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각형 리튬 이차전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Togotech님이 금속각형 2차-리튬 문서를 금속각형 리튬 이차전지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잔글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금속각형 | + | 금속각형 리튬 이차전지 |
<ol> | <ol> | ||
<li> [[전자부품]] | <li> [[전자부품]] | ||
<ol> | <ol> | ||
− | <li> [[ | + | <li> [[리튬 이차 전지]] |
<ol> | <ol> | ||
− | <li> [[ | + | <li> [[금속각형 리튬 이차전지]] - 이 페이지 |
+ | </ol> | ||
+ | </ol> | ||
+ | <li>정식명칭: Prismatic Cell, 각기둥 셀 | ||
+ | <li>핸드폰에서 | ||
<ol> | <ol> | ||
− | <li> [[ | + | <li>1999.09 제조 삼성 [[SCH-6800]] 피처폰 |
<ol> | <ol> | ||
− | <li> [[금속각형 | + | <li> [[금속각형 리튬 이차전지]] 셀. SONY FUKUSHIMA, Sony Energy Devices Corporation 1975년 Fukushima에서 설립됨. 2017년 무라타가 인수함 |
+ | <gallery> | ||
+ | image:sch6800_007.jpg | ||
+ | image:sch6800_007_001.jpg | US103463 크기, 10.2x34.0x62.9mm, 3.6V 1700mAh, 10=diameter/thickness, 34=height/width, 63=height(0이면 원통형) | ||
+ | image:sch6800_007_002.jpg | 보호회로. 맨 왼쪽이 [[TCO퓨즈]] | ||
+ | </gallery> | ||
+ | <li>충방전 용량 측정 엑셀 데이터 | ||
+ | <gallery> | ||
+ | image:sch6800_007_004.png | 약 2.4Wh, 670mAh로 공칭값에 40%를 보임. | ||
+ | </gallery> | ||
</ol> | </ol> | ||
+ | <li>2006.02 출시, 팬택, SKY 주크박스 [[IM-U110]] 피처폰 | ||
+ | <ol> | ||
+ | <li>외형 | ||
+ | <gallery> | ||
+ | image:im_u110_002.jpg | BAT-3200M 표준형 배터리 팩, cell made in Japan | ||
+ | </gallery> | ||
+ | <li> [[NFC]] 안테나 및 [[페라이트 시트]] | ||
+ | <gallery> | ||
+ | image:im_u110_002_001.jpg | NFC 안테나가 배터리 뒷면 플라스틱에 붙어 있어, 분해 도중에 [[페라이트 시트]] 중간층이 찢어졌다. | ||
+ | image:im_u110_002_002.jpg | 시트 중간층이 찢어졌다. | ||
+ | image:im_u110_002_004.jpg | [[NFC]] 안테나 패턴, NT 로고, B25S MIDDLE, Ver.1.6A | ||
+ | </gallery> | ||
+ | <li> [[금속각형 리튬 이차전지]] | ||
+ | <ol> | ||
+ | <li>특징 | ||
+ | <ol> | ||
+ | <li>압력이 높아지면 찢어지는 [[배출구]]가 오른쪽에 있다. | ||
+ | <li> [[레이저 용접]]으로 깡통을 밀봉했다. | ||
+ | <li>낮은 저항을 위해 넓은 면적을 갖는 [[배터리 스트랩 P-PTC]]를 보호회로로 사용했다. | ||
</ol> | </ol> | ||
+ | <li>사진 | ||
+ | <gallery> | ||
+ | image:im_u110_002_003.jpg | ||
+ | </gallery> | ||
+ | <li>100회 1A 충방전 용량 측정 엑셀 데이터 | ||
+ | <ol> | ||
+ | <li>실험1 - 100회 1A충전 0.25A까지충전, 1A방전, 4.2V 3.2V 까지 - 시트1 | ||
+ | <gallery> | ||
+ | image:im_u110_002_003_001.png | ||
+ | image:im_u110_002_003_002.png | ||
+ | </gallery> | ||
+ | <li>실험2 - 100회 2A충전 0.5A까지 충전, 2A방전, 4.2V 3.2V 까지 - 시트2 | ||
+ | <gallery> | ||
+ | image:im_u110_002_003_003.png | ||
+ | </gallery> | ||
+ | <li>실험3 - 실험2 조건과 같게 1000회 - 시트3 | ||
+ | <gallery> | ||
+ | image:im_u110_002_003_004.png | 이틀동안. 주변 온도 때문에 변곡점 발생 | ||
+ | </gallery> | ||
+ | <li>의견 | ||
+ | <ol> | ||
+ | <li>실험 1회 조건처럼, 많이 방전하고 충전하면 용량변화가 발생된다. (수명이 짧아진다.) | ||
+ | <li>실험 2회 조건처럼, 2A로 짧은 시간동안 충방전하면 용량변화가 거의 없다. (수명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 ||
</ol> | </ol> | ||
</ol> | </ol> | ||
− | < | + | </ol> |
− | + | </ol> | |
− | <ol> | + | <li>2006년 팬택 & 큐리텔 [[PT-L2200]] 피처폰에서 |
− | <li>팬택 & 큐리텔 [[PT-L2200]] 피처폰에서 | ||
<ol> | <ol> | ||
<li>플라스틱 초음파 용접 부위를 뜯기 위해 고무망치로 쳐서, 측면이 찌그러진 금속 배터리 상자 | <li>플라스틱 초음파 용접 부위를 뜯기 위해 고무망치로 쳐서, 측면이 찌그러진 금속 배터리 상자 | ||
28번째 줄: | 82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 | <li>삼성 SCH-V920 | + | <li>2006.10 출시 삼성 월드로밍 [[SCH-V920]] 슬라이드 피처폰 |
<ol> | <ol> | ||
<li>2020/04/13 충전에 따른 용량 측정 , 약 3Wh 충방전됨. | <li>2020/04/13 충전에 따른 용량 측정 , 약 3Wh 충방전됨. | ||
40번째 줄: | 94번째 줄: | ||
</ol> | </ol> | ||
</ol> | </ol> | ||
− | <li> | + | <li>2007.10 출시 [[LG-SH170]] 슬라이드 피처폰 |
+ | <ol> | ||
+ | <li>배터리팩 Li-ion Battery 3.7V표준형, 모델: LGLI-AHJM, 제조자: TOCAD동화(도카드동화) | ||
+ | <gallery> | ||
+ | image:sh170_003.jpg | ||
+ | image:sh170_107.jpg | 보호회로 | ||
+ | </gallery> | ||
+ | </ol> | ||
+ | <li>2008년 삼성전자 [[SPH-W4700]] 핸드폰에서 | ||
+ | <ol> | ||
+ | <li>배터리 | ||
+ | <gallery> | ||
+ | image:w4700_003.jpg | ||
+ | image:w4700_004.jpg | 모델: ABCW3009BK | ||
+ | </gallery> | ||
+ | <li>NFC 안테나 | ||
+ | <gallery> | ||
+ | image:w4700_005.jpg | SCH-W300 Ver.2.3 (안테나 마킹) | ||
+ | image:w4700_006.jpg | ||
+ | image:w4700_007.jpg | ||
+ | image:w4700_008.jpg | ||
+ | </gallery> | ||
+ | <li>보호회로에서 [[PTC 과전류차단]] | ||
+ | <gallery> | ||
+ | image:w4700_009.jpg | 원형타입이므로 세라믹 디스크일 것이다. 그러므로 [[배터리 스트랩 P-PTC]]가 아닐 것이다. | ||
+ | image:w4700_010.jpg | ||
+ | </gallery> | ||
+ | <li>2020/04/06 충전에 따른 용량 측정 | ||
+ | <ol> | ||
+ | </ol> | ||
+ | </ol> | ||
+ | <li>2008.04 출시 Motorola [[Z8m]] 슬라이드 피처폰 | ||
+ | <gallery> | ||
+ | image:z8m01_048.jpg | ||
+ | image:z8m01_049.jpg | 왼쪽 외경 크기는 45x37.3mm 크기, 6.8두께 | ||
+ | image:z8m01_050.jpg | 653443 크기 | ||
+ | </gallery> | ||
+ | <li>2011년 Galaxy Mini(용이라고 검색됨) EB494353VU, 1200mAh, 2010년 제조품 | ||
+ | <ol> | ||
+ | <li>분해 | ||
+ | <gallery> | ||
+ | image:battery06_001.jpg | ||
+ | image:battery06_002.jpg | ||
+ | image:battery06_003.jpg | ||
+ | image:battery06_004.jpg | ||
+ | image:battery06_005.jpg | ||
+ | image:battery06_006.jpg | ||
+ | image:battery06_007.jpg | ||
+ | image:battery06_008.jpg | PTC 참조 | ||
+ | </gallery> | ||
+ | <li>밀봉된 부분 뜯음 | ||
+ | <gallery> | ||
+ | image:battery06_009.jpg | ||
+ | image:battery06_010.jpg | ||
+ | image:battery06_011.jpg | ||
+ | image:battery06_012.jpg | ||
+ | image:battery06_013.jpg | ||
+ | image:battery06_014.jpg | ||
+ | </gallery> | ||
+ | <li>냄새가 심해 물에 넣어 씻음. - 거품 발생 | ||
+ | <gallery> | ||
+ | image:battery06_015.jpg | 구리, 알루미늄 포일 전극, 두 장의 분리막 | ||
+ | image:battery06_016.jpg | ||
+ | image:battery06_017.jpg | ||
+ | </gallery> | ||
+ | </ol> | ||
+ | <li>2011년 Galaxy S2 | ||
+ | <ol> | ||
+ | <li> , [[충전기]], , 충전용 거치대에서 | ||
+ | <li>Galaxy S2용 배터리 | ||
+ | <gallery> | ||
+ | image:battery_li01_009.jpg | ||
+ | image:battery_li01_010.jpg | ||
+ | </gallery> | ||
+ | </ol> | ||
+ | <li>2011.11 출시 삼성 [[갤럭시 노트]] 스마트폰 | ||
<ol> | <ol> | ||
<li>핸드폰 구입 때 같이 온, 배터리 두 개 | <li>핸드폰 구입 때 같이 온, 배터리 두 개 | ||
73번째 줄: | 202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 | <li>Samsung Galaxy Grand Max | + | <li>2015년 Samsung Galaxy Grand Max [[SM-G720N0]] |
<ol> | <ol> | ||
<li>20/03/05 배터리 2개를 얻어서, #3번 | <li>20/03/05 배터리 2개를 얻어서, #3번 | ||
158번째 줄: | 287번째 줄: | ||
</ol> | </ol> | ||
</ol> | </ol> | ||
− | <li> | + | <li>2016.01 출시 삼성 [[SM-A710S]] 갤럭시 A7 LTE 스마트폰 |
<ol> | <ol> | ||
− | <li> | + | <li>알머스 회사는 일본에서 깡통 사와서 단자 용접하고 라벨만 붙여서 삼성전자에 납품하는 듯 |
− | |||
<gallery> | <gallery> | ||
− | image: | + | image:a710s01_004.jpg |
− | image: | + | image:a710s01_042.jpg | 충전 전압 4.4V 공칭 3.85V이다. (지금까지 이전 배터리는 4.2V 3.7V) |
+ | image:a710s01_043.jpg | EB-BA710ABA, 12.71Wh, 제조년월 2017 04, cell made in JAPAN, 제조자: YoungBo Vina Co., Ltd. (영보엔지니어링 회사 상호는 알머스로 변경됨.) | ||
</gallery> | </gallery> | ||
− | + | <li>보호회로가 없다. | |
− | |||
− | |||
− | <li> | ||
<gallery> | <gallery> | ||
− | image: | + | image:a710s01_044.jpg |
− | image: | + | image:a710s01_045.jpg | 아무런 보호부품 및 회로가 없다. |
− | |||
− | |||
− |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li> | + | <li>배터리 충방전 실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l> | <ol> | ||
− | <li> | + | <li>2A 충방전 실험 2021/03/11 16:00 종료. 100회 연속 사용시 에너지 용량이 줄어들지 않는다. |
<gallery> | <gallery> | ||
− | image: | + | image:a710s01_042_001.png | 최초 5회 충방전. 4.2V +2A 0.5A까지, -2A 3.36V까지 |
− | image: | + | image:a710s01_042_002.png | 이후 100회 충방전 |
+ | image:a710s01_042_003.png | 24시간 단위로. 사무실 온도가 가장 높을 때 가장 큰 에너지를 사용한다. | ||
+ | image:a710s01_042_004.png | 충방전 효율. 주변 온도에 의존한다. 약 85%이다. | ||
</gallery> | </gallery> | ||
− | <li> | + | <li>5A 충방전 실험 |
<gallery> | <gallery> | ||
− | image: | + | image:a710s01_042_005.png | 충전 에너지 11.5Wh, 방전 에너지 6.1Wh, 효율 53% |
− | image: | + | image:a710s01_042_006.png | [[배터리 내부저항]] 5A에서 전압강하 0.4V이므로 0.08오옴 |
− | image: | + | image:a710s01_042_007.jpg | 충방전 효율이 85% @2A 에서 53% @5A로 떨어진 이유는 열이 많이 나므로 |
− | image: | + | image:a710s01_042_008.jpg | 스테인리스 깡통 온도 적외선 측정은 곤란 |
− | + | image:a710s01_042_009.jpg | 4와이어 측정이므로, 바깥 가는 전류선은 뜨거워진다. | |
− | |||
− | |||
− | image: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ol> | </o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l> | </ol> | ||
</ol> | </ol> | ||
261번째 줄: | 349번째 줄: | ||
image:palm_zire72_007.jpg | 553450 배터리(두께 5.5, 폭 34, 길이 50mm 란 뜻이다.) | image:palm_zire72_007.jpg | 553450 배터리(두께 5.5, 폭 34, 길이 50mm 란 뜻이다.) | ||
</gallery> | </gallery> | ||
− | <li> [[ | + | <li> 모바일게임기 [[Zodiac2]] |
<ol> | <ol> | ||
<li>사진 | <li>사진 | ||
<gallery> | <gallery> | ||
− | image:zodiac2_018.jpg | | + | image:zodiac2_018.jpg | [[금속각형 리튬 이차전지]] 48x30x5.5mm 두 개 병렬 |
</gallery> | </gallery> | ||
<li>2020/06/03 충전에 따른 용량 측정 - 오랫동안 방치되어 있어, 1차로 0.2A로 충방전을 실시하고, 이상이 없어 1A로 충방전 실험 | <li>2020/06/03 충전에 따른 용량 측정 - 오랫동안 방치되어 있어, 1차로 0.2A로 충방전을 실시하고, 이상이 없어 1A로 충방전 실험 |
2025년 2월 18일 (화) 20:46 기준 최신판
금속각형 리튬 이차전지
- 전자부품
- 리튬 이차 전지
- 금속각형 리튬 이차전지 - 이 페이지
- 리튬 이차 전지
- 정식명칭: Prismatic Cell, 각기둥 셀
- 핸드폰에서
- 1999.09 제조 삼성 SCH-6800 피처폰
- 금속각형 리튬 이차전지 셀. SONY FUKUSHIMA, Sony Energy Devices Corporation 1975년 Fukushima에서 설립됨. 2017년 무라타가 인수함
보호회로. 맨 왼쪽이 TCO퓨즈
- 충방전 용량 측정 엑셀 데이터
- 금속각형 리튬 이차전지 셀. SONY FUKUSHIMA, Sony Energy Devices Corporation 1975년 Fukushima에서 설립됨. 2017년 무라타가 인수함
- 2006.02 출시, 팬택, SKY 주크박스 IM-U110 피처폰
- 외형
- NFC 안테나 및 페라이트 시트
- 금속각형 리튬 이차전지
- 특징
- 압력이 높아지면 찢어지는 배출구가 오른쪽에 있다.
- 레이저 용접으로 깡통을 밀봉했다.
- 낮은 저항을 위해 넓은 면적을 갖는 배터리 스트랩 P-PTC를 보호회로로 사용했다.
- 사진
- 100회 1A 충방전 용량 측정 엑셀 데이터
- 실험1 - 100회 1A충전 0.25A까지충전, 1A방전, 4.2V 3.2V 까지 - 시트1
- 실험2 - 100회 2A충전 0.5A까지 충전, 2A방전, 4.2V 3.2V 까지 - 시트2
- 실험3 - 실험2 조건과 같게 1000회 - 시트3
- 의견
- 실험 1회 조건처럼, 많이 방전하고 충전하면 용량변화가 발생된다. (수명이 짧아진다.)
- 실험 2회 조건처럼, 2A로 짧은 시간동안 충방전하면 용량변화가 거의 없다. (수명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 실험1 - 100회 1A충전 0.25A까지충전, 1A방전, 4.2V 3.2V 까지 - 시트1
- 특징
- 외형
- 2006년 팬택 & 큐리텔 PT-L2200 피처폰에서
- 플라스틱 초음파 용접 부위를 뜯기 위해 고무망치로 쳐서, 측면이 찌그러진 금속 배터리 상자
- 충방전 용량 측정 엑셀 데이터 - 새로운 배터리를 교체하지 않았다면, 이 배터리는 14년 지나도 그 성능을 발휘하고 있음.
- 플라스틱 초음파 용접 부위를 뜯기 위해 고무망치로 쳐서, 측면이 찌그러진 금속 배터리 상자
- 2006.10 출시 삼성 월드로밍 SCH-V920 슬라이드 피처폰
- 2020/04/13 충전에 따른 용량 측정 , 약 3Wh 충방전됨.
- 배터리 AB553446CK, 사용가능 휴대폰: B500/B6550/V8900/V870/V890/V920, 내부 셀은 SAMSUNG SDI, 553446 크기
- 배터리 AB553446CK, 사용가능 휴대폰: B500/B6550/V8900/V870/V890/V920, 내부 셀은 SAMSUNG SDI, 553446 크기
- 2020/04/13 충전에 따른 용량 측정 , 약 3Wh 충방전됨.
- 2007.10 출시 LG-SH170 슬라이드 피처폰
- 배터리팩 Li-ion Battery 3.7V표준형, 모델: LGLI-AHJM, 제조자: TOCAD동화(도카드동화)
- 배터리팩 Li-ion Battery 3.7V표준형, 모델: LGLI-AHJM, 제조자: TOCAD동화(도카드동화)
- 2008년 삼성전자 SPH-W4700 핸드폰에서
- 배터리
- NFC 안테나
- 보호회로에서 PTC 과전류차단
원형타입이므로 세라믹 디스크일 것이다. 그러므로 배터리 스트랩 P-PTC가 아닐 것이다.
- 2020/04/06 충전에 따른 용량 측정
- 배터리
- 2008.04 출시 Motorola Z8m 슬라이드 피처폰
- 2011년 Galaxy Mini(용이라고 검색됨) EB494353VU, 1200mAh, 2010년 제조품
- 분해
- 밀봉된 부분 뜯음
- 냄새가 심해 물에 넣어 씻음. - 거품 발생
- 분해
- 2011년 Galaxy S2
- , 충전기, , 충전용 거치대에서
- Galaxy S2용 배터리
- 2011.11 출시 삼성 갤럭시 노트 스마트폰
- 핸드폰 구입 때 같이 온, 배터리 두 개
- 모델: EB615268VK 2500mAh 3.7V 9.25Wh, 제조자: 이랜텍, 제조년월 2012.05
- #1,
- #2, 2013년 11월 부풀어 올라 사용중지
- 18/01/10 배터리 구매, 2015/01 제조품 23,000원
- 20/02/28 위 사진에서, 부풀어 오르지 않은 배터리를 분해함. ???? 조사 필요
- 20/02/29 3회 충전방전에 따른 용량 측정
- 핸드폰 구입 때 같이 온, 배터리 두 개
- 2015년 Samsung Galaxy Grand Max SM-G720N0
- 20/03/05 배터리 2개를 얻어서, #3번
- battery436267 001.jpg
EB-BG720CBK #1, #2 // EB-BG720CBE #3, #4
- battery436267 002.jpg
라벨 필름 두께: ~60um
- battery436267 003.jpg
NFC 코일자리에는 그냥 검정 테이프
- battery436267 004.jpg
SAMSUNG SDI, ICP 436267, 깡통 높이 4.3, 폭 62, 길이 67mm
- battery436267 005.jpg
배터리 셀에는 전압이 측정됨.
- battery436267 006.jpg
- battery436267 007.jpg
직접 충전하니
- battery436267 008.jpg
핸드폰에서 인식됨.
- 의견
- 배터리 팩을 5년 넘게 전혀 사용하지 않으면
- 내부 전압이 떨어져 (전압차이가 커 전류가 많이 흘러?) 배터리 보호 IC가 MOSFET 스위치 동작을 정지해 0V로 측정됨.
- 이 때는 분해하여 배터리 셀에 직접 충전하면 살릴 수 있다. (아니면 매우 낮은 전류로 충전하면 될 듯?????)
- 배터리 용량 측정
- 설명
- #1, 2015/06제조, 2018/01 사용종료
- #2, 2017/12제조, 2018/01 구입 23,000원, 2020/03 사용종료
- 2020/04/04 3회 충전방전에 따른 용량 측정
- #1: 방전 0.0037Wh, 1mAh@3.7V
- #2: 방전 4.3Wh, 1170mAh@3.7V
- #3: 방전 7.7Wh, 2080mAh@3.7V
- #4: 방전 8.2Wh, 2220mAh@3.7V
- 직접 두 단자로 충전 및 방전하면
- 설명
- 20/04/04, 방전 용량이 매우 낮은 #1번 완전분해
- 외관, 아이티엠(ITM)반도체 제조, 9.63Wh, 충전전압 4.4V/2500mAh
- 배터리 팩 보호(관리) 회로 PCB
- 사진
- 사용된 배터리 보호 IC, ITM반도체, SS71A 규격서 - 1p , 참조 - 36p
- 사진
- 알루미늄 깡통 용접
- 배터리 팩 내부
- 배터리 셀을 풀면. 음극anode인 구리판 양쪽에는 graphite, 양극cathod인 알루미늄판 양쪽에는 리튬망간) 리튬 이온이 분리막 사이를 왔다갔다 이동한다.
- 면적 계산: 60cmx6cm 두 장(한장에 0.036m^2)이 약 10Wh 용량에 이용됨
- 2020년 테슬라 모델X 및 S 배터리 용량은 100kWh이므로 약 1만배 크다.
- 0.036x10k = 360m^2 = 각각 19mx19m 면적(약 140평)의 알루미늄, 구리포일이 필요
- 외관, 아이티엠(ITM)반도체 제조, 9.63Wh, 충전전압 4.4V/2500mAh
- 20/03/05 배터리 2개를 얻어서, #3번
- 2016.01 출시 삼성 SM-A710S 갤럭시 A7 LTE 스마트폰
- 알머스 회사는 일본에서 깡통 사와서 단자 용접하고 라벨만 붙여서 삼성전자에 납품하는 듯
- 보호회로가 없다.
- 배터리 충방전 실험
- 2A 충방전 실험 2021/03/11 16:00 종료. 100회 연속 사용시 에너지 용량이 줄어들지 않는다.
- 5A 충방전 실험
배터리 내부저항 5A에서 전압강하 0.4V이므로 0.08오옴
- 2A 충방전 실험 2021/03/11 16:00 종료. 100회 연속 사용시 에너지 용량이 줄어들지 않는다.
- 알머스 회사는 일본에서 깡통 사와서 단자 용접하고 라벨만 붙여서 삼성전자에 납품하는 듯
- 1999.09 제조 삼성 SCH-6800 피처폰
- 기타 모바일 기기에서
- Palm Vx PDA에서
- 직접 연결해도 전혀 충전되지 않음.
- 배터리 외관 - GS-Melcotec Co., Ltd. (1997년 Japan Storage Battery와 Mitsubishi Electric의 합작회사, 시장점유율 8~9%로 세계 5위권. 2002년 Sanyo에 매각함)
- 완충테이프를 뜯어보니 배터리누액을 확인함.
- 부식의 이유. 스테인리스 깡통 재질에 구멍(딥 드로잉 deep drawing 실패?)
- 직접 연결해도 전혀 충전되지 않음.
- PalmOne Zire72에서
- 모바일게임기 Zodiac2
- 사진
금속각형 리튬 이차전지 48x30x5.5mm 두 개 병렬
- 2020/06/03 충전에 따른 용량 측정 - 오랫동안 방치되어 있어, 1차로 0.2A로 충방전을 실시하고, 이상이 없어 1A로 충방전 실험
- 사진
- Palm Vx PDA에서
- 디지털 카메라에서
- 콤팩트카메라 Digimax V4 카메라용, 모델: SLB-1437, 3.7V 1440mAh, 전지하나가 수년동안 충전만 하니 부풀어 오른듯. 카메라에 들어가지 않아 분해해봄
- 콤팩트카메라 Digimax V4 카메라용, 모델: SLB-1437, 3.7V 1440mAh, 전지하나가 수년동안 충전만 하니 부풀어 오른듯. 카메라에 들어가지 않아 분해해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