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W duplexer"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Togotech님이 SAW-핸드폰DPX 문서를 SAW duplexer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잔글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SAW | + | SAW duplexer |
<ol> | <ol> | ||
<li> [[전자부품]] | <li> [[전자부품]]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li> [[SAW대문]] | <li> [[SAW대문]] | ||
<ol> | <ol> | ||
− | <li> [[SAW | + | <li> [[SAW duplexer]] - 이 페이지 |
<li>참고 | <li>참고 | ||
<ol> | <ol>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li> [[PAMiD]] | <li> [[PAMiD]] | ||
</ol> | </ol> | ||
+ | </ol> | ||
+ | <li>참고 | ||
+ | <ol> | ||
+ | <li> [[필터 정격전력]] 내전력, 허용전력 | ||
</ol> | </ol> | ||
</ol> | </ol> | ||
108번째 줄: | 112번째 줄: | ||
image:saw_dpx9575_02_013.jpg | 9.5x7.5mm vs 1.55x1.15mm | image:saw_dpx9575_02_013.jpg | 9.5x7.5mm vs 1.55x1.15mm | ||
</gallery> | </gallery> | ||
− | <li>[[포켓WiFi]]에서 사용된 2.0x1.6mm 제품과 비교하기 위해 분해 | + | <li> [[포켓WiFi]]에서 사용된 2.0x1.6mm 제품과 비교하기 위해 분해 |
<ol> | <ol> | ||
<li>비교 사진 | <li>비교 사진 | ||
149번째 줄: | 153번째 줄: | ||
<li>Fujitsu | <li>Fujitsu | ||
<ol> | <ol> | ||
− | <li> | + | <li>2003.03 제조품 [[LG-SD125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l> | <ol> | ||
− | <li> | + | <li>N4 마킹품(FAR-D5CN-881M50-D1N4), 데이터 시트 - 9p |
<gallery> | <gallery> | ||
image:lg_sd1250_006.jpg | image:lg_sd1250_006.jpg | ||
168번째 줄: | 163번째 줄: | ||
<li>내부 | <li>내부 | ||
<gallery> | <gallery> | ||
− | image:lg_sd1250_008_001.jpg | | + | image:lg_sd1250_008_001.jpg | [[Al 웨지 와이어본딩]] |
image:lg_sd1250_008_002.jpg | 실버에폭시 다이본딩 | image:lg_sd1250_008_002.jpg | 실버에폭시 다이본딩 | ||
image:lg_sd1250_008_003.jpg | MHA622-03, 다이 크기 2.37x1.96mm | image:lg_sd1250_008_003.jpg | MHA622-03, 다이 크기 2.37x1.96mm | ||
176번째 줄: | 171번째 줄: | ||
image:lg_sd1250_008_004.jpg | 다이를 뜯어내기 위해 빨갛게 달군 후(검정 물질은 땜납 Sn이 산화되면 이렇게 부피가 커지는 듯) | image:lg_sd1250_008_004.jpg | 다이를 뜯어내기 위해 빨갛게 달군 후(검정 물질은 땜납 Sn이 산화되면 이렇게 부피가 커지는 듯) | ||
image:lg_sd1250_008_005.jpg | 측면 다이싱 | image:lg_sd1250_008_005.jpg | 측면 다이싱 | ||
+ | </gallery> | ||
+ | </ol> | ||
+ | <li>2005.05 제조 [[싸이버뱅크 CP-X310]] PDA폰 | ||
+ | <ol> | ||
+ | <li>M5 마킹품(FAR-D5CM-881M50-D1M5????) | ||
+ | <gallery> | ||
+ | image:cp_x310_026.jpg | 안테나 접점과 바로 연결되는 Fujitsu [[SAW duplexer]] | ||
+ | image:cp_x310_029.jpg | ||
+ | </gallery> | ||
+ | <li>AuSn [[솔더]]로 밀봉된 뚜껑을 벗기면 | ||
+ | <gallery> | ||
+ | image:cp_x310_029_001.jpg | [[Al 웨지 와이어본딩]] | ||
+ | </gallery> | ||
+ | <li> [[가스토치]]로 바닥면을 달궈 다이를 뜯어내면 | ||
+ | <gallery> | ||
+ | image:cp_x310_029_002.jpg | Ag 에폭시 [[도전성 접착제]] | ||
+ | </gallery> | ||
+ | <li>다이 패턴 | ||
+ | <gallery> | ||
+ | image:cp_x310_029_003.jpg | S6991-21 | ||
+ | image:cp_x310_029_004.jpg | [[가스토치]]로 바닥을 달구니. 와이어연결된 부위는 덜 변했다. | ||
+ | image:cp_x310_029_005.jpg | [[SAW필터에서 초전성]]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311번째 줄: | 328번째 줄: | ||
<ol> | <ol> | ||
<li>규격서 - 6p | <li>규격서 - 6p | ||
− | <li> [[SAW | + | <li> [[SAW duplexer]] |
<ol> | <ol> | ||
<li>SAWTEK 856331, W마크가 이 기종이다. 1997년 141일차, 생산지C | <li>SAWTEK 856331, W마크가 이 기종이다. 1997년 141일차, 생산지C | ||
345번째 줄: | 362번째 줄: | ||
<li>무라타 SAW UMTS 2100(Tx 1920-1980, Rx 2110-2170) DPX, 3.2x2.5mm [[LTCC 기판]] 캐비티 구리전극, 2칩, 플립본딩, AuSn 실링 | <li>무라타 SAW UMTS 2100(Tx 1920-1980, Rx 2110-2170) DPX, 3.2x2.5mm [[LTCC 기판]] 캐비티 구리전극, 2칩, 플립본딩, AuSn 실링 | ||
<ol> | <ol> | ||
− | <li> | + | <li>2007.10 출시 [[LG-SH170]] 슬라이드 피처폰 |
<ol> | <ol> | ||
<li>리드 실링이 틀어져 있다. (힘들게 하나씩 리드를 누르면서 실링했다는 뜻) | <li>리드 실링이 틀어져 있다. (힘들게 하나씩 리드를 누르면서 실링했다는 뜻) | ||
452번째 줄: | 469번째 줄: | ||
image:gt_b6520_012.jpg | SAW 부품 1,2,3,4,5,6 위치 | image:gt_b6520_012.jpg | SAW 부품 1,2,3,4,5,6 위치 | ||
</gallery> | </gallery> | ||
− | <li>2번 [[SAW | + | <li>2번 [[SAW duplexer]] 2.5x2.0mm, 와이솔 제품 |
<gallery> | <gallery> | ||
image:gt_b6520_016.jpg | 칩 두께가 서로 다르다. | image:gt_b6520_016.jpg | 칩 두께가 서로 다르다. | ||
458번째 줄: | 475번째 줄: | ||
image:gt_b6520_016_002.jpg | XG50PD5-MP? Tx HJD | image:gt_b6520_016_002.jpg | XG50PD5-MP? Tx HJD | ||
</gallery> | </gallery> | ||
− | <li>3번 [[SAW | + | <li>3번 [[SAW duplexer]] 2.5x2.0mm, 와이솔(?) 제품 |
<gallery> | <gallery> | ||
image:gt_b6520_017.jpg | 칩 두께가 서로 다르다. | image:gt_b6520_017.jpg | 칩 두께가 서로 다르다. | ||
552번째 줄: | 569번째 줄: | ||
image:sch_b8850d_020_002_001.jpg | image:sch_b8850d_020_002_001.jpg | ||
image:sch_b8850d_020_002_002.jpg | 주기 4.49um, 851MHz라면 3820m/sec | image:sch_b8850d_020_002_002.jpg | 주기 4.49um, 851MHz라면 3820m/sec | ||
+ | </gallery> | ||
+ | </ol> | ||
+ | <li>2009.12 출시 삼성 [[SPH-M8400]] 옴니아2 스마트폰 | ||
+ | <ol> | ||
+ | <li>마킹 KN S22, US-PCS 1880/1960MHz로 추정. TC-SAW로 추정 | ||
+ | <li>외관 및 2칩 플립본딩 | ||
+ | <gallery> | ||
+ | image:sph_m8400_027.jpg | ||
+ | image:sph_m8400_028.jpg | ||
+ | </gallery> | ||
+ | <li>Rx 칩 | ||
+ | <gallery> | ||
+ | image:sph_m8400_028_001_001.jpg | N307-C1 | ||
+ | image:sph_m8400_028_001_002.jpg | 어느 IDT 주기 1.60um 1960MHz라면 3140m/sec | ||
+ | </gallery> | ||
+ | <li>Tx 칩 | ||
+ | <gallery> | ||
+ | image:sph_m8400_028_002_001.jpg | N301-C1 | ||
+ | image:sph_m8400_028_002_002.jpg | 어느 IDT 주기 1.92um 1880MHz라면 3610m/sec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641번째 줄: | 677번째 줄: | ||
image:iphone5s01_136_005_002.jpg | image:iphone5s01_136_005_002.jpg | ||
</gallery> | </gallery> | ||
− | <li>Epcos 2.0x1.6mm 도금타입 CSP [[SAW | + | <li>Epcos 2.0x1.6mm 도금타입 CSP [[SAW duplexer]] |
<gallery> | <gallery> | ||
image:iphone5s01_136_005_003.jpg | image:iphone5s01_136_005_003.jpg | ||
651번째 줄: | 687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 | </ol> | ||
+ | <li>2013.11 출시 삼성 [[SHW-A305D]] 폴더 피처폰 | ||
+ | <ol> | ||
+ | <li>xA 마킹, 무라타 듀플렉서 2.0x1.6mm, US-PCS DPX, 1880/1960MHz | ||
+ | <gallery> | ||
+ | image:shw_a305d_013_005_002.jpg | 유기물 기판만 벗겨보면 | ||
+ | image:shw_a305d_013_005_003.jpg | BE42-AAAA1, BE09-A2 | ||
+ | image:shw_a305d_013_005_004.jpg | 주기 1.84um Tx 1880MHz 이므로 3460m/sec (TC SAW이므로 속도가 늦다.) | ||
+ | image:shw_a305d_013_005_005.jpg | 주기 1.86um Rx 1960MHz 이므로 3659m/sec | ||
+ | </gallery> | ||
</ol> | </ol> | ||
<li>2014.07 제조 [[LG-F460S]] LG G3 Cat.6 스마트폰 | <li>2014.07 제조 [[LG-F460S]] LG G3 Cat.6 스마트폰 | ||
657번째 줄: | 703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image:lg_f460s_010.jpg | #1~#26 위치 | image:lg_f460s_010.jpg | #1~#26 위치 | ||
− | image:lg_f460s_015.jpg | 왼쪽 2.0x1.6mm (유사크기) 5개 모두가 [[SAW | + | image:lg_f460s_015.jpg | 왼쪽 2.0x1.6mm (유사크기) 5개 모두가 [[SAW duplexer]]인듯 |
</gallery> | </gallery> | ||
− | <li>#4 2.0x1.6mm [[SAW | + | <li>#4 2.0x1.6mm [[SAW duplexer]] |
<ol> | <ol> | ||
<li>보라색 [[알루미나 기판]] 위에 [[전기도금 주조]]로 만든 [[PCB-L]] 인덕터가 보인다. | <li>보라색 [[알루미나 기판]] 위에 [[전기도금 주조]]로 만든 [[PCB-L]] 인덕터가 보인다. | ||
683번째 줄: | 729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 | <li>#5 2.0x1.6mm [[SAW | + | <li>#5 2.0x1.6mm [[SAW duplexer]] |
<gallery> | <gallery> | ||
image:lg_f460s_015_001_001.jpg | 왼쪽 다이가 해당된다. | image:lg_f460s_015_001_001.jpg | 왼쪽 다이가 해당된다. | ||
</gallery> | </gallery> | ||
− | <li>#6, 2.0x1,6mm, HTCC [[SAW | + | <li>#6, 2.0x1,6mm, HTCC [[SAW duplexer]] |
<gallery> | <gallery> | ||
image:lg_f460s_015_007_001.jpg | 무라타 DY89A1 | image:lg_f460s_015_007_001.jpg | 무라타 DY89A1 | ||
693번째 줄: | 739번째 줄: | ||
image:lg_f460s_015_007_003.jpg | 전극면적이 작은곳이 녹지 않는다. | image:lg_f460s_015_007_003.jpg | 전극면적이 작은곳이 녹지 않는다. | ||
</gallery> | </gallery> | ||
− | <li>#8 2.0x1.6mm [[SAW | + | <li>#8 2.0x1.6mm [[SAW duplexer]], 무라타 제조 |
<ol> | <ol> | ||
<li>기판 뒷면에서 | <li>기판 뒷면에서 | ||
712번째 줄: | 758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 | <li>#14 2.0x1.6mm [[SAW | + | <li>#14 2.0x1.6mm [[SAW duplexer]], 무라타 제조 |
<gallery> | <gallery> | ||
image:lg_f460s_015_014_001.jpg | Rx, CN72A1, 금속 총면적이 작은 곳은 멀쩡한다. | image:lg_f460s_015_014_001.jpg | Rx, CN72A1, 금속 총면적이 작은 곳은 멀쩡한다. | ||
719번째 줄: | 765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 | <li>2015 [[LG-F570S]] LG Band Play | + | <li>2015.06 출시 [[LG-F570S]] LG Band Play 스마트폰 |
<ol> | <ol> | ||
<li>#5, 마킹 PMKY | <li>#5, 마킹 PMKY | ||
731번째 줄: | 777번째 줄: | ||
image:lg_f570s_040_007.jpg | 왼쪽이 Tx, 오른쪽이 Rx | image:lg_f570s_040_007.jpg | 왼쪽이 Tx, 오른쪽이 Rx | ||
</gallery> | </gallery> | ||
− | <li> [[SAW | + | <li> [[SAW duplexer]] |
<gallery> | <gallery> | ||
image:lg_f570s_040_008.jpg | image:lg_f570s_040_008.jpg | ||
739번째 줄: | 785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 | <li>#6, [[SAW | + | <li>#6, [[SAW duplexer]] 2.0x1.6mm, 마킹 kA? 4A, PCB 기판 |
<ol> | <ol> | ||
<li>외관 | <li>외관 | ||
758번째 줄: | 804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 | <li>#7, [[SAW | + | <li>#7, [[SAW duplexer]] 2.0x1.6mm, 마킹 WAd @2M |
<ol> | <ol> | ||
<li>외관 | <li>외관 | ||
775번째 줄: | 821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 | <li>#8, [[SAW | + | <li>#8, [[SAW duplexer]] 2.0x1.6mm, 마킹 mAb 4Q |
<ol> | <ol> | ||
<li>외형 | <li>외형 | ||
803번째 줄: | 849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 | <li>#9, [[SAW | + | <li>#9, [[SAW duplexer]] 2.0x1.6mm DPX, 마킹 7T0 91\, Epcos, 구리 기둥 제품 |
<ol> | <ol> | ||
<li>외관 | <li>외관 | ||
904번째 줄: | 950번째 줄: | ||
image:iphone5s01_136_001_001.jpg | image:iphone5s01_136_001_001.jpg | ||
</gallery> | </gallery> | ||
− | <li>1.8x1.4mm, Taiyo Yuden, CSP [[SAW | + | <li>1.8x1.4mm, Taiyo Yuden, CSP [[SAW duplexer]] |
<gallery> | <gallery> | ||
image:iphone5s01_136_001_002.jpg | image:iphone5s01_136_001_002.jpg | ||
968번째 줄: | 1,014번째 줄: | ||
<li>Taiyo Yuden 5개 - 1개 FBAR+SAW조합, 1개 [[사파이어]]접합, 3개 SAW | <li>Taiyo Yuden 5개 - 1개 FBAR+SAW조합, 1개 [[사파이어]]접합, 3개 SAW | ||
<ol> | <ol> | ||
− | <li> | + | <li>외관 측면 |
− |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image:redmi_note4x_188_001.jpg | 두께가 다르다. | image:redmi_note4x_188_001.jpg | 두께가 다르다. | ||
image:redmi_note4x_188_002.jpg | 금속이 세라믹보다 두꺼운 이유는 세라믹을 자른 후 도금을 했기 때문에다. | image:redmi_note4x_188_002.jpg | 금속이 세라믹보다 두꺼운 이유는 세라믹을 자른 후 도금을 했기 때문에다. | ||
image:redmi_note4x_188_003.jpg | 잘린 세라믹 측면에 도금을 위해 연결된 전극이 보이지 않는다. | image:redmi_note4x_188_003.jpg | 잘린 세라믹 측면에 도금을 위해 연결된 전극이 보이지 않는다. | ||
+ | </gallery> | ||
+ | <li>주파수를 알아내기 위한 간이 측정 방법 | ||
+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88.jpg | ||
</gallery> | </gallery> | ||
<li>701, LTE Band7 Tx:2535MHz, Rx:2655MHz | <li>701, LTE Band7 Tx:2535MHz, Rx:2655MHz | ||
984번째 줄: | 1,030번째 줄: | ||
image:redmi_note4x_189.png | 2535MHz | image:redmi_note4x_189.png | 2535MHz | ||
</gallery> | </gallery> | ||
− | + | <li> [[주파수온도계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다이 내부 - 두께가 두꺼운 제품이다. | <li>다이 내부 - 두께가 두꺼운 제품이다. | ||
<ol> | <ol> | ||
1,074번째 줄: | 1,071번째 줄: | ||
<li>[[사파이어]]+LT(?) 접합 웨이퍼를 사용했다. | <li>[[사파이어]]+LT(?) 접합 웨이퍼를 사용했다. | ||
<gallery> | <gallery> | ||
− | image:redmi_note4x_190_002.jpg | | + | image:redmi_note4x_190_002.jpg | [[탄화텅스텐]]에 긁히지 않는 것으로 보아 [[사파이어]] 맞다. |
image:redmi_note4x_190_003.jpg | image:redmi_note4x_190_003.jpg | ||
image:redmi_note4x_190_004.jpg | LT두께 20um+[[사파이어]]두께 250um, 레이저 펀칭7번, 간격 약 27um | image:redmi_note4x_190_004.jpg | LT두께 20um+[[사파이어]]두께 250um, 레이저 펀칭7번, 간격 약 27um | ||
1,163번째 줄: | 1,160번째 줄: | ||
image:redmi_note4x_193_005.jpg | 본딩이 쉽게 떨어진다.(그렇게 플립본딩한 듯) | image:redmi_note4x_193_005.jpg | 본딩이 쉽게 떨어진다.(그렇게 플립본딩한 듯) | ||
image:redmi_note4x_193_006.jpg | Rx 881.5MHz, 주기: 4.46um (쏘속도 3930m/sec) | image:redmi_note4x_193_006.jpg | Rx 881.5MHz, 주기: 4.46um (쏘속도 3930m/sec) | ||
− | image:redmi_note4x_193_007.jpg | Tx 836.5MHz, 어느 전극에서, | + | image:redmi_note4x_193_007.jpg | Tx 836.5MHz, 어느 전극에서, 위쪽 주기 4.60um, 아래쪽 주기 4.58um (쏘속도 3850m/sec) |
</gallery> | </gallery> | ||
</ol> | </ol> | ||
</ol> | </ol> | ||
+ | </ol> | ||
+ | <li>2017.06 출시 LG 폴더 [[LM-Y110S]] 피처폰 | ||
+ | <ol> | ||
+ | <li> [[SAW duplexer]] 1, 엡코스, 8EB 마킹, 1.8x1.4mm, Band 1 Tx/Rx=1950/2140 | ||
+ | <gallery> | ||
+ | image:lm_y110s_023_002.jpg | ||
+ | image:lm_y110s_023_002_001.jpg | AA59E. 22 | ||
+ | image:lm_y110s_023_002_002.jpg | Rx 주기 1.85um x 2140MHz라면 3950m/sec | ||
+ | </gallery> | ||
+ | <li> [[SAW duplexer]] 2, 무라타, WAN 마킹, 1.8x1.4mm, Band 3 Tx/Rx=1747.5/1842.5 | ||
+ | <gallery> | ||
+ | image:lm_y110s_023_003.jpg | ||
+ | image:lm_y110s_023_003_001.jpg | Rx필터, ET49-A1 | ||
+ | image:lm_y110s_023_003_002.jpg | 주기 2.15um x 1747.5MHz라면 3750m/sec | ||
+ | image:lm_y110s_023_003_003.jpg | Tx필터, ET99 -A1 | ||
+ | image:lm_y110s_023_003_004.jpg | 주기 1.99um x 1842.5MHz라면 3650m/sec | ||
+ | </gallery> | ||
+ | <li> [[SAW duplexer]] 3, Taiyo-Yuden, 7G6 마킹, 1.8x1.4mm, Band 8 Tx/Rx=897.5/942.5 | ||
+ | <gallery> | ||
+ | image:lm_y110s_023_004.jpg | ||
+ | image:lm_y110s_023_005_001.jpg | Tx: X666-05, Rx: X668-04 다이크기 비교 | ||
+ | image:lm_y110s_023_005_002.jpg | Tx 주기 4.32um 880MHz라면 3800m/sec | ||
+ | image:lm_y110s_023_005_003.jpg | Rx 주기 4.19um 942.5MHz라면 3950m/sec | ||
+ | </gallery> | ||
+ | <li> [[SAW duplexer]] 4, 엡코스, 8DJ 마킹, 1.8x1.4mm, Band 5 Tx/Rx=836.5/881.5 | ||
+ | <gallery> | ||
+ | image:lm_y110s_023_004.jpg | ||
+ | image:lm_y110s_023_004_001.jpg | AG69B. | ||
+ | image:lm_y110s_023_004_002.jpg | 주기 4.50um x 881.5MHz라면 3950m/sec | ||
+ | image:lm_y110s_023_004_003.jpg | 주기 4.84um x 836.5MHz라면 4050m/sec | ||
+ | </gallery> | ||
</ol> | </ol> | ||
<li>2018.10 출시 샤오미 [[Redmi Note 6 Pro]] 스마트폰에서 | <li>2018.10 출시 샤오미 [[Redmi Note 6 Pro]] 스마트폰에서 |
2025년 3월 23일 (일) 20:58 기준 최신판
SAW duplexer
- 전자부품
- 필터 두 개로 듀플렉서를 만듬
- 3.8x3.8mm 필터를 사용함.
- U-100 2003.10.1 마킹된 휴대폰보드에서
- U-100 2003.10.1 마킹된 휴대폰보드에서
- 3.8x3.8mm 필터를 사용함.
- 9.5x7.5mm
- 3.0x3.0mm 필터를 사용함.
- 삼성전기, 개발품(?) 모델명 모름
- 이 상태로 있길래
- 깡통을 벗기니
- 3.0x3.0mm 쏘필터를 다시 납땜해서
- 쏘필터 뚜껑을 벗기니
- 이 상태로 있길래
- 삼성전기, 개발품(?)
- 이 상태로 발견. X881XH, X836XH로 추정. 2000년 172로트
- 이 상태로 발견. X881XH, X836XH로 추정. 2000년 172로트
- 삼성전기, 개발품(?) 모델명 모름
- 후지쯔(Fujitsu Media Devices Limited), FAR-D5CC-881M50-D1A4
- 제품규격서
- - 12p
- - 15p
- StarTAC 휴대폰에서
- 제품규격서
- 삼성전기 X836KP - 2001년 제품
- 어떤 측정치구
- 자재 및 공정
- 사용 패키지와 리드(8.0x6.0mm) 비교
- 융착 결과 - AuSn 두께가 30um으로 두꺼워야 하는 이유. 패키지가 크면 warpage가 커, 빈공간을 메워야 하므로
- 사용 패키지와 리드(8.0x6.0mm) 비교
- 2017.02 출시 샤오미 Redmi Note 4X 스마트폰에서 나온 1.8x1.4mm 및 1.55x1.15mm 크기와 비교
- 포켓WiFi에서 사용된 2.0x1.6mm 제품과 비교하기 위해 분해
- 비교 사진
- 칩 전체
- 확대
- 더 확대
- 무라타 2016과 비교
- Rx 칩에서, HWP 폰트(유니코드 문자코드 263B, Black Smiling Face)로 만든 패턴인듯.
- 비교 사진
- 어떤 측정치구
- 3.0x3.0mm 필터를 사용함.
- 5.0x5.0mm
- Fujitsu
- 2003.03 제조품 LG-SD1250
- N4 마킹품(FAR-D5CN-881M50-D1N4), 데이터 시트 - 9p
- 내부
- 불에 달궈 다이를 뜯음
- N4 마킹품(FAR-D5CN-881M50-D1N4), 데이터 시트 - 9p
- 2005.05 제조 싸이버뱅크 CP-X310 PDA폰
- M5 마킹품(FAR-D5CM-881M50-D1M5????)
안테나 접점과 바로 연결되는 Fujitsu SAW duplexer
- AuSn 솔더로 밀봉된 뚜껑을 벗기면
- 가스토치로 바닥면을 달궈 다이를 뜯어내면
Ag 에폭시 도전성 접착제
- 다이 패턴
가스토치로 바닥을 달구니. 와이어연결된 부위는 덜 변했다.
- M5 마킹품(FAR-D5CM-881M50-D1M5????)
- 2003.03 제조품 LG-SD1250
- Fujitsu
- 3.8x3.8mm
- 삼성전기
- LTCC, 캐비티 패키지, KYH
- 팬택 & 큐리텔 PT-L2200 피처폰에서
- SFXG65KC401, Korea PCS(Tx 1765MHz Rx 1855MHz), China 2006 190lot
- 뚜껑을 벗기고
- 불에 태우면
- SFXG65KC401, Korea PCS(Tx 1765MHz Rx 1855MHz), China 2006 190lot
- K-PCS 내전력, 50도씨에서 1W 5만시간 이상
- LTCC, 캐비티 패키지, KYH
- Fujitsu
- FAR-D5CF-881M50-D1F1
- 2006.02 출시, 팬택, SKY 주크박스 IM-U110 피처폰
- 외관, F1 마킹은 FAR-D5CF-881M50-D1F1 이다.
- 뚜껑(lid)을 벗기면
- 다이 관찰
- EMI 차폐를 강화시킨 밑면 접지 패턴
- 패키지를 가열한 후. 와이어가 연결된 전극은 SAW필터에서 초전성 때문에 쉽게 녹는다.
- 외관, F1 마킹은 FAR-D5CF-881M50-D1F1 이다.
- 2006.02 출시, 팬택, SKY 주크박스 IM-U110 피처폰
- FAR-D5CF-881M50-D1F1
- Matsushita Electronic Components Co. (Panasonic)
- 데이타시트
- 2006.10 출시 삼성 월드로밍 SCH-V920 슬라이드 피처폰
- 기술정보
- 내부 패턴을 보면 Epcos 설계와 매우 유사
- CDMA, Fc=836.5/881.5MHz, 모델명 EFSD836Mxx
- J-CDMA, fc=856.5/911.5MHz, 모델명 EFSD911MD1 또는 EFSD911MD2
- 기술정보
- 2007년 팬택&큐리텔 스위블 피처폰 canU701D에서
- 외관
- 측정
- 기밀성 테스트(문제 없다.) 및 온도 특성
- 납땜 단자 고착 강도
- 다이
- 현미경 촬영 거리를 줄이기 위해, 다이를 뜯어내기 위해, 빨갛게 달궈 Ag 에폭시 접착력을 떨어뜨려 다이를 뜯어냄
- 외관
- SAWTEK 856331, CDMA용 850MHz
- 규격서 - 6p
- SAW duplexer
- SAWTEK 856331, W마크가 이 기종이다. 1997년 141일차, 생산지C
안테나와 DPX와의 경로 중간에 안테나 커넥터 스위치가 있다.
- 주파수 특성
- 뚜껑 열기(delidding)
Au 볼 와이어본딩에서 와이어가 직선 도선 인덕터로 동작한다.
왼쪽과 오른쪽 두 패턴 사이를 차폐하기 위한 Y자 접지 패턴이 이채롭다.
- 패턴
- SAWTEK 856331, W마크가 이 기종이다. 1997년 141일차, 생산지C
- 삼성전기
- 3.2x2.5mm
- 무라타 SAW UMTS 2100(Tx 1920-1980, Rx 2110-2170) DPX, 3.2x2.5mm LTCC 기판 캐비티 구리전극, 2칩, 플립본딩, AuSn 실링
- 3.0x2.5mm
- 엡코스
- 2009.06 출시 삼성 슬라이드위젯폰 SCH-B8850D
- 두 개 제품 외관
- 위 사진에서 왼쪽에 있는 7662 마킹, 1765/1855MHz Korea PCS용
- 오른쪽에 있는 A21 마킹, 836.5/881.5MHz용
- 다이 패턴
- 다이 뒷면을 빨갛게 가열한 후
- 다이 패턴
- 두 개 제품 외관
- 2009.06 출시 삼성 슬라이드위젯폰 SCH-B8850D
- 후지쯔
- 제품규격서
- - 11p
- 제품규격서
- 밸러스 Rx, SJB(송진백)
- 엡코스
- 2.5x2.0mm
- 와이솔
- 2010/10 삼성 GT-B6520 휴대폰에서
- 위치
- 2번 SAW duplexer 2.5x2.0mm, 와이솔 제품
- 3번 SAW duplexer 2.5x2.0mm, 와이솔(?) 제품
- 위치
- 2010/10 삼성 GT-B6520 휴대폰에서
- Epcos
- 무라타
- 2009.06 출시 삼성 슬라이드위젯폰 SCH-B8850D , 2.5x2.0mm, 마킹 DP S24, J-CDMA(851, 906)로 추정
- 외관
- 다이1
- 다이2
- 외관
- 2009.12 출시 삼성 SPH-M8400 옴니아2 스마트폰
- 마킹 KN S22, US-PCS 1880/1960MHz로 추정. TC-SAW로 추정
- 외관 및 2칩 플립본딩
- Rx 칩
- Tx 칩
- 3G통신모듈에서
- 한국 비트앤펄스(bits and pulse) 회사에서 제작한 BPW-M100모듈
- 통신모듈
- 외관
- 에폭시를 제거하면
- 칩 뜯는 방법
- 패키지와 칩. Tx칩은 큰 내전력이 요구되므로, Rx칩과 공정이 달라, 표면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다른 빛깔로 관찰된다.
- Rx 칩. 아래 중앙이 Ant, 아래 좌우가 diffential out(좌우 대칭)
- Tx 칩
- 통신모듈
- 한국 비트앤펄스(bits and pulse) 회사에서 제작한 BPW-M100모듈
- 2009.06 출시 삼성 슬라이드위젯폰 SCH-B8850D , 2.5x2.0mm, 마킹 DP S24, J-CDMA(851, 906)로 추정
- Triquint
- CDMA 1x EV-DO USB Modem
- 외관
- Duplexer, 836/881MHz, 2.5x2.0mm
- 외관
- CDMA 1x EV-DO USB Modem
- 와이솔
- 2.0x1.6mm
- 2013.10 출시 애플 iPhone 5S 스마트폰
- Avago A790720, Dual PAMiD
- 메인보드에서
- CSP SAW DPX 솔더링 밑면에도 EMC 재료가 빈틈없이 몰딩되어 있다.
- Epcos 2.0x1.6mm 도금타입 CSP SAW duplexer
- 메인보드에서
- Avago A790720, Dual PAMiD
- 2013.11 출시 삼성 SHW-A305D 폴더 피처폰
- xA 마킹, 무라타 듀플렉서 2.0x1.6mm, US-PCS DPX, 1880/1960MHz
- xA 마킹, 무라타 듀플렉서 2.0x1.6mm, US-PCS DPX, 1880/1960MHz
- 2014.07 제조 LG-F460S LG G3 Cat.6 스마트폰
- 전체
왼쪽 2.0x1.6mm (유사크기) 5개 모두가 SAW duplexer인듯
- #4 2.0x1.6mm SAW duplexer
- #5 2.0x1.6mm SAW duplexer
- #6, 2.0x1,6mm, HTCC SAW duplexer
- #8 2.0x1.6mm SAW duplexer, 무라타 제조
- #14 2.0x1.6mm SAW duplexer, 무라타 제조
- 전체
- 2015.06 출시 LG-F570S LG Band Play 스마트폰
- #5, 마킹 PMKY
- 가장 오른쪽, 와이솔 제품
- 알루미나 기판
- SAW duplexer
- 가장 오른쪽, 와이솔 제품
- #6, SAW duplexer 2.0x1.6mm, 마킹 kA? 4A, PCB 기판
- 외관
- 다이1
IC 표식 山, 한자 메 산, 일본발음 야마
- 다이2
- 외관
- #7, SAW duplexer 2.0x1.6mm, 마킹 WAd @2M
- 외관
- SAW 다이1
- SAW 다이2
- 외관
- #8, SAW duplexer 2.0x1.6mm, 마킹 mAb 4Q
- #9, SAW duplexer 2.0x1.6mm DPX, 마킹 7T0 91\, Epcos, 구리 기둥 제품
- 외관
- 다이
- 외관
- #5, 마킹 PMKY
- 한국 SK텔레콤용 포켓WiFi에서 사용된 무라타 850/1800MHz
- 2.0x1.6mm 1800MHz용
- 외형
- 내부
- Rx 칩
- Tx 칩에서
- 칩에서 범프볼(와이어가 길게 존재함)
- 2.0x1.6mm 850MHz용
- 외형
- Rx 칩
- Tx 칩
- 외형
- 외형
- 2018.10 출시 샤오미 Redmi Note 6 Pro 스마트폰에서
- #09, Epcos
- #09, Epcos
- 2.0x1.6mm 1800MHz용
- 1.8x1.4mm
- 크기 비교 사진
- 9.5x7.5mm vs 1.8x1.4mm
- 2017.02 출시 샤오미 Redmi Note 4X 스마트폰에서 나온 Taiyo Yuden 1.8x1.4mm
- 2017.02 출시 샤오미 Redmi Note 4X 스마트폰에서 나온 Taiyo Yuden 1.8x1.4mm
- 9.5x7.5mm vs 1.8x1.4mm
- 2013.10 출시 애플 iPhone 5S 스마트폰
- Skyworks 77810-12 (B 5/8 Dual PAMiD)?
- 모듈에서
- 1.8x1.4mm, Taiyo Yuden, CSP SAW duplexer
- 모듈에서
- Skyworks 77810-12 (B 5/8 Dual PAMiD)?
- 2016.01 출시 삼성 SM-A710S 갤럭시 A7 LTE 스마트폰
- 2017.02 출시 샤오미 Redmi Note 4X 스마트폰에서, 7개 사용하는데,
- Qorvo , TQQ1003 1747.5/1842.5MHz LTE Band3 WLP SMR-[BAW]] 참조
- Murata 1.55x1.15mm 한 개 (아래 참조)
- Taiyo Yuden 5개 - 1개 FBAR+SAW조합, 1개 사파이어접합, 3개 SAW
- 외관 측면
- 주파수를 알아내기 위한 간이 측정 방법
- 701, LTE Band7 Tx:2535MHz, Rx:2655MHz
- 주파수 파형
- 주파수온도계수
- 다이 내부 - 두께가 두꺼운 제품이다.
- SAW + BAW 조합이다.
- F-BAR baw 필터
- 공진기 #1~#6
- Rx saw 필터
- SAW + BAW 조합이다.
- 주파수 파형
- 7B1, LTE Band2, Tx:1880MHz Rx:1960MHz, 두꺼운 제품인다.
- 7A4, LTE Band1
- 주파수 파형
- 전체
- Rx
- Tx
- 주파수 파형
- 7G6, LTE Band8, 두께가 얇은 제품이다.
- 주파수 파형
- 다이 내부
- 주파수 파형
- 7E4, LTE Band5
- 주파수 파형
- 다이 내부
- 주파수 파형
- 외관 측면
- 2017.06 출시 LG 폴더 LM-Y110S 피처폰
- SAW duplexer 1, 엡코스, 8EB 마킹, 1.8x1.4mm, Band 1 Tx/Rx=1950/2140
- SAW duplexer 2, 무라타, WAN 마킹, 1.8x1.4mm, Band 3 Tx/Rx=1747.5/1842.5
- SAW duplexer 3, Taiyo-Yuden, 7G6 마킹, 1.8x1.4mm, Band 8 Tx/Rx=897.5/942.5
- SAW duplexer 4, 엡코스, 8DJ 마킹, 1.8x1.4mm, Band 5 Tx/Rx=836.5/881.5
- SAW duplexer 1, 엡코스, 8EB 마킹, 1.8x1.4mm, Band 1 Tx/Rx=1950/2140
- 2018.10 출시 샤오미 Redmi Note 6 Pro 스마트폰에서
- #11, Kyocera, K202 마킹
- 참고 Kyocera SD18 시리즈에서
- SD18-0847R8UUB1, Band20, 마킹 K202 (2022년 현재 NRND, Not Recommended for New Design)
- Band20(832~862, 791~821MHz)는 이 핸드폰이 사용하는 셀룰라 주파수는 아니다.
- 불에 태워서
- T(Tx로 추정) B20 601 마킹
- R(Rx로 추정) B20 722 마킹
- 의견
- 처음보는 HTCC 패키지 패턴이다. 솔더본딩이다. 에폭시 필름 라미네이팅으로 기밀했다.
- 타회사와 달리, 마스크 설계를 결정의 Y축으로 한다.
- 보호막이 없다고 생각됨.
- 솔더접합을 위한 under-bump metallization(UBM)이 매우 약하다.(없다?)
- 참고 Kyocera SD18 시리즈에서
- #10, Taiyo Yuden, 허메틱 실링
사파이어+LT 접합 웨이퍼로 만든 두 개의 SAW 필터 다이를 붙였다.
- #12, Taiyo Yuden, 허메틱 실링
사파이어+LT 접합 다이, X857 -06
- #13, Murata, GY35-A1
본딩된 전극 손상이 크다. SAW필터에서 초전성
- #11, Kyocera, K202 마킹
- 크기 비교 사진
- 1.55x1.15mm
- 크기 비교 사진
- 9.5x7.5mm vs 1.55x1.15mm
- 2017.02 출시 샤오미 Redmi Note 4X 스마트폰에서 나온 무라타 1.55x1.15mm
- 2017.02 출시 샤오미 Redmi Note 4X 스마트폰에서 나온 무라타 1.55x1.15mm
- 9.5x7.5mm vs 1.55x1.15mm
- 2017.02 출시 샤오미 Redmi Note 4X 스마트폰에서, 7개 사용하는데, 이중 무라타 하나가 해당
- Murata CG/3J, 1.55x1.15mm 크기
- 외관
- 패키징
- 다이
- 외관
- Murata CG/3J, 1.55x1.15mm 크기
- 크기 비교 사진
- 1.4x1.1mm
- 2018.10 출시 샤오미 Redmi Note 6 Pro 스마트폰에서
- #8, Epcos
- #8, Epcos
- 2018.10 출시 샤오미 Redmi Note 6 Pro 스마트폰에서
- 2013.10 출시 애플 iPhone 5S 스마트폰