 2.4GHz용 안테나 길이에 맞게 가장자리를 타고 반원을 그리고 있다. | ||
+ | </gallery> | ||
+ | <li>Logitech K270(fullsize) 무선키보드 BT전용 | ||
+ | <ol> | ||
+ | <li>Nordic Semiconductor, nRF24LE1H, Ultra-low Power 2.4GHz Wireless System On-Chip | ||
+ | <gallery> | ||
+ | image:keyboard04_010.jpg | ||
+ | image:keyboard04_011.jpg | [[안테나]] 길이 17(단위 모름)표시 | ||
+ | </gallery> | ||
+ | </ol> | ||
+ | <li> [[무선 마우스]] BT전용 | ||
+ | <ol> | ||
+ | <li> [[데이비드테크 엔보우 NG01 무선 마우스]] | ||
+ | <gallery> | ||
+ | image:wireless_mouse06_005.jpg | [[2.45GHz ISM밴드용 안테나]]가 있는 2.4GHz 통신모듈 | ||
+ | </gallery> | ||
+ | <li>Samsung AA-SM7PWR, 2.4GHz, 동글에서 | ||
+ | <gallery> | ||
+ | image:wireless_mouse1_002.jpg | ||
+ | image:wireless_mouse1_003.jpg | [[미앤더 안테나]] | ||
+ | </gallery> | ||
+ | <li>Logitech M185, P/N 810-003521, 김명기 투고기술 데스크탑에서 사용하는 | ||
+ | <gallery> | ||
+ | image:wireless_mouse02_010.jpg | bended monopole antenna [[모노폴 안테나]] | ||
+ | </gallery> | ||
+ | <li>Logitech M185, P/N 810-005232, 2020/12/22 페친이 분해용으로 기증함 | ||
+ | <gallery> | ||
+ | image:wireless_mouse04_010.jpg | Nordic Semiconductor nRF31502와 2.4GHz 안테나 | ||
+ | </gallery> | ||
+ | <li>Microsoft Corporation Wireless Mouse 1452, 투고기술 삼성노트북에 사용중 | ||
+ | <gallery> | ||
+ | image:wireless_mouse03_007.jpg | 마이크로 버튼스위치 및 안테나 | ||
+ | image:wireless_mouse03_016.jpg | Nordic Semiconductor, nRF 24LE1, Ultra-low Power Wireless System On-Chip Solution, 2.4GHz | ||
+ | </gallery> | ||
+ | <li>AliExpress, 2024/01/11 1,800원 구입품, 모델 C에서 | ||
+ | <gallery> | ||
+ | image:wireless_mouse09_007.jpg | [[2.45GHz ISM밴드용 안테나]] | ||
+ | </gallery> | ||
+ | </ol> | ||
+ | <li> Sony PS용 Wireless Controller [[SIXAXIS]] , [[BT모듈]] , Alps 413A 15x12mm 에서 | ||
+ | <gallery> | ||
+ | image:dualshock3_015.jpg | [[BT 안테나]], TI B029A 배터리 IC | ||
+ | </gallery> | ||
+ | </ol> | ||
+ | <li> [[캐논 셀피 CP900 포토프린터]] | ||
+ | <gallery> | ||
+ | image:cp900_009.jpg | ALPS ZE-5P1A [[WiFi모듈]] 및 [[2.45GHz ISM밴드용 안테나]] | ||
+ | </gallery> | ||
+ | <li>IT 통신기기에서 | ||
+ | <ol> | ||
+ | <li> [[PCMCIA WiFi 카드]] | ||
+ | <gallery> | ||
+ | image:wlan_pcmcia02_006.jpg | ||
+ | image:wlan_pcmcia02_011.jpg | ||
+ | </gallery> | ||
+ | <li>2009년 4월 출시 [[D-Link DIR-600 유무선 공유기]] | ||
+ | <gallery> | ||
+ | image:dir600_005.jpg | [[WiFi 안테나]] | ||
+ | image:dir600_006.jpg | ||
+ | </gallery> | ||
+ | </ol> | ||
+ | <li>참고: 1.7GHz DECT에서도 | ||
+ | <ol> | ||
+ | <li> [[1.7GHz DECT 맥슨 MDC-2670S]] 무선전화기에서 | ||
+ | <gallery> | ||
+ | image:mdc_2670s_008.jpg | [[PIFA]] 구조를 갖는 안테나 | ||
+ | </gallery> | ||
+ | </ol> | ||
+ | </ol> | ||
+ | <li>Rigid-PCB 단품 안테나를 덧붙여, 두께를 높여서 감도를 더 높인 3차원 구조로 | ||
+ | <ol> | ||
+ | <li>2007년 팬택&큐리텔 스위블 피처폰 [[canU701D]] | ||
+ | <gallery> | ||
+ | image:canu701d_007.jpg | KIN-BT-TK03 Rev.1R | ||
+ | </gallery> | ||
+ | <li> [[Palm TX]] PDA에서 BT전용 | ||
+ | <gallery> | ||
+ | image:palm_tx_007.jpg | SyChip 6064, WiFi module, gigaAnt A5839(2005년 Antenova가 인수함. Rufa series) | ||
+ | image:palm_tx_008.jpg | WiFi antenna(A6162.A) BT antenna(A5839) | ||
+ | </gallery> | ||
+ | </ol> | ||
+ | <li>철사를 붙여서 높이를 높였다. | ||
+ | <ol> | ||
+ | <li> [[2.4GHz 모토로라 SC250A 무선전화기]] | ||
+ | <gallery> | ||
+ | image:sc250a01_005.jpg | ||
+ | image:sc250a01_008.jpg | ||
+ | </gallery> | ||
+ | </ol> | ||
+ | <li>Rigid-PCB 단품 안테나를 동축케이블로 연결하여 | ||
+ | <ol> | ||
+ | <li> | ||
+ | <ol> | ||
+ | <li>PCB 단면 패턴이므로 앞뒤를 제외한 좌우, 상하 방향으로는 거의 방사되지 않는다. MBNS 는 포켓 WiFi 안테나에서도 검색됨 | ||
+ | <gallery> | ||
+ | image:if_s1100_007.jpg | MPWD-I3-CB Rev 01, MBNS 190831 | ||
+ | image:if_s1100_008.jpg | 이 상태에서 S11 측정하니, 해당 두 주파수 대역에서 뚜렷한 매칭 파형이 안나타남. | ||
+ | image:if_s1100_009.jpg | ||
+ | </gallery> | ||
+ | </ol> | ||
+ | <li> [[YF-006G 안드로이드 태블릿]] | ||
+ | <ol> | ||
+ | <li>외형 | ||
+ | <gallery> | ||
+ | image:tablet_c01_008.jpg | ||
+ | image:tablet_c01_009.jpg | ||
+ | </gallery> | ||
+ | <li>측정 | ||
+ | <gallery> | ||
+ | image:tablet_c01_010.jpg | ||
+ | </gallery> | ||
+ | <li>안테나만 공기중에 | ||
+ | <gallery> | ||
+ | image:tablet_c01_011.jpg | ||
+ | image:tablet_c01_012.png | ||
+ | </gallery> | ||
+ | <li>뒷면 수지판에 부착 | ||
+ | <gallery> | ||
+ | image:tablet_c01_013.jpg | ||
+ | image:tablet_c01_014.png | ||
+ | </gallery> | ||
+ | <li>LCD 모니터 세트에서 - LCD 금속판이 안테나와 가까운 근처에 존재할 때 | ||
+ | <gallery> | ||
+ | image:tablet_c01_015.jpg | ||
+ | image:tablet_c01_016.png | ||
+ | </gallery> | ||
+ | <li>3가지 경우 안테나 반사특성 비교, 주파수 특성 측정 엑셀 파일 | ||
+ | <gallery> | ||
+ | image:tablet_c01_017.png | ||
+ | </gallery> | ||
+ | </ol> | ||
+ | </ol> | ||
+ | <li>F-PCB 패턴으로 만들어 붙여서 | ||
+ | <ol> | ||
+ | <li> [[Palm TX]] PDA에서 | ||
+ | <gallery> | ||
+ | image:palm_tx_008.jpg | WiFi antenna(A6162.A) BT antenna(A5839) | ||
+ | </gallery> | ||
+ | <li>iPad에서 | ||
+ | <ol> | ||
+ | <li>주파수 특성 | ||
+ | </ol> | ||
+ | <li> [[iPad A1219]], [[태블릿 컴퓨터]]에서 | ||
+ | <gallery> | ||
+ | image:a1219_005.jpg | ||
+ | image:a1219_006.jpg | 노랑 화살표는 확실한 접지 | ||
+ | image:a1219_007.jpg | 빨강 화살표끼리, 파랑 화살표끼리 서로 접지를 위해 만난다. | ||
+ | </gallery> | ||
+ | <li>2010.07 출시 삼성 [[GT-B7722]] 피처폰 | ||
+ | <gallery> | ||
+ | image:gt_b7722_004.jpg | 파트론 제조 | ||
+ | </gallery> | ||
+ | <li>2010년 출시된 [[iPad A1337]], [[태블릿 컴퓨터]]에서 | ||
+ | <ol> | ||
+ | <li>위치 | ||
+ | <gallery> | ||
+ | image:a1337_022.jpg | ||
+ | </gallery> | ||
+ | <li>상태 1,2,3,4 | ||
+ | <gallery> | ||
+ | image:a1337_023.jpg | ||
+ | image:a1337_024.jpg | ||
+ | image:a1337_025.jpg | ||
+ | image:a1337_026.jpg | ||
+ | </gallery> | ||
+ | <li>상태 1,2,3,4에 따른 주파수특성 | ||
+ | <gallery> | ||
+ | image:a1337_028.png | 상태1 | ||
+ | image:a1337_029.png | 상태2 | ||
+ | image:a1337_030.png | 상태3 | ||
+ | image:a1337_031.png | 상태4 | ||
+ | image:a1337_032.png | ||
+ | image:a1337_033.png | ||
+ | </gallery> | ||
+ | <li>안테나 패턴 | ||
+ | <gallery> | ||
+ | image:a1337_027.jpg | ||
+ | </gallery> | ||
+ | <li>로고 플라스틱을 뜯어냄 | ||
+ | <gallery> | ||
+ | image:a1337_045.jpg | ||
+ | </gallery> | ||
+ | </ol> | ||
+ | <li>2011.02 출시 삼성 와이즈 [[SHW-A240S]] 폴더 피처폰 | ||
+ | <ol> | ||
+ | <li>파트론에서 제작한, BT 전용 안테나([[F-PCB]]로 만들어 접착테이프로 붙이는)가 폴더 힌지 근처에 있다. | ||
+ | <gallery> | ||
+ | image:shw_a240s_003.jpg | ||
+ | image:shw_a240s_003_001.jpg | A24140G, Ver3.1 | ||
+ | image:shw_a240s_003_002.jpg | 뒷면, 동박 | ||
+ | </gallery> | ||
+ | </ol> | ||
+ | <li>2012.09 출시 삼성 [[갤럭시 노트2]] 스마트폰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37.jpg | 왼쪽은 [[레이저 직접 구조화]] 기법으로 만든 WiFi용, 오른쪽이 [[GPS 안테나]] | ||
+ | </gallery> | ||
+ | </ol> | ||
+ | <li>세라믹 [[칩 안테나]] 2.4GHz BT/WiFi 용 | ||
+ | <ol> | ||
+ | <li>LG전자 모듈에서 | ||
+ | <gallery> | ||
+ | image:bt01_001.jpg | ||
+ | image:bt01_002.jpg | ||
+ | </gallery> | ||
+ | <li>2010.08 출시, 팬택, SKY 골드루키 [[IM-U660K]] 피처폰 | ||
+ | <gallery> | ||
+ | image:im_u660k_005.jpg | [[칩 안테나]] | ||
+ | </gallery> | ||
+ | </ol> | ||
+ | <li>실외 안테나 | ||
+ | <ol> | ||
+ | <li> [[경기 관광]], 여주 이포보에서 | ||
+ | <gallery> | ||
+ | image:ipobo2022_007.jpg | 부러진 [[피뢰침]], firetide [[WiFi 안테나]] | ||
+ | </gallery> | ||
+ | </ol> | ||
+ | </ol> |
2025년 2월 17일 (월) 23:32 판
2.45GHz ISM밴드용 안테나
- 전자부품
- 기술자료
- ISM 밴드 2.400~2.500GHz 100MHz 대역내에서 운용된다. 중심주파수는 2.45GHz 이다.
- ISM 5.725~5.875GHz 150MHz 대역폭, 중심주파수는 5.8GHz 이다.
- BT 주파수
- 2.402~2.480GHz (가드 guard band -2M +3.5M 포함하면 2.400~2.4835GHz이다.)
- 1MHz 대역폭으로 총 80개 채널로 나누고 1초에 1600번 변경하면서 통신한다. 적응형 호핑방식
- WiFi 주파수
- 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WLAN_channels
- 2.4GHz 주파수대역
- 시작주파수~끝주파수: 2401~2495MHz
- 중심주파수 채널1 2.412 GHz, ..., 채널13 2.472 GHz, 채널14 2.484 GHz
- 채널1~채널14의 중심주파수 = (2.412+2.484)/2=2.448, 대역폭(2.484-2.412)=72MHz+22MHz = 94MHz(=2495-2401)
- 채널1~채널13의 중심주파수 = (2.412+2.472)/2=2.442
- 일본에서는 채널 14 사용
- 한국은 채널1~13번 사용
- 미국은 채널1~11번까지만 사용. 그러므로 채널 6이 중심 채널로 2.437GHz가 중심주파수
- 채널간격: 5MHz
- 채널당 폭: 22MHz
- 채널1, 6, 11 사용하면 채널 대역폭 22MHz가 서로 겹치지 않는 유일한 3개 채널이 됨. (cross-channel interference가 없다.)
- 2.4GHz 파장은 12,5cm
- 5GHz 주파수대역
- 5150MHz~5835MHz
- 802.11 종류
- 802.11ac
- 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IEEE_802.11ac-2013
- 5GHz 최대 1.1Gbit/s
- 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IEEE_802.11ac-2013
- 802.11b
- 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IEEE_802.11b-1999
- 2.4GHz 11Mbps
- 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IEEE_802.11b-1999
- 802.11g
- 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IEEE_802.11g-2003
- 54Mb/s
- 802.11n
- 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IEEE_802.11n-2009
- 2.4GHz(802.11g) 또는 5GHz(802.11a) 를 사용할 수 있는 MIMO 구조와 대역폭을 넓히는 향상된 물리적 기술을 적용했다.
- 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IEEE_802.11n-2009
- 802.11ac
-
- 3dBi
- 3dBi+
- dipole을 사용한 Yagi. 끝단을 쇼트시킨 Coaxial Cable "Balun" Transformer (45.3 mm long)을 사용한다.
- half-wave dipole을 사용한 Yagi.
- 5dBi : 중간에 코일형태
- roof mounted antenna: 자동차 지붕에 올려놓기 때문에, 지붕 전체를 mirror로 사용한다.
- 5~9dBi+ : dipole array
- 6dBi : array
- 9dBi : array
- 15dBi : 5dBi를 포물선 반사경에 위치
- 0.5dBi: chip
- ISM 밴드 2.400~2.500GHz 100MHz 대역내에서 운용된다. 중심주파수는 2.45GHz 이다.
- 레이저 직접 구조화
- 2019.10 출시된 애플 AirPods Pro
- 2019.10 출시된 애플 AirPods Pro
- 철판 프레스로 만든, 구조는 대부분 PIFA 안테나
- 가전기기, USB 포트 연결 제품에서
- LG 이노텍, LGSBWAC72
- WCH730B, 삼성 스마트 TV용 WiFi/BT 모듈
- LG 이노텍, LGSBWAC72
- IT 통신기기에서
- 2010년 7월 출시 PCi MZK-MF300N 무선 공유기에서
- 2010년 7월 출시 PCi MZK-MF300N 무선 공유기에서
- 휴대폰에서
- (구형)이동기기에서
- Zodiac2 모바일게임기에서 BT전용용 WiFi 안테나 안테나
- PalmOne Zire72 PDA에서 BT전용
BT 안테나, WiFi 안테나
- 와이브로, EV-WM200 모델에서
- Zodiac2 모바일게임기에서 BT전용용 WiFi 안테나 안테나
- 가전기기, USB 포트 연결 제품에서
- Rigid-PCB 메인보드에서, 구조는 대부분 PIFA 안테나
- Tescom TC-5910DP 실드 박스
WiFi 모듈을 고정시키고 있다. 측정용 WiFi 안테나와 마주하고 있다.
- 가전기기, USB 포트 연결 제품에서
- LG 이노텍, LGSBW41
- LG 이노텍, LGSBWAC72
- 삼성전자 WLM100A, 1EEE 802.11b/g/n 1x1(1T1R) USB 2.0 module, Ralink RT5370 사용
- 삼성전자 WIBT40A, TV에 BT전용(?) 사용
- 모듈 모델명 SPW-B4319S, 삼성 SL-C460W 컬러레이저 복합기에서
- SDIO(Secure Digital Input Output) 인터페이스 제품에서, 프랙탈 안테나
- 프린터에서, 802.11b/g/n 2412~2462MHz 20MHz BW WLAN 모듈을 사용한다.
- 1 Tx and 1 Rx(1T1R, 1x1, SISO) Antenna
- 프린터에서, 802.11b/g/n 2412~2462MHz 20MHz BW WLAN 모듈을 사용한다.
- SDIO(Secure Digital Input Output) 인터페이스 제품에서, 프랙탈 안테나
- LG 이노텍, LGSBW41
- 무선키보드,마우스 등에서
- 2018.06 출시한 샤오미 미밴드3
- Logitech K270(fullsize) 무선키보드 BT전용
- Nordic Semiconductor, nRF24LE1H, Ultra-low Power 2.4GHz Wireless System On-Chip
안테나 길이 17(단위 모름)표시
- Nordic Semiconductor, nRF24LE1H, Ultra-low Power 2.4GHz Wireless System On-Chip
- 무선 마우스 BT전용
- 데이비드테크 엔보우 NG01 무선 마우스
2.45GHz ISM밴드용 안테나가 있는 2.4GHz 통신모듈
- Samsung AA-SM7PWR, 2.4GHz, 동글에서
- Logitech M185, P/N 810-003521, 김명기 투고기술 데스크탑에서 사용하는
bended monopole antenna 모노폴 안테나
- Logitech M185, P/N 810-005232, 2020/12/22 페친이 분해용으로 기증함
- Microsoft Corporation Wireless Mouse 1452, 투고기술 삼성노트북에 사용중
- AliExpress, 2024/01/11 1,800원 구입품, 모델 C에서
- 데이비드테크 엔보우 NG01 무선 마우스
- Sony PS용 Wireless Controller SIXAXIS , BT모듈 , Alps 413A 15x12mm 에서
BT 안테나, TI B029A 배터리 IC
- 2018.06 출시한 샤오미 미밴드3
- 캐논 셀피 CP900 포토프린터
ALPS ZE-5P1A WiFi모듈 및 2.45GHz ISM밴드용 안테나
- IT 통신기기에서
- PCMCIA WiFi 카드
- 2009년 4월 출시 D-Link DIR-600 유무선 공유기
- PCMCIA WiFi 카드
- 참고: 1.7GHz DECT에서도
- 1.7GHz DECT 맥슨 MDC-2670S 무선전화기에서
PIFA 구조를 갖는 안테나
- 1.7GHz DECT 맥슨 MDC-2670S 무선전화기에서
- Tescom TC-5910DP 실드 박스
- Rigid-PCB 단품 안테나를 덧붙여, 두께를 높여서 감도를 더 높인 3차원 구조로
- 철사를 붙여서 높이를 높였다.
- Rigid-PCB 단품 안테나를 동축케이블로 연결하여
-
- PCB 단면 패턴이므로 앞뒤를 제외한 좌우, 상하 방향으로는 거의 방사되지 않는다. MBNS 는 포켓 WiFi 안테나에서도 검색됨
- if s1100 007.jpg
MPWD-I3-CB Rev 01, MBNS 190831
- if s1100 008.jpg
이 상태에서 S11 측정하니, 해당 두 주파수 대역에서 뚜렷한 매칭 파형이 안나타남.
- if s1100 009.jpg
- PCB 단면 패턴이므로 앞뒤를 제외한 좌우, 상하 방향으로는 거의 방사되지 않는다. MBNS 는 포켓 WiFi 안테나에서도 검색됨
- YF-006G 안드로이드 태블릿
- 외형
- 측정
- 안테나만 공기중에
- 뒷면 수지판에 부착
- LCD 모니터 세트에서 - LCD 금속판이 안테나와 가까운 근처에 존재할 때
- 3가지 경우 안테나 반사특성 비교, 주파수 특성 측정 엑셀 파일
- 외형
-
- F-PCB 패턴으로 만들어 붙여서
- Palm TX PDA에서
- iPad에서
- 주파수 특성
- iPad A1219, 태블릿 컴퓨터에서
- 2010.07 출시 삼성 GT-B7722 피처폰
- 2010년 출시된 iPad A1337, 태블릿 컴퓨터에서
- 위치
- 상태 1,2,3,4
- 상태 1,2,3,4에 따른 주파수특성
- 안테나 패턴
- 로고 플라스틱을 뜯어냄
- 위치
- 2011.02 출시 삼성 와이즈 SHW-A240S 폴더 피처폰
- 파트론에서 제작한, BT 전용 안테나(F-PCB로 만들어 접착테이프로 붙이는)가 폴더 힌지 근처에 있다.
- 파트론에서 제작한, BT 전용 안테나(F-PCB로 만들어 접착테이프로 붙이는)가 폴더 힌지 근처에 있다.
- 2012.09 출시 삼성 갤럭시 노트2 스마트폰
왼쪽은 레이저 직접 구조화 기법으로 만든 WiFi용, 오른쪽이 GPS 안테나
- Palm TX PDA에서
- 세라믹 칩 안테나 2.4GHz BT/WiFi 용
- LG전자 모듈에서
- 2010.08 출시, 팬택, SKY 골드루키 IM-U660K 피처폰
- LG전자 모듈에서
- 실외 안테나
- 경기 관광, 여주 이포보에서
- 경기 관광, 여주 이포보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