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mi Note 4X"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ol> | </ol> | ||
<li>기술자료 | <li>기술자료 | ||
+ | <ol> | ||
+ | <li>외부 링크 | ||
<ol> | <ol> | ||
<li> | <li> | ||
+ | <li> https://en.wikipedia.org/wiki/Redmi_Note_4 | ||
<li>출시년도: 2017년 2월 | <li>출시년도: 2017년 2월 | ||
<li>사용 네트워크 | <li>사용 네트워크 | ||
350번째 줄: | 353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li>Triquint [[SMR]]-[BAW]] 필터, 80C 마킹, LTE Band 40(2350MHz, TDD)용이다. TDD이므로 Rx/Tx 신호가 시간차이를 두고 지나간다. | <li>Triquint [[SMR]]-[BAW]] 필터, 80C 마킹, LTE Band 40(2350MHz, TDD)용이다. TDD이므로 Rx/Tx 신호가 시간차이를 두고 지나간다. | ||
+ | <ol> | ||
+ | <li>외관 | ||
<gallery> | <gallery> | ||
image:redmi_note4x_094.jpg | 금색 뚜껑 제품 1.5x1.3mm 추정 | image:redmi_note4x_094.jpg | 금색 뚜껑 제품 1.5x1.3mm 추정 | ||
+ | </gallery> | ||
+ | <li>주파수 특성 | ||
+ | <gallery> | ||
image:redmi_note4x_094_001.jpg | image:redmi_note4x_094_001.jpg | ||
image:redmi_note4x_094_004.png | image:redmi_note4x_094_004.png | ||
image:redmi_note4x_094_005.png | image:redmi_note4x_094_005.png | ||
</gallery> | </gallery> | ||
+ | <li>온도 특성 실험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094_001_001.jpg | 허공에 띄워서 | ||
+ | image:redmi_note4x_094_001_002.png | 이 때 측정되는 그래프(peak 추적을 하면서) | ||
+ | image:redmi_note4x_094_001_003.jpg | Pt100오옴 센서를 근처로 | ||
+ | </gallery> | ||
+ | <li>주파수 온도 특성, 엑셀 데이터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094_001_004.png | 백금온도센서 저항값은 에어콘 가동에 잡음이 유도된다.(?) | ||
+ | image:redmi_note4x_094_001_005.png | 백금온도센서와 필터는 같은 속도로 반응한다. | ||
+ | image:redmi_note4x_094_001_006.png | -20ppm/'C로 계산된다. | ||
+ | </gallery> | ||
+ | <li>밤새 주파수 온도 특성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094_001_007.png | 17시간 사무실 온도변화 | ||
+ | image:redmi_note4x_094_001_008.png | 온도와 주파수변화 - 주파수는 +드리프트가 생긴다. | ||
+ | image:redmi_note4x_094_001_009.png | 12시간동안 +30ppm 드리프트가 생긴다. (납땜 스트레스?) | ||
+ | </gallery> | ||
+ | <li>[[냉매]] 및 열풍기로 온도 특성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094_001_010.jpg | 냉매로 얼리면 | ||
+ | image:redmi_note4x_094_001_011.png | 시간에 따른 온도 및 주파수 | ||
+ | image:redmi_note4x_094_001_012.png | 온도에 따른 주파수변화. 얼린 후 온도가 올라가면 물방울이 생겨 주파수특성에 영향을 준다. | ||
+ | </gallery> | ||
+ | </ol> | ||
<li>Taiyo-Yuden(다이요유덴;태양유전) [[SAW-핸드폰RF]] 필터, LAFy 마킹, LTE Band 38(2595MHz, TDD)용이다. | <li>Taiyo-Yuden(다이요유덴;태양유전) [[SAW-핸드폰RF]] 필터, LAFy 마킹, LTE Band 38(2595MHz, TDD)용이다. | ||
<ol> | <ol> | ||
427번째 줄: | 460번째 줄: | ||
</ol> | </ol> | ||
</ol> | </ol> | ||
− | <li>TCXO | + | <li>PMIC, MEDIATEK MT6351V |
+ | <ol> | ||
+ | <li>3.2x1.5mm PMIC용 [[Xtal세라믹]]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99.jpg | 코바링없는 진공에서 다이렉트 실링, 오른쪽 흰점은 인쇄 마킹 | ||
+ | </gallery> | ||
+ | <li>PMIC 주변에 있는 7개의 검정칠한 파워[[인덕터]]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94.jpg | ||
+ | image:redmi_note4x_195.jpg | 노랑 화살표 밑에 PMIC가 있다. | ||
+ | image:redmi_note4x_196.jpg | 노랑 화살표, 인덕터 표면을 칼로 긁으니 페인트가 벗겨진다. | ||
+ | image:redmi_note4x_197.jpg | 검정 페인트를 윗면에만 칠했다. | ||
+ | image:redmi_note4x_198.jpg | 부품이 두꺼워 금속 깡통에 닿기 때문에 칠한다고 하는데, 왼쪽 MLCC가 더 두껍다. | ||
+ | </gallery> | ||
+ | <li>의견 | ||
+ | <ol> | ||
+ | <li>인덕터는 비아홀 뚫는다. 그러므로 밑면 전극만 형성시킬 수 있다. 밑면 전극만 사용하면 측면 및 위로 전극이 없다. | ||
+ | <li>튀어나온 전극이 없기 때문에 더 얇게 만들 수 있다.(측면 전극 제품과 동일 두께라면 밑면 전극 제품은 페라이트를 더 두껍게 만들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뜻이다.) | ||
+ | <li>밑면 전극은 스크린 인쇄해야 한다. 이 인쇄 공법이 없거나 힘들면 어쩔 수 없이 측면 전극을 형성한다. | ||
+ | <li>이런 측면 전극을 만드는 업체에서는 고객 요청으로 절연 페인트 칠을 한다. | ||
+ | <li>반면에 MLCC업체에서는 전혀 하지 않는다.(??????) | ||
+ | </ol> | ||
+ | </ol> | ||
+ | <li>[[TCXO]] GPS 칩용 | ||
<gallery> | <gallery> | ||
image:redmi_note4x_121.jpg | TCXO 전체를 shield can으로 감쌌다. | image:redmi_note4x_121.jpg | TCXO 전체를 shield can으로 감쌌다. | ||
image:redmi_note4x_122.jpg | TCXO 전체를 shield can으로 감쌌다. | image:redmi_note4x_122.jpg | TCXO 전체를 shield can으로 감쌌다. | ||
− | image:redmi_note4x_123.jpg | + | image:redmi_note4x_123.jpg | 약 2.0x1.6mm 크기 |
image:redmi_note4x_124.jpg | image:redmi_note4x_124.jpg | ||
</gallery> | </gallery> | ||
438번째 줄: | 494번째 줄: | ||
image:redmi_note4x_136.jpg | image:redmi_note4x_136.jpg | ||
</gallery> | </gallery> | ||
− | <li> | + | <li>[[모바일AP]] + RAM PoP(Package On Package) |
+ | <ol> | ||
+ | <li>윗면에는 Micron 회사의 RAM 이다. | ||
<gallery> | <gallery> | ||
image:redmi_note4x_138.jpg | image:redmi_note4x_138.jpg | ||
− | image:redmi_note4x_139.jpg | + | image:redmi_note4x_139.jpg | 밑면 솔더면은 AP이다. |
+ | </gallery> | ||
+ | <li>PoP(Package On Package) | ||
+ | <gallery> | ||
image:redmi_note4x_140.jpg | image:redmi_note4x_140.jpg | ||
− | image:redmi_note4x_141.jpg | + | image:redmi_note4x_141.jpg | 패키지 위에 패키지가 있다. |
+ | </gallery> | ||
+ | <li>두 패키지를 분리하면 | ||
+ | <gallery> | ||
image:redmi_note4x_142.jpg | Mediatek MT6797W AP + Micron RAM | image:redmi_note4x_142.jpg | Mediatek MT6797W AP + Micron RAM | ||
image:redmi_note4x_143.jpg | image:redmi_note4x_143.jpg | ||
+ | </gallery> | ||
+ | <li>AP 패키지 표면을 레이저 드릴로 EMC를 제거하여 솔더패트를 노출시켰다. | ||
+ | <gallery> | ||
image:redmi_note4x_144.jpg | image:redmi_note4x_144.jpg | ||
image:redmi_note4x_145.jpg | image:redmi_note4x_145.jpg | ||
− | image:redmi_note4x_146.jpg | 레이저 드릴로 EMC 제거함. | + | image:redmi_note4x_146.jpg | 레이저 드릴로 EMC 제거함. 참고 [[천공]] |
+ | </gallery> | ||
+ | <li>AP 다이분석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43_001.jpg | 기판 가장자리 여백에 동박패드 형성후, EMC 몰딩 후 레이저 드릴링해서 솔더 연결했다. | ||
+ | image:redmi_note4x_143_002.jpg | 휘어 있다(?) RDL 전극 및 PI가 두꺼워서(?) | ||
+ | image:redmi_note4x_143_003.jpg | 17JUL2015 MEDIATEK, 날짜 마킹은 처음봤다. | ||
+ | </gallery> | ||
+ | <li> [[임베디드PCB]]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43_004.jpg | 사용 기판은 embedded PCB 이다. | ||
+ | image:redmi_note4x_143_005.jpg | 구리 도금 비아홀로 직접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떨어지지 않았다. | ||
+ | image:redmi_note4x_143_008.jpg | ||
+ | image:redmi_note4x_143_009.jpg | MLCC가 부착된 기판층 뒤쪽에서 | ||
+ | image:redmi_note4x_143_006.jpg | 캐비티 포켓 | ||
</gallery> | </gallery> | ||
− | <li>전원용 | + | <li>[[MLCC]] 분석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43_007.jpg | 1.0x0.5mm, 구리전극, 비아홀 도금으로 연결됨. ~400pF @1kHz | ||
+ | image:redmi_note4x_143_010.jpg | 두께 80um, 위아래 더미 15um, 적층 50um 두께, 25층 전극, 층간 2um | ||
+ | image:redmi_note4x_143_011.jpg | ||
+ | image:redmi_note4x_143_012.png | 내부전극 및 외부전극 바렐도금을 위한 seed metal 형성 방법 그림. | ||
+ | </gallery> | ||
+ | </ol> | ||
+ | <li>AP 전원용 L-C-L(Tee타입) [[LC필터]], 4개 직렬로 연결 | ||
<gallery> | <gallery> | ||
image:redmi_note4x_109.jpg | 오른쪽 MLCC는 18uF(1kHz) | image:redmi_note4x_109.jpg | 오른쪽 MLCC는 18uF(1kHz) | ||
image:redmi_note4x_109_001.png | 4개 직렬 특성 | image:redmi_note4x_109_001.png | 4개 직렬 특성 | ||
</gallery> | </gallery> | ||
− | <li>SanDisk SDINADF4-64G, iNAND 7232, 64GB embedded | + | <li>SanDisk SDINADF4-64G, iNAND 7232, 64GB embedded [[Flash Memory]] drive, 14nm |
+ | <ol> | ||
+ | <li>외관 | ||
<gallery> | <gallery> | ||
image:redmi_note4x_110.jpg | image:redmi_note4x_110.jpg | ||
image:redmi_note4x_111.jpg | image:redmi_note4x_111.jpg | ||
+ | </gallery> | ||
+ | <li>다이 4개 적층 + 메모리 콘트롤러 | ||
+ | <gallery> | ||
image:redmi_note4x_112.jpg | 128Gb x 4 = 64GB NAND flash | image:redmi_note4x_112.jpg | 128Gb x 4 = 64GB NAND flash | ||
image:redmi_note4x_113.jpg | flash memory controller | image:redmi_note4x_113.jpg | flash memory controller | ||
image:redmi_note4x_114.jpg | 다이접착용 필름 두 개가 보인다. | image:redmi_note4x_114.jpg | 다이접착용 필름 두 개가 보인다. | ||
image:redmi_note4x_115.jpg | image:redmi_note4x_115.jpg | ||
+ | </gallery> | ||
+ | <li>적층다이를 와이어본딩으로 연결 | ||
+ | <gallery> | ||
image:redmi_note4x_116.jpg | wire bonded multi-stack die | image:redmi_note4x_116.jpg | wire bonded multi-stack die | ||
image:redmi_note4x_117.jpg | Stand-off Stitch Bonding | image:redmi_note4x_117.jpg | Stand-off Stitch Bonding | ||
+ | </gallery> | ||
+ | <li>다이 표면 | ||
+ | <gallery> | ||
image:redmi_note4x_118.jpg | 와이어본딩을 겹쳐 하기 때문에 정전기 방지용(?) R패턴(?) | image:redmi_note4x_118.jpg | 와이어본딩을 겹쳐 하기 때문에 정전기 방지용(?) R패턴(?) | ||
image:redmi_note4x_119.jpg | SANDISK/TOSHIBA FFK8 128G, 16GB용이다. | image:redmi_note4x_119.jpg | SANDISK/TOSHIBA FFK8 128G, 16GB용이다. | ||
image:redmi_note4x_120.jpg | SANDISK/TOSHIBA FFK8 128G, 15nm NAND | image:redmi_note4x_120.jpg | SANDISK/TOSHIBA FFK8 128G, 15nm NAND | ||
</gallery> | </gallery> | ||
+ | </ol> | ||
<li>RF transceiver IC 구역 | <li>RF transceiver IC 구역 | ||
<ol> | <ol> | ||
483번째 줄: | 584번째 줄: | ||
image:redmi_note4x_133.jpg | Skyworks SKY13418 SP8T Antenna Switch, 0.1~6.0GHz | image:redmi_note4x_133.jpg | Skyworks SKY13418 SP8T Antenna Switch, 0.1~6.0GHz | ||
</gallery> | </gallery> | ||
− | <li> | + | <li>[[SAW-핸드폰RF]] 8개 1.1x0.9mm |
<gallery> | <gallery> | ||
image:redmi_note4x_130.jpg | image:redmi_note4x_130.jpg | ||
518번째 줄: | 619번째 줄: | ||
image:redmi_note4x_130_014.jpg | image:redmi_note4x_130_014.jpg | ||
image:redmi_note4x_130_017.jpg | 구조 | image:redmi_note4x_130_017.jpg | 구조 | ||
− | image:redmi_note4x_130_015.jpg | H881AA0 MP4 KKS G1 | + | image:redmi_note4x_130_015.jpg | H881AA0 MP4 KKS G1 김경식 |
− | image:redmi_note4x_130_016.jpg | 주기: 4.53um | + | image:redmi_note4x_130_016.jpg | 주기:4.53um x 836.5MHz = 3790m/sec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529번째 줄: | 630번째 줄: | ||
image:redmi_note4x_129_001.jpg | 노랑점선 내부가 Tx,Rx 매칭(안테나 포트 매칭은 뒷면에 있다.) | image:redmi_note4x_129_001.jpg | 노랑점선 내부가 Tx,Rx 매칭(안테나 포트 매칭은 뒷면에 있다.) | ||
</gallery> | </gallery> | ||
− | <li>Taiyo Yuden 5개 | + | <li>Taiyo Yuden 5개 [[SAW-핸드폰DPX]] |
<ol> | <ol> | ||
<li>주파수를 알아내기 위한 간이 측정 방법 | <li>주파수를 알아내기 위한 간이 측정 방법 | ||
541번째 줄: | 642번째 줄: | ||
image:redmi_note4x_188_003.jpg | 잘린 세라믹 측면에 도금을 위해 연결된 전극이 보이지 않는다. | image:redmi_note4x_188_003.jpg | 잘린 세라믹 측면에 도금을 위해 연결된 전극이 보이지 않는다. | ||
</gallery> | </gallery> | ||
− | <li>701, LTE Band7 | + | <li>701, LTE Band7 Tx:2535MHz, Rx:2655MHz |
<ol> | <ol> | ||
<li>주파수 파형 | <li>주파수 파형 | ||
547번째 줄: | 648번째 줄: | ||
image:redmi_note4x_189.png | 2535MHz | image:redmi_note4x_189.png | 2535MHz | ||
</gallery> | </gallery> | ||
− | <li> | + | <li>Tx필터 [[FBAR]] 온도 특성 실험-1 |
+ | <ol> | ||
+ | <li>치구 준비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89_001.jpg | 정확한 주파수 특성 그래프를 위해서 접지 납땜을 추가함 | ||
+ | image:redmi_note4x_189_001_001.png | 주파수 특성 그래프 | ||
+ | </gallery> | ||
+ | <li>가열 냄비 준비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89_002.jpg | ||
+ | image:redmi_note4x_189_003.jpg | ||
+ | </gallery> | ||
+ | <li>Fluorinert 액체는 Solvay Solexis회사의 GALDEN D03 제품(비점 190도, 유전율 2.1, 유전손실 0.0002)을 부었다.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89_004.jpg | Fluorinert 액체를 부어도 파형에는 큰 변화가 없다. | ||
+ | image:redmi_note4x_189_005.jpg | 온도센서를 설치하고 Fluorinert를 부은 후, | ||
+ | image:redmi_note4x_189_006.jpg | ||
+ | image:redmi_note4x_189_007.jpg | 온도센서는 DMM저항값으로 읽어드림 | ||
+ | </gallery> | ||
+ | <li>실험 방법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89_008.jpg | 별도의 K타입 열전대로 온도 측정 문제점을 체크함 | ||
+ | image:redmi_note4x_189_009.jpg | 50도 미만에서 선풍기로 온도를 더 빨리 내림 | ||
+ | </gallery> | ||
+ | <li>5071C 네트워크분석기에서 주파수 값과 3478A DMM에서 R 읽어 온도 환산 프로그램 [[tcf-ibw.txt]] | ||
+ | <li>엑셀 데이터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89_010.png | 온도프로파일 | ||
+ | image:redmi_note4x_189_011.png | 피크이득 | ||
+ | image:redmi_note4x_189_012.png | -10dB 중심주파수 | ||
+ | image:redmi_note4x_189_013.png | -30ppm 온도계수를 갖는다. | ||
+ | image:redmi_note4x_189_014.png | 대역폭 | ||
+ | </gallery> | ||
+ | </ol> | ||
+ | <li>Tx필터 온도 특성 실험-2, 첫실험이 성공이어서 온도를 더 높게 빠르게 올림 | ||
<ol> | <ol> | ||
+ | <li>30와 130도씨에서 특성 그래프 비교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89_015.png | ||
+ | </gallery> | ||
+ | <li>그래프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89_016.png | 30~130도씨 온도프로파일 | ||
+ | image:redmi_note4x_189_017.png | 피크이득 | ||
+ | image:redmi_note4x_189_018.png | -10dB 중심주파수 | ||
+ | image:redmi_note4x_189_019.png | -33ppm 온도계수를 갖는다. | ||
+ | image:redmi_note4x_189_020.png | 대역폭 | ||
+ | </gallery> | ||
+ | <li>사용된 액체 부피가 작고, 수위가 낮아 온도 편차가 크다. 그러므로 빠른 온도 상승에서는 액체를 순환시켜야(저어야)겠다. | ||
+ | </ol> | ||
+ | <li>다이 내부 - 두께가 두꺼운 제품이다. | ||
+ | <ol> | ||
+ | <li>SAW + BAW 조합이다.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89_021.jpg | ||
+ | image:redmi_note4x_189_022.jpg | Tx는 baw 필터(레이저 다이싱)에서 F-bar, Rx는 saw 필터이다. | ||
+ | </gallery> | ||
+ | <li>F-BAR baw 필터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89_023.jpg | W868-08 | ||
+ | image:redmi_note4x_189_024.jpg | 진동판에 무늬가 있는 #1~#6 표시함 | ||
+ | </gallery> | ||
+ | <li>공진기 #1~#6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89_025.jpg | #1 | ||
+ | image:redmi_note4x_189_026.jpg | #2 | ||
+ | image:redmi_note4x_189_027.jpg | #3 | ||
+ | image:redmi_note4x_189_028.jpg | #4 | ||
+ | image:redmi_note4x_189_029.jpg | #5 | ||
+ | image:redmi_note4x_189_030.jpg | #6 | ||
+ | </gallery> | ||
+ | <li>Rx saw 필터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89_031.jpg | W1895-14 | ||
+ | image:redmi_note4x_189_032.jpg | 주기:1.48um 주파수:2655M 쏘속도:3930m/sec | ||
+ | </gallery> | ||
</ol> | </ol> | ||
</ol> | </ol> | ||
578번째 줄: | 753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li>Tx:1880MHz | <li>Tx:1880MHz | ||
+ | <ol> | ||
+ | <li>전체 | ||
<gallery> | <gallery> | ||
image:redmi_note4x_190_009.jpg | X019-21 | image:redmi_note4x_190_009.jpg | X019-21 | ||
+ | image:redmi_note4x_190_009_001.jpg | 배율을 달리해서 찍음. 밝고 어두움으로 전극폭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 ||
+ | </gallery> | ||
+ | <li>withdrawal weighting에서 이처럼 전극이 넓으면 reflection withdrawal weighting, 전극을 빼면 reflection withdrawal weighting이라고 부르자.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90_009_002.jpg | 굵은 전극이 궁금해서 | ||
image:redmi_note4x_190_010.jpg | 주기:2.10um x 1880MHz = 3950m/sec | image:redmi_note4x_190_010.jpg | 주기:2.10um x 1880MHz = 3950m/sec | ||
+ | image:redmi_note4x_190_010_001.jpg | 굵은 전극 형태 | ||
+ | </gallery> | ||
+ | <li>90도로 배열된 C패턴 | ||
+ | <gallery> | ||
image:redmi_note4x_190_011.jpg | image:redmi_note4x_190_011.jpg | ||
image:redmi_note4x_190_012.jpg | image:redmi_note4x_190_012.jpg | ||
</gallery> | </gallery> | ||
+ | </ol> | ||
</ol> | </ol> | ||
<li>7A4, LTE Band1 | <li>7A4, LTE Band1 | ||
644번째 줄: | 831번째 줄: | ||
</ol> | </ol> | ||
</ol> | </ol> | ||
− | <li>Murata CG/3J, 1.55x1.15mm 크기 | + | <li>Murata [[SAW-핸드폰DPX]], 마킹 CG/3J, 1.55x1.15mm 크기 |
<ol> | <ol> | ||
<li>외관 | <li>외관 | ||
703번째 줄: | 890번째 줄: | ||
</ol> | </ol> | ||
</ol> | </ol> | ||
+ | </ol> | ||
+ | <li>[[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각속도센서), BOSCH, BMI160 | ||
+ | <ol> | ||
+ | <li> - 21p | ||
+ | <li>패키지 분해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200.jpg | 높은 IC를 찾아 표면을 긁어서 찾음. | ||
+ | image:redmi_note4x_201.jpg | 유기물 PCB에 다이본딩 | ||
+ | </gallery> | ||
+ | <li>다이 분해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202.jpg | ||
+ | </gallery> | ||
+ | <li>readout IC ID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203.jpg | BOSCH BAI160C C2014 | ||
+ | </gallery> | ||
+ | <li>3축 Gyroscope MEMS [[자이로센서]]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204.jpg | ||
+ | image:redmi_note4x_205.jpg | ||
+ | image:redmi_note4x_206.jpg | ||
+ | image:redmi_note4x_207.jpg | ||
+ | image:redmi_note4x_208.jpg | 직각사각형 movable plate를 static plate가 마주보고(면적을 넓게) 있다. | ||
+ | </gallery> | ||
+ | <li>3축 Accelerometer MEMS [[가속도센서]]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209.jpg | ||
+ | image:redmi_note4x_210.jpg | ||
+ | image:redmi_note4x_211.jpg | ||
+ | image:redmi_note4x_212.jpg | ||
+ | image:redmi_note4x_213.jpg | 주기 6.0um | ||
+ | image:redmi_note4x_214.jpg | ||
+ | image:redmi_note4x_215.jpg | 주기 6.0um | ||
+ | </gallery> | ||
</ol> | </ol> | ||
<li>위 모서리에 [[리모트콘트롤]]용 [[IR통신]]용 LED (앞에 검정 플라스틱 창이 있다.) | <li>위 모서리에 [[리모트콘트롤]]용 [[IR통신]]용 LED (앞에 검정 플라스틱 창이 있다.) | ||
725번째 줄: | 947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image:redmi_note4x_137.jpg | 매우 얇은 금도금 | image:redmi_note4x_137.jpg | 매우 얇은 금도금 | ||
+ | image:redmi_note4x_137_001.jpg | [[SIM]] tray, Dual SIM(Micro-SIM/Nano-SIM)+Micro SDXC | ||
</gallery> | </gallery> | ||
<li>리시버 [[스피커]] | <li>리시버 [[스피커]] | ||
807번째 줄: | 1,030번째 줄: | ||
image:redmi_note4x_186.jpg | image:redmi_note4x_186.jpg | ||
</gallery> | </gallery> | ||
+ | </ol> | ||
</ol> | </ol> | ||
</ol> | </ol> |
2020년 8월 1일 (토) 15:27 기준 최신판
Xiaomi, Redmi Note 4X
- 링크
- 전자부품
- 핸드폰
- Xiaomi Redmi Note 4X 휴대폰 - 이 페이지
- 핸드폰
- 전자부품
- 기술자료
- 외부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Redmi_Note_4
- 출시년도: 2017년 2월
- 사용 네트워크
- 2G GSM 850/900/1800/1900, CDMA800 & TD-SCDMA
- 3G HSDPA 850/900/1900/2100
- 4G 1, 3, 5, 7, 8, 38, 39, 40, 41 - Mediatek model, 아래 밴드에서 폰 기준으로 Tx, Rx
- B1: 2100, 1920~1980(1950), 2110~2170(2140)
- B2: 1900, 1850~1910(1880), 1930~1990(1960) - 이 밴드 듀플렉서가 있다.
- B3: 1800, 1710~1785(1747.5), 1805~1880(1842.5)
- B5: 850, 824~849(836.5), 869~894(881.5)
- B7: 2600, 2500~2570(2535), 2620~2690(2655)
- B8: 900, 880~915(897.5), 925~960(942.5)
- B38: 2600, TDD 2570~2620(2595) TY SAW 필터 발견
- B39: 1900, TDD 1880~1920(1900)
- B40: 2300, TDD 2300~2400(2350) Triquint BAW 필터 발견
- B41: 2500, TDD 2496~2690(2593)
- 외관
- finger ring stand용 조이개
- 분해시작
- 안테나
- 지문 센서
- 위치
- PCB
- 표면에 열풍을 가하면
- 다이
- 동작원리
- 위치
- 안테나 접지면 기준이 되는 후면 메탈 커버
- 마이크로 스피커
- 위치하는 곳(휴대폰 밑이다.) 및 외형
- 스피커 박스를 뜯으면
- 백볼륨 속의 스폰지
참조: 욕실용이므로 Polyester 수지 스폰지로 추정함.
- 위치하는 곳(휴대폰 밑이다.) 및 외형
- 메인 마이크
- 귀쪽에 위치한, 소음 제거용 MEMS마이크
- 외형
- 패키지 분해
- 프레임 구조
- PCB C
- MEMS 진동판 - 메인 마이크에 사용된 MEMS 진동판과 같다.
- 외형
- 메인보드 방열 및 차폐
- 카메라
- 후면 메인 카메라용 Dual-tone LED flash
- 기술
- 기존 단일 LED 플래시로 사진을 찍으면 부자연스럽고 차가운 톤으로 사진이 찍힌다.
- 서로 다른 색온도를 갖는 두 LED를 사용해서 색상 균형을 쉽게 맞출 수 있다.
- 2013년 9월 iPhone 5S에서 처음으로 등장. 흰색white과 호박색amber 사용함.
- 주변광의 화이트밸런스를 판단하여 플래시 색상을 조정한다.(맞나?)
- Dual-tone LED-SMD
- 형광체를 뜯어내면
- 켜보면
- LED 다이를 뜯으면
- 기술
- 후면 메인 카메라 - 핸드폰용 이미지센서
- 위치
- 카메라 뒷면 방열판
- 외관
- VCM 분해
- IR컷 필터 분해
- 이미지 센서
- red dot pitch 약 2.2um, 파랑 점에 결점이 있다. phase detect auto focus(PDAF)를 위한 센서 픽셀. 한 축으로만 배열되어 예를 들면 수평 자동초점을 맞춘다. 센서 전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면 전영역에 자동초점을 맞출 수 있다.
- S5K3L8 삼성전자제조, 4208x3120(13M), 1.12um, 1/3.1", pixel type:ISOCELL, PDAF auto focus
- 위치
- 전면 보조 카메라
- 후면 메인 카메라용 Dual-tone LED flash
- 적외선 근접센서(IR proximity sensors) 및 조도센서(Ambient Light Sensor)
- 사진
- 외관
- 분해
- 인터포저(interposer)
- 사진
- 메인 PCB에서 방열
BGA bare die에서 붙인 마킹 필름이 떨어졌다.
- 하단 안테나에서 온 동축케이블과 연결된, 안테나 RF스위치IC. TDD용 PAM과 W-CDMA PAM을 따로 스위칭하기 위해서(?)
- 외관
- 다이 분석
- 외관
- Skyworks 77645-11, multimode multiband(MMMB) PAM, TDD용 전용. 7개 듀플렉서를 사용하는 W-CDMA용 PAM은 따로 존재한다.
- Skyworks 77912-51, W-CDMA용 PAM (LTE B7,38,41,40,AXGP 등 2300~2690MHz)
- Mediatek MT6631N, WiFi abgn+ac, BT4.1, GPS, FM 칩
- PMIC, MEDIATEK MT6351V
- 3.2x1.5mm PMIC용 Xtal세라믹
- PMIC 주변에 있는 7개의 검정칠한 파워인덕터
- 의견
- 인덕터는 비아홀 뚫는다. 그러므로 밑면 전극만 형성시킬 수 있다. 밑면 전극만 사용하면 측면 및 위로 전극이 없다.
- 튀어나온 전극이 없기 때문에 더 얇게 만들 수 있다.(측면 전극 제품과 동일 두께라면 밑면 전극 제품은 페라이트를 더 두껍게 만들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뜻이다.)
- 밑면 전극은 스크린 인쇄해야 한다. 이 인쇄 공법이 없거나 힘들면 어쩔 수 없이 측면 전극을 형성한다.
- 이런 측면 전극을 만드는 업체에서는 고객 요청으로 절연 페인트 칠을 한다.
- 반면에 MLCC업체에서는 전혀 하지 않는다.(??????)
- 3.2x1.5mm PMIC용 Xtal세라믹
- TCXO GPS 칩용
- 메인 보드 뒷면
- 모바일AP + RAM PoP(Package On Package)
- AP 전원용 L-C-L(Tee타입) LC필터, 4개 직렬로 연결
- SanDisk SDINADF4-64G, iNAND 7232, 64GB embedded Flash Memory drive, 14nm
- 외관
- 다이 4개 적층 + 메모리 콘트롤러
- 적층다이를 와이어본딩으로 연결
- 다이 표면
- 외관
- RF transceiver IC 구역
- Mediatek MT6176V transceiver RF IC
- Rx 다이버시티
- Rx 다이버시티용 스위치
- SAW-핸드폰RF 8개 1.1x0.9mm
- 노랑점선: 안테나, 쏘필터 그리고 이들 사이 매칭영역, 주황점선: 모듈과 트랜시버IC 사이의 매칭영역
- 필터 8개 주파수특성 측정을 위해 간이 연결
- 필터 8개 주파수특성 엑셀 데이터
- 필터 8개 주파수특성 그래프
- #7번 필터, 2017년 8월, China 제조
- Rx 다이버시티용 스위치
- 듀플렉서 1.8x1.4mm 7개, 무라타1, 트라이퀸트1, Taiyo Yuden 5개
- 전체
- Taiyo Yuden 5개 SAW-핸드폰DPX
- 주파수를 알아내기 위한 간이 측정 방법
- 측면
- 701, LTE Band7 Tx:2535MHz, Rx:2655MHz
- 주파수 파형
- Tx필터 FBAR 온도 특성 실험-1
- 치구 준비
- 가열 냄비 준비
- Fluorinert 액체는 Solvay Solexis회사의 GALDEN D03 제품(비점 190도, 유전율 2.1, 유전손실 0.0002)을 부었다.
- 실험 방법
- 5071C 네트워크분석기에서 주파수 값과 3478A DMM에서 R 읽어 온도 환산 프로그램 tcf-ibw.txt
- 엑셀 데이터
- 치구 준비
- Tx필터 온도 특성 실험-2, 첫실험이 성공이어서 온도를 더 높게 빠르게 올림
- 30와 130도씨에서 특성 그래프 비교
- 그래프
- 사용된 액체 부피가 작고, 수위가 낮아 온도 편차가 크다. 그러므로 빠른 온도 상승에서는 액체를 순환시켜야(저어야)겠다.
- 30와 130도씨에서 특성 그래프 비교
- 다이 내부 - 두께가 두꺼운 제품이다.
- SAW + BAW 조합이다.
- F-BAR baw 필터
- 공진기 #1~#6
- Rx saw 필터
- SAW + BAW 조합이다.
- 주파수 파형
- 7B1, LTE Band2, Tx:1880MHz Rx:1960MHz, 두꺼운 제품인다.
- 주파수 파형
- 땜납으로 4변에 벽을 세웠다.
- 사파이어+LT(?) 접합 웨이퍼를 사용했다.
- 다이를 뜯어냄
- Rx
- Tx:1880MHz
- 전체
- withdrawal weighting에서 이처럼 전극이 넓으면 reflection withdrawal weighting, 전극을 빼면 reflection withdrawal weighting이라고 부르자.
- 90도로 배열된 C패턴
- 전체
- 주파수 파형
- 7A4, LTE Band1
- 주파수 파형
- 전체
- Rx
- Tx
- 주파수 파형
- 7G6, LTE Band8, 두께가 얇은 제품이다.
- 주파수 파형
- 다이 내부
- 주파수 파형
- 7E4, LTE Band5
- 주파수 파형
- 다이 내부
- 주파수 파형
- 주파수를 알아내기 위한 간이 측정 방법
- Murata SAW-핸드폰DPX, 마킹 CG/3J, 1.55x1.15mm 크기
- 외관
- 패키징
- 다이
- 외관
- Qorvo , TQQ1003 1747.5/1842.5MHz LTE Band3 WLP SMR-[BAW]] 듀플렉서
- 외관
- 유기물 PCB
- 다이 분리
- 두 다이
- 빈공간을 유지하는, 벽과 지붕
- 본딩 패드와 검사용 패드
- 발연질산에 넣어서
- 외관
- 전체
- Mediatek MT6176V transceiver RF IC
-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각속도센서), BOSCH, BMI160
- 위 모서리에 리모트콘트롤용 IR통신용 LED (앞에 검정 플라스틱 창이 있다.)
- 전면 상단에 3색 LED-모듈
- 진동모터
- 플라스틱 보호 커버(뭔가 누르기 위해 존재?)
- 카드접점
SIM tray, Dual SIM(Micro-SIM/Nano-SIM)+Micro SDXC
- 리시버 스피커
- 디스플레이 파트
- 파우치 2차-리튬 배터리
-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