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F스위치IC"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
잔글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li>참고 | <li>참고 | ||
<ol> | <ol> | ||
+ | <li> [[ASM]] | ||
<li> [[RF스위치]] | <li> [[RF스위치]] | ||
</ol> | </ol> | ||
+ | </ol> | ||
+ | <li>참고 | ||
+ | <ol> | ||
+ | <li> [[Rx 스위치+SAW 모듈]] | ||
</ol> | </ol> | ||
</ol> | </ol> | ||
23번째 줄: | 28번째 줄: | ||
<li>silicon -insulator-silicon substrate를 사용한다. | <li>silicon -insulator-silicon substrate를 사용한다. | ||
</ol> | </ol> | ||
− | <li>SoS | + | <li>SoS, 실리콘 온 [[사파이어]] |
<ol> | <ol> | ||
<li>위키페이아 https://en.wikipedia.org/wiki/Silicon_on_sapphire | <li>위키페이아 https://en.wikipedia.org/wiki/Silicon_on_sapphire | ||
31번째 줄: | 36번째 줄: | ||
<li>현재 핸드폰용 스위치 IC는 SoS가 비싸기 때문에 SoI로 대부분 만든다. | <li>현재 핸드폰용 스위치 IC는 SoS가 비싸기 때문에 SoI로 대부분 만든다. | ||
</ol> | </ol> | ||
+ | </ol> | ||
+ | </ol> | ||
+ | <li>(단품이 아닌) 스위칭 회로 패턴 | ||
+ | <ol> | ||
+ | <li>5,8GHz DSRC용 SONY G1132A [[FEM]] - (앰프,스위치,믹서 등이 포함되었을 것으로 추정함.) | ||
+ | <ol> | ||
+ | <li>[[RF스위치IC]]에 적용되는 [[트랜지스터]] 회로 - 빗살무늬 전극은 drain 및 source 용 전극이고, 가운데 지나가는 가는 전극은 gate. 두 줄이므로 dual gate 소자. | ||
+ | <gallery> | ||
+ | image:hipass_rf01_065_002.jpg | ||
+ | image:hipass_rf01_065_003.jpg | ||
+ | image:hipass_rf01_065_004.jpg | ||
+ | </gallery> | ||
</ol> | </ol> | ||
</ol> | </ol> | ||
<li>(RF용도가 아닌) 아날로그 스위치 | <li>(RF용도가 아닌) 아날로그 스위치 | ||
<ol> | <ol> | ||
− | <li> | + | <li> [[National VP-7722A 오디오분석기]] |
<ol> | <ol> | ||
<li>HI1-201-5, Quad SPST CMOS Analog Switches, Harris Semiconductor | <li>HI1-201-5, Quad SPST CMOS Analog Switches, Harris Semiconductor | ||
48번째 줄: | 65번째 줄: | ||
<li>[[핸드폰]]에서 | <li>[[핸드폰]]에서 | ||
<ol> | <ol> | ||
− | <li> | + | <li>2007.10 출시 [[LG-SH170]] 슬라이드 피처폰 |
<ol> | <ol> | ||
<li> [[Rx 스위치+SAW 모듈]], MA543 Murata | <li> [[Rx 스위치+SAW 모듈]], MA543 Murata | ||
55번째 줄: | 72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 | <li> | + | <li>2009.12 출시 삼성 [[SPH-M8400]] 옴니아2 스마트폰 |
<ol> | <ol> | ||
− | <li> | + | <li> [[FEM]], 4.5x3.2mm, |
+ | <gallery> | ||
+ | image:sph_m8400_023.jpg | 1.4x1.11mm SAW 2개 | ||
+ | image:sph_m8400_023_001.jpg | 우측 아래에 Peregrine 글자 및 마크가 뒷면으로 보인다. | ||
+ | image:sph_m8400_023_002.jpg | C9869_2 B02, SoS(실리콘 온 사파이어) 웨이퍼 | ||
+ | </gallery> | ||
+ | </ol> | ||
+ | <li>2010.07 출시 삼성 [[GT-B7722]] 피처폰 | ||
+ | <ol> | ||
+ | <li>EPCOS D5027 [[Rx 스위치+SAW 모듈]] FEM | ||
<ol> | <ol> | ||
− | <li> [[LTCC 기판]] | + | <li> [[LTCC 기판]] 위에 듀얼쏘필터2개, L2개, 스위치IC 하나. |
<gallery> | <gallery> | ||
− | image: | + | image:gt_b7722_013_012.jpg |
+ | image:gt_b7722_013_018.jpg | 2G 밴드 GSM 850 / 900 / 1800 / 1900 | ||
</gallery> | </gallery> | ||
− | <li> | + | <li>안테나-Tx/Rx(각각 2G GSM 4채널) 그래서 8개 RF ntype-FET 스위치가 존재. 큰패턴이 series, 작은 것이 shunt 스위치. |
+ | <li>패턴 사진 | ||
<gallery> | <gallery> | ||
− | image: | + | image:gt_b7722_013_006.jpg |
− | image: | + | image:gt_b7722_013_007.jpg |
− | image: | + | image:gt_b7722_013_008.jpg |
+ | image:gt_b7722_013_009.jpg | ||
+ | image:gt_b7722_013_010.jpg | 구경 및 피치 측정. 15개 직렬 FET 스위치-내전압, 병렬-이득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ol> | </ol> | ||
− | <li> | + | <li>2011.02 출시 삼성 와이즈 [[SHW-A240S]] 폴더 피처폰 |
<ol> | <ol> | ||
− | <li> | + | <li> [[Rx 스위치+SAW 모듈]] |
− | |||
− | |||
<gallery> | <gallery> | ||
− | image: | + | image:shw_a240s_014.jpg | [[언더필]]되어 있는 투명다이는 SoS 웨이퍼로 만든 [[RF스위치IC]]이다. |
− | image: | + | image:shw_a240s_014_003_001.jpg |
− | + | image:shw_a240s_014_003_002.jpg | |
− | + | image:shw_a240s_014_003_003.jpg | 본딩면을 볼 때. 의외로 [[거울]]상으로 제조회사 [[IC 표식]]을 하고 있음. | |
− | |||
− | image: | ||
− | image: | ||
− | |||
−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 | + | <li>2013.10 출시 애플 [[iPhone 5S]] 스마트폰에서 | |
− | <li> | ||
<ol> | <ol> | ||
<li>SG마킹: [[RF스위치IC]] | <li>SG마킹: [[RF스위치IC]] | ||
114번째 줄: | 136번째 줄: | ||
image:iphone5s01_138_005.jpg | image:iphone5s01_138_005.jpg | ||
</gallery> | </gallery> | ||
− | <li>[[RF스위치IC]] | + | <li> [[RF스위치IC]] 두 개 |
<ol> | <ol> | ||
<li>전체 | <li>전체 | ||
<gallery> | <gallery> | ||
− | image:iphone5s01_137.jpg | + | image:iphone5s01_137.jpg | 오른쪽에 검정다이 두 개 |
image:iphone5s01_137_001.jpg | image:iphone5s01_137_001.jpg | ||
</gallery> | </gallery> | ||
131번째 줄: | 153번째 줄: | ||
image:iphone5s01_137_005.jpg | image:iphone5s01_137_005.jpg | ||
image:iphone5s01_137_006.jpg | image:iphone5s01_137_006.jpg | ||
− | image:iphone5s01_137_007.jpg | + | image:iphone5s01_137_007.jpg | [[더미 필 패턴]] |
image:iphone5s01_137_008.jpg | Skyworks PK5011 | image:iphone5s01_137_008.jpg | Skyworks PK5011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 | <li>다이버시티 [[SAW | + | <li>다이버시티 [[Rx 스위치+SAW 모듈]] 무라타 제조 |
<ol> | <ol> | ||
<li>외관 | <li>외관 | ||
<gallery> | <gallery> | ||
− | image:iphone5s01_126.jpg | + | image:iphone5s01_126.jpg | 몰딩 후 그라인더로 표면을 평탄화하였다. |
</gallery> | </gallery> | ||
<li>표면부터 긁어 관찰 | <li>표면부터 긁어 관찰 | ||
<gallery> | <gallery> | ||
− | image:iphone5s01_126_001.jpg | | + | image:iphone5s01_126_001.jpg | [[RF스위치IC]] 3개 다이 |
image:iphone5s01_126_002.jpg | SAW 6다이(듀얼4, 싱글2) = 총 10밴드 | image:iphone5s01_126_002.jpg | SAW 6다이(듀얼4, 싱글2) = 총 10밴드 | ||
− | image:iphone5s01_126_003.jpg | | + | image:iphone5s01_126_003.jpg | [[RF스위치IC]] 다이 2개는 투명하다. |
</gallery> | </gallery> | ||
<li> [[RF스위치IC]] | <li> [[RF스위치IC]] | ||
153번째 줄: | 175번째 줄: | ||
image:iphone5s01_126_016.jpg | M4793 | image:iphone5s01_126_016.jpg | M4793 | ||
image:iphone5s01_126_017.jpg | image:iphone5s01_126_017.jpg | ||
− | image:iphone5s01_126_018.jpg | FET | + | image:iphone5s01_126_018.jpg | [[FET]] 스위치 패턴 |
− | image:iphone5s01_126_019.jpg | [[IDT | + | image:iphone5s01_126_019.jpg | [[IDT 커패시터]] |
</gallery> | </gallery> | ||
<li>Peregrine C9956_4 B02, SoS(slicon on sapphire) 제품 | <li>Peregrine C9956_4 B02, SoS(slicon on sapphire) 제품 | ||
168번째 줄: | 190번째 줄: | ||
image:iphone5s01_126_025.jpg | 폴리싱 전 | image:iphone5s01_126_025.jpg | 폴리싱 전 | ||
image:iphone5s01_126_026.jpg | 폴리싱 후 | image:iphone5s01_126_026.jpg | 폴리싱 후 | ||
− | image:iphone5s01_126_027.jpg | FET | + | image:iphone5s01_126_027.jpg | [[FET]] 스위치 패턴 |
image:iphone5s01_126_028.jpg | image:iphone5s01_126_028.jpg | ||
− | image:iphone5s01_126_029.jpg | Peregrine 송골매 | + | image:iphone5s01_126_029.jpg | [[IC 표식]] Peregrine 송골매 |
image:iphone5s01_126_030.jpg | [[사파이어]] 두께 약 125um | image:iphone5s01_126_030.jpg | [[사파이어]] 두께 약 125um | ||
− | image:iphone5s01_126_031.jpg | + | image:iphone5s01_126_031.jpg | 레이저 [[다이싱]]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ol> | </ol> | ||
</ol> | </ol> | ||
− | <li> | + | <li>2015.06 출시 [[LG-F570S]] LG Band Play 스마트폰 |
+ | <ol> | ||
+ | <li>G93, 2.5x2.5mm LTCC 스위치 모듈 | ||
+ | <ol> | ||
+ | <li> [[LTCC 기판]]을 사용한, 동일한 제품 두 개를 사용하고 있다. | ||
+ | <gallery> | ||
+ | image:lg_f570s_037.jpg | ||
+ | </gallery> | ||
+ | <li> [[RF스위치IC]] | ||
+ | <gallery> | ||
+ | image:lg_f570s_037_003.jpg | S067U HK9 스위치 IC | ||
+ | image:lg_f570s_037_004.jpg | ||
+ | image:lg_f570s_037_005.jpg | K9 | ||
+ | </gallery> | ||
+ | </ol> | ||
+ | </ol> | ||
+ | <li>2016.01 출시 삼성 [[SM-A710S]] 갤럭시 A7 LTE 스마트폰 | ||
<ol> | <ol> | ||
<li> [[Rx 스위치+SAW 모듈]] | <li> [[Rx 스위치+SAW 모듈]] | ||
187번째 줄: | 225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 | <li>2017.02 출시 샤오미 [[Redmi Note 4X]] 스마트폰에서 | ||
+ | <ol> | ||
+ | <li>TDD용 PAM과 W-CDMA PAM을 따로 스위칭하기 위해서(?) | ||
+ | <ol> | ||
+ | <li>외관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31.jpg | 회사 마크가 RFMD | ||
+ | image:redmi_note4x_094_006.jpg | ||
+ | </gallery> | ||
+ | <li>다이 분석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31_001.jpg | ||
+ | image:redmi_note4x_131_002.jpg | M1D1643A01 RFMD 2013 | ||
+ | image:redmi_note4x_131_003.jpg | ||
+ | image:redmi_note4x_131_004.jpg | ||
+ | </gallery> | ||
+ | </ol> | ||
+ | </ol> | ||
+ | <li>2019년 03월 출시 [[Teclast P80X 안드로이드 태블릿]] | ||
+ | <ol> | ||
+ | <li>Maxscend, MXD8680, SP8T 안테나 [[RF스위치IC]] | ||
+ | <gallery> | ||
+ | image:teclast_p80x_008.jpg | ||
+ | </gallery> | ||
+ | </ol> | ||
+ | <li>2020.05 출시 [[삼성 갤럭시 A51, SM-A516N 스마트폰]] | ||
+ | <ol> | ||
+ | <li>Murata K21 JrCVB | ||
+ | <ol> | ||
+ | <li>스위치-1, Peregrine | ||
+ | <gallery> | ||
+ | image:sm_a516n_063_001_052.jpg | ||
+ | image:sm_a516n_063_001_053.jpg | ||
+ | </gallery> | ||
+ | <li>스위치-2, Peregrine | ||
+ | <gallery> | ||
+ | image:sm_a516n_063_001_054.jpg | ||
+ | </gallery> | ||
+ | <li>스위치-3, Peregrine | ||
+ | <gallery> | ||
+ | image:sm_a516n_063_001_055.jpg | ||
+ | </gallery> | ||
+ | <li>스위치-4, Peregrine | ||
+ | <gallery> | ||
+ | image:sm_a516n_063_001_056.jpg | ||
+ | image:sm_a516n_063_001_057.jpg | ||
+ | </gallery> | ||
+ | </ol> | ||
+ | </ol> | ||
+ | <li>2021.01 출시 [[삼성 갤럭시 A12, SM-A125F 스마트폰]] | ||
+ | <gallery> | ||
+ | image:sm_a125_013_001.jpg | Maxscend MXD8680 SP8T, Maxscend MXD83E4W [[RF스위치IC]] | ||
+ | </gallery> | ||
</ol> | </ol> | ||
<li>Alpha(이후 Skyworks) | <li>Alpha(이후 Skyworks) | ||
205번째 줄: | 296번째 줄: | ||
<li>AC-438 SPDT | <li>AC-438 SPDT | ||
<ol> | <ol> | ||
− | <li> [[8960]] | + | <li> [[Agilent 8960 무선통신 테스트 세트]]에서 |
<ol> | <ol> | ||
<li>감쇠기 보드에서 | <li>감쇠기 보드에서 | ||
233번째 줄: | 324번째 줄: | ||
<ol> | <ol> | ||
<li>데이터시트 - 10p | <li>데이터시트 - 10p | ||
− | <li> [[한국인포콤 RSE200 | + | <li> [[한국인포콤 RSE200 하이패스 노변장치]]에서 |
<ol> | <ol> | ||
<li>3채널 [[RF 분배기]]에서 | <li>3채널 [[RF 분배기]]에서 | ||
242번째 줄: | 333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 | <li>인포콤 | + | <li> [[인포콤 LHP-1103 RF하이패스 단말기]] , 5.8GHz Tx/Rx용 SPDT 스위치 |
<gallery> | <gallery> | ||
image:hipass_rf02_050.jpg | image:hipass_rf02_050.jpg | ||
image:hipass_rf02_051.jpg | 중심 위: common, 좌우가 sig1,2, 아래 두 개가 각 sig1,2에 대응하는 gnd, 오른쪽 위가 ctrl. | image:hipass_rf02_051.jpg | 중심 위: common, 좌우가 sig1,2, 아래 두 개가 각 sig1,2에 대응하는 gnd, 오른쪽 위가 ctrl. | ||
− | image:hipass_rf02_052.jpg | 레이저 다이싱 | + | image:hipass_rf02_052.jpg | [[레이저 다이싱]]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255번째 줄: | 346번째 줄: | ||
<ol> | <ol> | ||
<li>MA-COM SW-338 규격서 | <li>MA-COM SW-338 규격서 | ||
− | <li> [[8960]] | + | <li> [[Agilent 8960 무선통신 테스트 세트]]에서 |
<gallery> | <gallery> | ||
image:8960_11_017.jpg | 50오옴 [[평면 전송라인]]선폭과 IC간의 선폭 연결방법 | image:8960_11_017.jpg | 50오옴 [[평면 전송라인]]선폭과 IC간의 선폭 연결방법 | ||
296번째 줄: | 387번째 줄: | ||
<li>TV에서 | <li>TV에서 | ||
<ol> | <ol> | ||
− | <li> | + | <li> [[삼성전자 LN32N71BD LCD TV]]에서 |
<ol> | <ol> | ||
<li>유지컴 Ugcom Co., Ltd., UMX-NT-059, RF-switch (좌측 두 개의 입력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오른쪽 내부 튜너로 보낸다.) | <li>유지컴 Ugcom Co., Ltd., UMX-NT-059, RF-switch (좌측 두 개의 입력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오른쪽 내부 튜너로 보낸다.) | ||
317번째 줄: | 408번째 줄: | ||
<li>TC732 8GHz SPDT (사용안하면 Terminated) -1.1dB | <li>TC732 8GHz SPDT (사용안하면 Terminated) -1.1dB | ||
<ol> | <ol> | ||
− | <li> [[Agilent | + | <li> [[Agilent N4431B]] 4port E-Cal |
<gallery> | <gallery> | ||
image:n4431_022.jpg | image:n4431_022.jpg | ||
378번째 줄: | 469번째 줄: | ||
<li>TC752(1GG7-8157) - DC-20GHz, -1.4dB, SPDT GaAs MMIC, non-terminated | <li>TC752(1GG7-8157) - DC-20GHz, -1.4dB, SPDT GaAs MMIC, non-terminated | ||
<ol> | <ol> | ||
− | <li> [[Agilent | + | <li> [[Agilent N4431B]] 4port E-Cal |
<gallery> | <gallery> | ||
image:n4431_027.jpg | image:n4431_027.jpg |
2025년 3월 23일 (일) 21:22 기준 최신판
RF스위치IC
- 전자부품
- RF-IC
- 참고
- 기술
- FET 스위치
- 사용 웨이퍼
- SoI
- 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Silicon_on_insulator
- silicon -insulator-silicon substrate를 사용한다.
- SoS, 실리콘 온 사파이어
- 위키페이아 https://en.wikipedia.org/wiki/Silicon_on_sapphire
- 사파이어 웨이퍼에 실리콘을 약 0.6um hetero-epitaxial로 키워 사용한다.
- 페러그린 특허를 바탕으로 이 회사는 스위치 IC를 대량생산하였다.
- 현재 핸드폰용 스위치 IC는 SoS가 비싸기 때문에 SoI로 대부분 만든다.
- 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Silicon_on_insulator
- SoI
- (단품이 아닌) 스위칭 회로 패턴
- (RF용도가 아닌) 아날로그 스위치
- National VP-7722A 오디오분석기
- HI1-201-5, Quad SPST CMOS Analog Switches, Harris Semiconductor
- HI1-201-5, Quad SPST CMOS Analog Switches, Harris Semiconductor
- National VP-7722A 오디오분석기
- 핸드폰에서
- 2007.10 출시 LG-SH170 슬라이드 피처폰
- Rx 스위치+SAW 모듈, MA543 Murata
- Rx 스위치+SAW 모듈, MA543 Murata
- 2009.12 출시 삼성 SPH-M8400 옴니아2 스마트폰
- FEM, 4.5x3.2mm,
- FEM, 4.5x3.2mm,
- 2010.07 출시 삼성 GT-B7722 피처폰
- EPCOS D5027 Rx 스위치+SAW 모듈 FEM
- LTCC 기판 위에 듀얼쏘필터2개, L2개, 스위치IC 하나.
- 안테나-Tx/Rx(각각 2G GSM 4채널) 그래서 8개 RF ntype-FET 스위치가 존재. 큰패턴이 series, 작은 것이 shunt 스위치.
- 패턴 사진
- LTCC 기판 위에 듀얼쏘필터2개, L2개, 스위치IC 하나.
- EPCOS D5027 Rx 스위치+SAW 모듈 FEM
- 2011.02 출시 삼성 와이즈 SHW-A240S 폴더 피처폰
- 2013.10 출시 애플 iPhone 5S 스마트폰에서
- 2015.06 출시 LG-F570S LG Band Play 스마트폰
- 2016.01 출시 삼성 SM-A710S 갤럭시 A7 LTE 스마트폰
- 2017.02 출시 샤오미 Redmi Note 4X 스마트폰에서
- TDD용 PAM과 W-CDMA PAM을 따로 스위칭하기 위해서(?)
- 외관
- 다이 분석
- 외관
- TDD용 PAM과 W-CDMA PAM을 따로 스위칭하기 위해서(?)
- 2019년 03월 출시 Teclast P80X 안드로이드 태블릿
- Maxscend, MXD8680, SP8T 안테나 RF스위치IC
- Maxscend, MXD8680, SP8T 안테나 RF스위치IC
- 2020.05 출시 삼성 갤럭시 A51, SM-A516N 스마트폰
- Murata K21 JrCVB
- 스위치-1, Peregrine
- 스위치-2, Peregrine
- 스위치-3, Peregrine
- 스위치-4, Peregrine
- 스위치-1, Peregrine
- Murata K21 JrCVB
- 2021.01 출시 삼성 갤럭시 A12, SM-A125F 스마트폰
Maxscend MXD8680 SP8T, Maxscend MXD83E4W RF스위치IC
- 2007.10 출시 LG-SH170 슬라이드 피처폰
- Alpha(이후 Skyworks)
- AS006M2-10, GaAs SPDT Switch, DC-6GHz - 2p
- AC-438 SPDT
- Agilent 8960 무선통신 테스트 세트에서
- 감쇠기 보드에서
- Demodulation Downconverter 보드에서
- RF 프론트엔드 제어보드에서
- 감쇠기 보드에서
- Agilent 8960 무선통신 테스트 세트에서
- Renesas
- uPG2163T5N, GaAs MMIC SPDT, Dual-Band Wireless LAN
- 데이터시트 - 10p
- 한국인포콤 RSE200 하이패스 노변장치에서
- 인포콤 LHP-1103 RF하이패스 단말기 , 5.8GHz Tx/Rx용 SPDT 스위치
- uPG2163T5N, GaAs MMIC SPDT, Dual-Band Wireless LAN
- MACOM
- MACOM SW-338 GaAs SPDT terminated Switch DC-2.5GHz
- MA-COM SW-338 규격서
- Agilent 8960 무선통신 테스트 세트에서
50오옴 평면 전송라인선폭과 IC간의 선폭 연결방법
- HP 4380A 8-Port Test Set
- 사진
- 측정 회로
- SW-338 회로도에 근거한, 주파수 특성
- 스위치 CTRL-1 ON 일 때a
- 스위치 CTRL-2 ON
- 스위치 CTRL-1 ON 일 때a
- 사진
- MACOM SW-927(1-out1 2-gnd 3-out2 4-ctrl 5-ctrl 6-in 7,8-gnd)은 SW-338(1-ctrl 2-in 3-ctrl 4-gnd 5-out 6,7-gnd 8-out)과 핀 맵만 다른 듯.
- MACOM SW-338 GaAs SPDT terminated Switch DC-2.5GHz
- TV에서
- 삼성전자 LN32N71BD LCD TV에서
- 유지컴 Ugcom Co., Ltd., UMX-NT-059, RF-switch (좌측 두 개의 입력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오른쪽 내부 튜너로 보낸다.)
- 유지컴 Ugcom Co., Ltd., UMX-NT-059, RF-switch (좌측 두 개의 입력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오른쪽 내부 튜너로 보낸다.)
- 삼성전자 LN32N71BD LCD TV에서
- HP, Agilent, Keysight 계측기용 모듈에서
- TC727
- HP 5086-7539 SPDT RF 스위치
HP TC727 FET RF스위치IC
- HP 5086-7539 SPDT RF 스위치
- TC732 8GHz SPDT (사용안하면 Terminated) -1.1dB
- Agilent N4431B 4port E-Cal
- Agilent N4431B 4port E-Cal
- TC735
- 8960, Measurement Downconverter(MDC)에서
- 8960, Measurement Downconverter(MDC)에서
- TC736
- 8960, Measurement Downconverter(MDC)에서
- 8960, Measurement Downconverter(MDC)에서
- TC739
- 8960, Measurement Downconverter(MDC)에서
- 8960, Measurement Downconverter(MDC)에서
- TC742
- Agilent 85093 2port E-Cal
- Agilent U9397A SPDT RF 스위치, 3개 포트에 각각 사용
TC742, 로트번호 HFAD, JUN 97, Agilent M C Copyright
- HP 5087-7067 SPDT RF 스위치에서, 50오옴으로 연결되지 않는 고장
thru되는 쪽 패턴에 정전기 파괴 흔적이 관찰된다.(항상 ON되는 듯)
- Agilent 85093 2port E-Cal
- TC752(1GG7-8157) - DC-20GHz, -1.4dB, SPDT GaAs MMIC, non-terminated
- Agilent N4431B 4port E-Cal
- Agilent N4431B 4port E-Cal
- TC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