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노트2"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갤럭시 노트2 <ol> <li>링크 <ol> <li> 전자부품 <ol> <li> 핸드폰 <ol> <li>2012.09 출시 삼성 갤럭시 노트2 스마트폰 - 이 페이지 </ol> </ol> </ol...) |
잔글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li>규격 | <li>규격 | ||
<ol> | <ol> | ||
− | <li>SHV-E250S, 제조년월 20130103 | + | <li>SHV-E250S, 제조년월 20130103, 32GB |
+ | <li>미국모델: Samsung Galaxy Note2 N7100 | ||
</ol> | </ol> | ||
<li>이력 | <li>이력 | ||
41번째 줄: | 42번째 줄: | ||
image:galaxy_note2_001.jpg | 계속실행하면 Formatting 중 멈춤 | image:galaxy_note2_001.jpg | 계속실행하면 Formatting 중 멈춤 | ||
</gallery> | </gallery> | ||
+ | <li>2023/02/14 분해 | ||
+ | </ol> | ||
+ | <li>사진 | ||
+ | <ol> | ||
+ | <li>외관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02.jpg | SAMSUNG, 4G LTE | ||
+ | </gallery> | ||
+ | <li>배터리 팩(모델:EB595675LK, 3100mAh)을 교환하기 위한, 뒷면 커버를 열면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01.jpg | ||
+ | image:shv_e250s01_003.jpg | ||
+ | image:shv_e250s01_004.jpg | 라벨: 이동통신용 무선설비의 기기(SHV-E250S), 제조국:대한민국, 제조연월일:20130103, 32GB | ||
+ | </gallery> | ||
+ | <li>뒷면 커버에 붙어 있는 [[NFC]] 안테나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05.jpg | 접점 2개가 보인다. | ||
+ | image:shv_e250s01_006.jpg | 뜯으면 차폐용 [[페라이트 시트]]와 안테나 패턴 등 2가지로 분리된다. | ||
+ | image:shv_e250s01_007.jpg | [[페라이트 시트]]는 적당한 면적으로 깨진다. | ||
+ | </gallery> | ||
+ | <li> [[마이크로 스피커]]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03.jpg | ||
+ | image:shv_e250s01_003_001.jpg | ||
+ | image:shv_e250s01_003_002.jpg | ||
+ | image:shv_e250s01_003_003.jpg | EM-Tech 제조, 스피커단자 2개, 안테나단자 2개 | ||
+ | </gallery> | ||
+ | <li>진동모터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35.jpg | ||
+ | </gallery> | ||
+ | <li>디스플레이 모듈(터치스크린+OLED+S펜 디지타이저) | ||
+ | <ol> | ||
+ | <li>모듈 분해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08.jpg | 이 3가지가 합쳐진 모듈이 아래쪽에 해당됨. | ||
+ | image:shv_e250s01_009.jpg | 우측이 이 모듈에 해당됨. OLED 화면 중앙부위가 가장 뜨거워지므로 [[그라파이트 시트]]로 메탈 코어프레임으로 방열시키고 있다. | ||
+ | image:shv_e250s01_010.jpg | (우측)OLED 뒤면에는 검정 테이프를 붙였다. S펜 디지타이저 패턴을 뜯었다. | ||
+ | </gallery> | ||
+ | <li>전면 하단 버튼 3개에서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09.jpg | 왼쪽에서 맨 아래 | ||
+ | image:shv_e250s01_009_001.jpg | 터치 센서 236A 1413 ic, 좌우에 존재하는 센싱 동박, 백라이트 광도파필름 및 LED | ||
+ | </gallery> | ||
+ | <li> [[정전식 터치스크린]]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15.jpg | MELFAS 8BL3010 1243 | ||
+ | </gallery> | ||
+ | <li> [[OLED]] | ||
+ | <ol> | ||
+ | <li>OLED 뒤면 붙인 (선명도를 위해 가시광선 흡수?용 또는 방열를 위한 적외선 흡수?용)검정 테이프를 뜯으면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10.jpg | [[그라파이트 시트]]는 열이 집중되는 중앙부위만 붙였다. | ||
+ | image:shv_e250s01_014.jpg | 뜯으면. 검정테이프는 가장자리와 중양부위로 나누어진다. | ||
+ | </gallery> | ||
+ | </ol> | ||
+ | <li> [[그래픽 태블릿]]인 삼성 S펜 | ||
+ | <ol> | ||
+ | <li>S펜을 수납할 때 고정 방법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35.jpg | ||
+ | </gallery> | ||
+ | <li>송수신 장치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11.jpg | Wacom W9001 | ||
+ | image:shv_e250s01_012.jpg | 양면 [[F-PCB]] | ||
+ | image:shv_e250s01_013.jpg | ||
+ | </gallery> | ||
+ | <li>스타일러스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33_001.jpg | 외형, 누름 스위치가 있다. | ||
+ | image:shv_e250s01_033_002.jpg | 고정 L값을 갖는다. | ||
+ | image:shv_e250s01_033_003.jpg | 스위치와 연결된 [[가변C]] 2개 | ||
+ | image:shv_e250s01_033_004.jpg | 여러 [[납땜점퍼]]로 연결되는 [[MLCC]] | ||
+ | image:shv_e250s01_033_005.jpg | [[납땜점퍼]] | ||
+ | image:shv_e250s01_033_006.jpg | 페라이트 기둥을 사용한 [[권선형 RF인덕터]] | ||
+ | </gallery> | ||
+ | <li>측정 그래프 | ||
+ | <ol> | ||
+ | <li>측정 방법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33_007.jpg | 측정방법 | ||
+ | </gallery> | ||
+ | <li>공진주파수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33_008.png | ||
+ | image:shv_e250s01_033_009.png | 버튼을 누르면 30.9kHz 저주파로 이동된다. | ||
+ | </gallery> | ||
+ | <li>모든 C 점퍼를 연결한 후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33_010.png | ||
+ | image:shv_e250s01_033_011.png | 버튼을 누르면 29.8kHz 저주파로 이동된다. | ||
+ | </gallery> | ||
+ | <li>버튼을 누를 때 영향을 주는 트리머를 돌렸을 때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33_012.png | 최대 1.9kHz 이동한다. | ||
+ | </gallery> | ||
+ | <li>측정 그래프 데이터 엑셀 파일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33_013.png | ||
+ | </gallery> | ||
+ | </ol> | ||
+ | <li>의견 | ||
+ | <ol> | ||
+ | <li>송신부에서 결정된 두 가지 주파수(버튼을 누르지 않을 때, 누를 때의 각각 공진주파수)를 짧은 시간 간격으로 발생시킨다. | ||
+ | <li>스타일러스가 없으면 electromagnetic induction(전자기 유도)가 약해 송신부 신호가 수신부로 감지되지 않는다. | ||
+ | <li>스타일러스가 가깝게 접근하면 전자기 유도가 되어 수신부에서 신호가 감지된다. 근접 거리에 따라 신호 크기를 알아낼 수 있다. | ||
+ | </ol> | ||
+ | </ol> | ||
+ | </ol> | ||
+ | <li>전면 카메라용 [[핸드폰용 이미지센서]] | ||
+ | <ol> | ||
+ | <li>참고: 2012.06 출시 삼성 [[SHV-E210K]] 갤럭시 S3 스마트폰용과 같다.(?) | ||
+ | <li>N7100 마킹(Samsung Galaxy Note2 N7100)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34_001.jpg | SEMCO 마킹. 자석에 붙지 않는 금속캔이다. | ||
+ | </gallery> | ||
+ | <li>검정테이프를 붙이는 이유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34_002.jpg | 검정테이프 | ||
+ | image:shv_e250s01_034_003.jpg | 전기 절연을 위해 테이프를 붙인다. | ||
+ | image:shv_e250s01_034_000.jpg | 장착부위가 '''전기가 통하는 금속'''코어 프레임이다. | ||
+ | </gallery> | ||
+ | <li> [[볼 가이드 VCM AF]] | ||
+ | <ol> | ||
+ | <li>AF용 베어링. 볼을 6개 사용하므로 [[평행 평면]]이 형성되지 않는다.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34_005.jpg | 동일직경의 볼 3개씩, 총 6개를 사용한다. | ||
+ | </gallery> | ||
+ | <li>AF 드라이버 및 코일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34_004.jpg | 코일이 연결되는 곳 | ||
+ | image:shv_e250s01_034_006.jpg | [[에나멜전선]]을 F-PCB에 [[열가압 접합]]하였다. | ||
+ | </gallery> | ||
+ | <li>코일 임피던스 측정 엑셀파일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34_007.jpg | ||
+ | image:shv_e250s01_034_008.png | ||
+ | image:shv_e250s01_034_009.png | ||
+ | </gallery> | ||
+ | </ol> | ||
+ | <li>유리 IR차단 필터, 공기 배출기, 검정 마스킹처리안된 센서 및 광학필터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34_010.jpg | ||
+ | </gallery> | ||
+ | <li>태워 다이를 뜯어내면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34_011.jpg | 센서 표면에 발라진 컬러필터 유기물 | ||
+ | image:shv_e250s01_034_012.jpg | [[다이본딩]] 접착제 도포 형태 | ||
+ | </gallery> | ||
+ | </ol> | ||
+ | <li>메인보드 뒷면(배터리 쪽에서 보면) | ||
+ | <ol> | ||
+ | <li>참고: | ||
+ | <ol> | ||
+ | <li>SKY78010 | ||
+ | <li>WTR1605L | ||
+ | <li>MDM9215 | ||
+ | </ol> | ||
+ | <li>전체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16.jpg | ||
+ | image:shv_e250s01_017.jpg | 카드 접점 보드를 들어올리면 | ||
+ | </gallery> | ||
+ | <li>멤스마이크 S997 3219, 플래시LED, [[3.5mm 이어폰 커넥터]] 고정방법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18.jpg | ||
+ | </gallery> | ||
+ | <li>실리콘 [[CMF]] , 디스플레이와 연결되는 커넥터 근처에서 | ||
+ | <ol> | ||
+ | <li>우측 상단, U2Y U3Y 마킹품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24.jpg | ||
+ | </gallery> | ||
+ | <li>U2 분해하면 아래 패턴이 두 개 들어있다.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24_001_001.jpg | On Semi C, A3090 | ||
+ | image:shv_e250s01_024_001_002.jpg | ||
+ | image:shv_e250s01_024_001_003.jpg | ||
+ | </gallery> | ||
+ | </ol> | ||
+ | <li>RF단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23.jpg | Epcos 7968, 2.5x2.0x0.95mm, Band3 1747.5/1842.5MHz 듀플렉서 | ||
+ | image:shv_e250s01_024.jpg | ||
+ | </gallery> | ||
+ | <li>사진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25.jpg | ||
+ | image:shv_e250s01_026.jpg | ||
+ | image:shv_e250s01_027.jpg | ||
+ | </gallery> | ||
+ | <li>주요 IC | ||
+ | <ol> | ||
+ | <li>Avago ACPM-7500 | ||
+ | <li>Murata SW j GME86 | ||
+ | <li>WTR1605L [[트랜시버 IC]]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26_001_001.jpg | 뜯어내면, RDL과 [[박막형 RF용 인덕터]]가 확인된다. | ||
+ | image:shv_e250s01_026_001_002.jpg | 인두기로 납땜을 다시 하면 | ||
+ | </gallery> | ||
+ | <li>MAX77693 PMIC | ||
+ | <li>Microchip Technology, AT32UC3L0128, 32비트 MCU | ||
+ | <li>Wolfson Microelectronics, WM1811AE, 오디오IC | ||
+ | <li>NXP 65014 | ||
+ | </ol> | ||
+ | </ol> | ||
+ | <li>메인보드를 들어올리면 | ||
+ | <ol> | ||
+ | <li>사진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19.jpg | 방열패드를 사용한 곳은 AP, 모뎀칩 두 군데이다. | ||
+ | </gallery> | ||
+ | <li>금속 프레임에 도포한 [[실드 가스켓]]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20.jpg | ||
+ | image:shv_e250s01_021.jpg | [[면저항]] 측정방법 및 측정값 0.5Ω | ||
+ | image:shv_e250s01_022.jpg | 측정지점 | ||
+ | </gallery> | ||
+ | </ol> | ||
+ | <li>메인보드 앞면(화면 쪽에서 보면) | ||
+ | <ol> | ||
+ | <li>전체 | ||
+ | <ol> | ||
+ | <li>사진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28.jpg | ||
+ | </gallery> | ||
+ | <li>주요 IC | ||
+ | <ol> | ||
+ | <li>Samsung Exynos, Green Memory, | ||
+ | <li>CML0801, N56RTE S1249, camera IC | ||
+ | <li>Qualcomm, MDM9215M, 4G LTE modem | ||
+ | <li>Murata KM2N29029 VM, WiFi | ||
+ | <li>Wacom, W9001, 디지타이저 | ||
+ | <li>MAX77688C ? | ||
+ | <li>PM8018, PMIC | ||
+ | <li>SIMC 924480 | ||
+ | </ol> | ||
+ | </ol> | ||
+ | <li> [[모바일AP]] Exynos 4412, Green Memory(2G바이트) | ||
+ | <ol> | ||
+ | <li>2012.06 출시 삼성 SHV-E210K [[SHV-E210K]] 갤럭시 S3 스마트폰에서 분해했기 때문에 다시 분석하지 않는다.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29.jpg | ||
+ | </gallery> | ||
+ | </ol> | ||
+ | <li> [[Flash Memory]], 한국 내수용이므로 32GB이다.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28_001_001.jpg | ||
+ | image:shv_e250s01_028_001_002.jpg | [[다이본딩]]으로 다이 8개를 쌓았고, [[Au 볼 와이어본딩]]으로 연속 연결하였다. | ||
+ | </gallery> | ||
+ | <li> [[핸드폰에서 발견한 대기압 센서]] | ||
+ | <ol> | ||
+ | <li>'''제조회사 모름''' 274 U245 086, 3.8x3.6mm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30.jpg | ||
+ | image:shv_e250s01_030_001.jpg | 실버 에폭시 계열 [[도전성 접착제]]로 금속캔을 붙였다. 유기물기판에 가해지는 응력을 낮추기 위해(?) | ||
+ | </gallery> | ||
+ | <li>내부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30_002.jpg | [[유기물기판]]에서 센서 다이 영역은 분리되어 있다. | ||
+ | image:shv_e250s01_030_003.jpg | ||
+ | </gallery> | ||
+ | <li>대기압 센서 다이. (판독IC와 다이 두께가 동일하고, 멤브레인 밑 빈 공간 높이가 매우 낮기 때문에 접합웨이퍼가 아니다.)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30_004.jpg | CMD 173 | ||
+ | image:shv_e250s01_030_005.jpg | ||
+ | </gallery> | ||
+ | <li>판독IC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30_006.jpg | 다이 패턴 | ||
+ | image:shv_e250s01_030_007.jpg | circled UB symbol | ||
+ | image:shv_e250s01_030_008.jpg | 7170 M T [[Copyright]] 심볼 | ||
+ | image:shv_e250s01_030_009.jpg | ||
+ | </gallery> | ||
+ | <li>압력센서 다이를 불에 빨갛게 달군 후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30_010.jpg | ||
+ | image:shv_e250s01_030_011.jpg | 멤브레인을 깨뜨린 후 촬영 | ||
+ | </gallery> | ||
+ | <li> [[다이본딩]] 접착제는 말랑말랑한 (실리콘 계열) 재료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30_012.jpg | 말랑말랑 접착제 | ||
+ | </gallery> | ||
+ | <li> [[홈을 판 PCB]] 구조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30_013.jpg | 동박으로 밀봉 | ||
+ | </gallery> | ||
+ | </ol> | ||
+ | <li> [[WiFi 모듈(핸드폰)]] , Murata KM2 N29029 VM, 8.7x5.1x1.3mm | ||
+ | <ol> | ||
+ | <li>Broadcom BCM4334X: IEEE 802.11 a/b/g/n(MAC/Baseband/Radio) + BT4.0+HS + FM receiver 지원한다. | ||
+ | <li>외관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31.jpg | 언더필 수지로 고정되어 있음. | ||
+ | </gallery> | ||
+ | <li>모듈을 주회로기판에서 분리하면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32.jpg | ||
+ | image:shv_e250s01_032_001.jpg | 아랫면 몰딩 일부를 뜯어보면 구리기둥(copper pillar)이 보인다. | ||
+ | </gallery> | ||
+ | <li>부품면(윗면) 부품들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32_002.jpg | 2개 다이는 와이어본딩된다. | ||
+ | </gallery> | ||
+ | <li>솔더링면(아랫면) SMT된 수동부품과 [[구리]]기둥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32_003.jpg | Broadcom BCM4334XKWBG | ||
+ | image:shv_e250s01_032_004.jpg | 구리기둥(copper pillar)이 길이쪽으로 14개가 서 있다. | ||
+ | image:shv_e250s01_032_005.jpg | 구리기둥(copper pillar) 직경 약 0.25mm | ||
+ | </gallery> | ||
+ | <li> [[LTCC 제품]]인 기판, 두께 ~0.2mm | ||
+ | <gallery> | ||
+ | image:shv_e250s01_032_006.jpg | 윗면 | ||
+ | image:shv_e250s01_032_007.jpg | 10층, 코어 0.04mm, 빌드업 층두께 0.02mm이면 총두께는 0.2mm이다. | ||
+ | </gallery> | ||
+ | </ol> | ||
+ | </ol> | ||
</ol> | </ol> | ||
</ol> | </ol> |
2023년 2월 24일 (금) 00:14 기준 최신판
갤럭시 노트2
- 링크
- 규격
- SHV-E250S, 제조년월 20130103, 32GB
- 미국모델: Samsung Galaxy Note2 N7100
- 이력
- 최치민씨가 기증함. 자동차 T-Map 네비게이션을 위한 데이터 수신 전용으로 사용함.
- 마지막 OS: 안드로이드 4.4.2
- 2022/06/25 한 낮 직사광선을 받아서 그런지 부팅되지 않음.
- 검은바탕에, Samsung GALAXY Note II 글씨 나오는 상태에서 멈춤.
- 2022/06/26 강제 부팅
- 볼륨 낮춤 버튼 + 홈 버튼 상태에서 전원버튼을 약 2초간 누르면: 다운로드를 계속 진행하시겠습니까?
- 볼륨 올림 버튼 + 홈 버튼 상태에서 전원버튼을 약 5초간 누르면: Android system recovery 모드
- APK 파일을 PC로 다운로드 받아서
- APK 파일을 해당 폰으로 복사한 후, 해당 폰에서 실행시킴
- 2022/06/27 기기 하드웨어가 망가져 폐기함.
- 2023/02/14 분해
- 최치민씨가 기증함. 자동차 T-Map 네비게이션을 위한 데이터 수신 전용으로 사용함.
- 사진
- 외관
- 배터리 팩(모델:EB595675LK, 3100mAh)을 교환하기 위한, 뒷면 커버를 열면
- 뒷면 커버에 붙어 있는 NFC 안테나
- 마이크로 스피커
- 진동모터
- 디스플레이 모듈(터치스크린+OLED+S펜 디지타이저)
- 모듈 분해
우측이 이 모듈에 해당됨. OLED 화면 중앙부위가 가장 뜨거워지므로 그라파이트 시트로 메탈 코어프레임으로 방열시키고 있다.
- 전면 하단 버튼 3개에서
- 정전식 터치스크린
- OLED
- OLED 뒤면 붙인 (선명도를 위해 가시광선 흡수?용 또는 방열를 위한 적외선 흡수?용)검정 테이프를 뜯으면
그라파이트 시트는 열이 집중되는 중앙부위만 붙였다.
- OLED 뒤면 붙인 (선명도를 위해 가시광선 흡수?용 또는 방열를 위한 적외선 흡수?용)검정 테이프를 뜯으면
- 그래픽 태블릿인 삼성 S펜
- S펜을 수납할 때 고정 방법
- 송수신 장치
양면 F-PCB
- 스타일러스
- 측정 그래프
- 측정 방법
- 공진주파수
- 모든 C 점퍼를 연결한 후
- 버튼을 누를 때 영향을 주는 트리머를 돌렸을 때
- 측정 그래프 데이터 엑셀 파일
- 측정 방법
- 의견
- 송신부에서 결정된 두 가지 주파수(버튼을 누르지 않을 때, 누를 때의 각각 공진주파수)를 짧은 시간 간격으로 발생시킨다.
- 스타일러스가 없으면 electromagnetic induction(전자기 유도)가 약해 송신부 신호가 수신부로 감지되지 않는다.
- 스타일러스가 가깝게 접근하면 전자기 유도가 되어 수신부에서 신호가 감지된다. 근접 거리에 따라 신호 크기를 알아낼 수 있다.
- S펜을 수납할 때 고정 방법
- 모듈 분해
- 전면 카메라용 핸드폰용 이미지센서
- 참고: 2012.06 출시 삼성 SHV-E210K 갤럭시 S3 스마트폰용과 같다.(?)
- N7100 마킹(Samsung Galaxy Note2 N7100)
- 검정테이프를 붙이는 이유
- 볼 가이드 VCM AF
- AF용 베어링. 볼을 6개 사용하므로 평행 평면이 형성되지 않는다.
- AF 드라이버 및 코일
- 코일 임피던스 측정 엑셀파일
- AF용 베어링. 볼을 6개 사용하므로 평행 평면이 형성되지 않는다.
- 유리 IR차단 필터, 공기 배출기, 검정 마스킹처리안된 센서 및 광학필터
- 태워 다이를 뜯어내면
다이본딩 접착제 도포 형태
- 메인보드 뒷면(배터리 쪽에서 보면)
- 참고:
- SKY78010
- WTR1605L
- MDM9215
- 전체
- 멤스마이크 S997 3219, 플래시LED, 3.5mm 이어폰 커넥터 고정방법
- 실리콘 CMF , 디스플레이와 연결되는 커넥터 근처에서
- 우측 상단, U2Y U3Y 마킹품
- U2 분해하면 아래 패턴이 두 개 들어있다.
- 우측 상단, U2Y U3Y 마킹품
- RF단
- 사진
- 주요 IC
- Avago ACPM-7500
- Murata SW j GME86
- WTR1605L 트랜시버 IC
뜯어내면, RDL과 박막형 RF용 인덕터가 확인된다.
- MAX77693 PMIC
- Microchip Technology, AT32UC3L0128, 32비트 MCU
- Wolfson Microelectronics, WM1811AE, 오디오IC
- NXP 65014
- 참고:
- 메인보드를 들어올리면
- 메인보드 앞면(화면 쪽에서 보면)
- 전체
- 사진
- 주요 IC
- Samsung Exynos, Green Memory,
- CML0801, N56RTE S1249, camera IC
- Qualcomm, MDM9215M, 4G LTE modem
- Murata KM2N29029 VM, WiFi
- Wacom, W9001, 디지타이저
- MAX77688C ?
- PM8018, PMIC
- SIMC 924480
- 사진
- 모바일AP Exynos 4412, Green Memory(2G바이트)
- 2012.06 출시 삼성 SHV-E210K SHV-E210K 갤럭시 S3 스마트폰에서 분해했기 때문에 다시 분석하지 않는다.
- 2012.06 출시 삼성 SHV-E210K SHV-E210K 갤럭시 S3 스마트폰에서 분해했기 때문에 다시 분석하지 않는다.
- Flash Memory, 한국 내수용이므로 32GB이다.
다이본딩으로 다이 8개를 쌓았고, Au 볼 와이어본딩으로 연속 연결하였다.
- 핸드폰에서 발견한 대기압 센서
- WiFi 모듈(핸드폰) , Murata KM2 N29029 VM, 8.7x5.1x1.3mm
- 전체
- 외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